일상 곳곳에 상징처럼 스며든 고전 문학의 표현들

진박사의 교육프리즘 - 클래식을 읽어햐 하는 이유

0
1649

많은 학생들이 마크 트웨인이나 버지니아 울프 등 유명 작가들의 문학 작품에 큰 흥미를 갖지 않는 것을 봅니다. 아무래도 책의 내용과 구성, 표현이 시대와 동떨어진 느낌이 들어 고전 문학을 멀리하게 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전 문학이 뜻밖에도 현재 우리의 일상 속에 고스란히 스며들어 있다는 사실을 알고 나면 고전 문학과 역사를 알아야 할 이유가 명확해집니다. 영어 회화 뿐 아니라 문어체 영어, 특히 신문 잡지의 칼럼이나 학술지 등에서 고전 문학은 자주 등장합니다. 때로는 소설의 제목이, 또 때로는 소설 속의 주인공이 상징적인 표현으로 이용됩니다.

우리의 일상과 대화 속에 어떤 고전문학이 또다른 언어가 되어 자리잡고 있는지 알게되면 대화에 참여하고 글을 이해하는데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Waiting for Godot (고도를 기다리며)

사무엘 베케트의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는 고목나무가 한 그루 서 있는 길가에서 두 사람이 ‘고도’라는 미지의 인물을 하염없이 기다리며 나누는 대화로 이루어집니다.

두 사람은 버려진 자신들을 고도가 구원해줄 것이라고 믿으며 고도를 기다리지만 수많은 대화가 이어지는 중에 과연 고도가 나타날 것인지를 끊임없이 질문합니다.

이 연극에서 고도는 나타나지 않는 사람, 혹은 이루어질 수 없는 일을 상징합니다.

일전에 Vanity Fair 지에 Kyoto Protocol를 지지하지 않는 미국 정부를 비판하는 기사가 실렸습니다. 이 기사에서 필자는 세계의 온난화 현상은 계속될 것이지만 미국은 환경 정책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The world quit waiting for Godot” 라는 표현으로 미국을 고도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2. How the Other Half Lives (다른 절반의 사람은 어떻게 사는가)

‘다른 절반의 사람은 어떻게 사는가’는 1890년에 출판된 제이콥 리스의 작품으로 뉴욕 슬럼가 이민자들의 고된 삶을 사진과 자세한 설명으로 다룬 포토 캠페인 북입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뉴욕 맨해튼의 화려한 도시 생활과는 달리 맨해튼 밖의 변두리에서는 소외된 이민자들이 얼마나 힘든 하루를 보내야 했는지 알게 됩니다. 두 사람이 겨우 누울 수 있는 방 한칸에서 여섯 가족이 모여 사는 모습 뿐 아니라 아동 노동 착취의 현장도 생생히 보여줍니다.

이 책의 제목처럼 뉴욕 맨해튼에 사는 사람들은 다른 절반이 도시 밖에서 어떻게 사는지 알 수 없습니다. 반대로 변두리에 사는 이민자들 역시 부유한 중심가 도시민의 삶을 알 수 없습니다.

이런 상황을 제이콥 리스는 ‘how the other half lives’라는 책 제목으로 요약하고 있습니다. 대화 중에 누군가가 “how the other half lives”라고 말한다면 그건 본인들보다 부유하거나 가난한 다른 사람들이 사는 세상에 대해 얘기하는 것입니다.

3. Big Brothers Is Watching You (빅브라더가 당신을 보고 있다 – 1984)

조지 오웰의 대표작인 ‘1984’는 전체주의와 그 지배 시스템이 어떻게 인간과 사회를 파멸하는지를 그린 디스토피아 소설입니다.

소설에 등장하는 빅브라더는 전체주의 국가 오세아니아를 통치하는 독재자입니다. 오세아니아에 사는 모든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빅브라더가 자신들을 주시한다는 사실에 세뇌되어 살아갑니다. 빅브라더는 모든 권력을 가진 인물로 상징됩니다.

요즘처럼 개인 정보가 언제 어디서든 유포될 수 있는 시대에는 빅브라더라는 표현이 흔히 쓰입니다. 여기저기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을 뿐 아니라 우리가 컴퓨터와 스마트폰에서 어떤 대화를 나누고 무엇을 검색하는 지 정확히 알고 이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성향을 파악하는 인공지능이 어찌 보면 21세기의 빅브라더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4. A Tale of Two Cities (두 도시 이야기)

찰스 디킨스의 ‘두 도시 이야기’는 프랑스 대혁명을 배경으로 영국과 프랑스 간의 대립되는 삶을 그린 역사 소설입니다. 런던은 소박하고 조용한 도시인 반면, 파리는 가난한 민중의 울분이 가득한 도시입니다.

“최고의 시간이었고 최악의 시간이었다. 지혜의 시대였고 어리석음의 시대였다. 믿음의 세기였고 불신의 세기였다. 빛의 계절이었고 어둠의 계절이었다. 희망의 봄이었고 절망의 겨울이었다. 우리 앞에 모든 것이 있었고 우리 앞에 아무 것도 없었다.”

“It was the best of times, it was the worst of times, it was the age of wisdom, it was the age of foolishness, it was the epoch of belief, it was the epoch of incredulity, itwas the season of Light, it was the season of Darkness, it was the spring of hope, it was the winter of despair, we had everything before us, we had nothing before us…”

빈부격차가 갈수록 심화되는 오늘의 세계에서 ‘두 도시 이야기’라는 표현은 더욱 자주 쓰입니다. 도시에 사는 부유층의 화려한 삶과 대조되는 길 건너 홈리스의 빈곤한 삶이야 말로 ‘a tale of two cities’가 아닐까요.

5. Scarlet Letter (주홍글씨)

너새니얼 호손의 이 소설은 사생아를 낳아 간통의 죄를 범한 여주인공 헤스터 프린이 간통을 뜻하는 Adultery의 첫 글자 A를 평생 가슴에 달고 살아야 하는 형벌과 함께 시작됩니다.

소설에서 상징되었듯이 ‘주홍글씨’ 는 잘못을 저지른 댓가로 평생 달고 살아야 하는 꼬리표를 뜻합니다.

몇달 전 미시간의 한 주립 대학에서 풋볼 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아들을 감옥에서 응원하며 지켜보는 아버지에 대한 기사가 실렸습니다.

이 기사 속에서 아버지의 지난 어두운 과거와 범죄가 scarlet letter로 낙인되어 아들에게 대물림되지 않았다는 표현을 읽을 수 있습니다.


글 / 진유미 (교육 전문가)
USC에서 저널리즘 석사를 취득 후, 미국 주류 신문사와 잡지사 기자로 활동하고 UCLA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UCLA에서 카운슬러와 강사로 일한 바 있으며, 교육 스타트업을 설립하였다. 현재는 대학 입시 카운슬링 및 커리큘럼을 개발하는 Booravo Education Services의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