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이어 컬럼비아대도 트럼프에 반기…”강압적 조정 거부”

0
143

하버드대 총장 성명 12시간 뒤에 
컬럼비아대도 “우리 독립 지킬 것”
트럼프 “하버드 면세지위 박탈”

하버드대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며 공개 충돌한 가운데 지난해 미 대학가 전체로 번진 친팔레스타인 시위의 진원지였던 뉴욕의 컬럼비아대도 반(反)트럼프 움직임에 가세하고 나섰다.

 지난해 대대적인 친팔레스타인 시위로 총장이 잇달아 사임하는 등 홍역을 겪었던 컬럼비아대는 최근에는 시위 통제 등에 대한 정부 요구를 대부분 수용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보조금 삭감’ 압박에 굴복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문화 전쟁’이 명문대들과의 마찰로 격화하자 입장을 바꿔 정부의 ‘명문대 때리기’에 대한 저항에 가세한 것으로 보인다.

 15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클레어 시프먼 컬럼비아대 총장 대행은 전날 밤 대학 구성원들에 보낸 성명에서 컬럼비아대는 정부가 “우리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포기할 것을 요구하도록”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시프먼 총장 대행의 메시지는 전날 앞서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이 트럼프 행정부와 ‘공개 충돌’을 빚은 지 약 12시간 뒤에 나왔다.

 가버 총장은 교내 커뮤니티에 보낸 글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연방 기금 지원을 대가로 요구한 학칙 개정 등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면서 “우리 대학은 독립성이나 헌법상 보장된 권리를 놓고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날 시프먼 총장 대행의 메시지는 앞서 트럼프 행정부가 대학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며 강도 높게 비판한 하버드대 총장의 글에 비해서는 비난 수위를 약하게 조절한 모습이었다고 NYT는 짚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지난해 친팔레스타인 시위가 확산한 10개 대학 캠퍼스를 방문하겠다고 밝히는 등 대학들을 압박해 왔다.

 이후 하버드대와 컬럼비아대, 조지워싱턴대, 존스홉킨스대 등 미국 주요 명문대들에 다양성·평등·포용성(DEI) 프로그램 폐지 및 입학 규정 변경 등의 정책 변화를 요구하며 이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정부 보조금을 삭감하겠다고 위협했다.

 이에 따라 컬럼비아대는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4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과 계약 취소 위협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15일 트루스소셜을 통해 “하버드대가 계속해서 정치적이고 이념적이며 테러리스트에서 영감을 받거나 이들이 지지하는 ‘병적인 행동’을 조장한다면, 면세 지위를 잃고 정치 단체로서 세금이 매겨져야 할 것”이라며 “면세 지위는 전적으로 공공의 이익에 따른 행동에 달렸다는 점을 기억하라”고 하버드대를 압박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