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하버드대 표적 조사 또 나섰다

0
30

[뉴욕 중앙일보]

‘교환방문자 프로그램’ 유지 자격 조사 시작
컬럼비아대, 친팔 시위 가담 70여명 징계 

국무부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갈등을 빚고 있는 하버드대를 상대로 또다시 조사에 착수했다.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은 23일 성명을 내고 “교환방문자를 보증할 수 있는 특권을 유지하기 위해 보증기관은 모든 규제를 준수할 의무가 있다”며 하버드대를 상대로 한 조사 착수 방침을 밝혔다. 이어 루비오 장관은 “보증기관은 외교정책 목적을 약화하지 않거나 국가안보 이익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보증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모든 미국인은 대학들이 국가 안보를 지키고 법규를 준수하며 모든 학생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할 권리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하버드대 측은 연방정부가 보복 조치를 하고 있다며 반발했다. 하버드대 대변인은 “하버드대의 수정헌법 1조 권리(표현의 자유)를 위반해 이뤄진 연방정부의 또 다른 보복 조치”라며 “하버드대는 해당 교환방문자 프로그램 규제를 지속해서 준수할 것을 약속한다”라고 말했다.

 국무부의 이같은 신규 조사 착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정부와 하버드대 간 소송을 맡은 매사추세츠주 연방법원 판사를 거칠게 비판한 지 이틀 만에 나왔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가 외국인 학생을 등록받을 수 없도록 차단했는데, 매사추세츠주 연방법원은 연방정부의 이 같은 조치 효력을 중단시켰다. 

 루비오 장관은 이와 별개로 하버드대의 대중국 제재 위반 의혹과 관련한 조사 개시를 재무부에 권고하기도 했다. 하버드대는 세계은행, 중국 국가의료보장국과 공동으로 매년 건강보험 재무 관련 교육연수 프로그램 성격의 콘퍼런스를 열어왔는데, 국무부는 이 프로그램에 제재 대상 중국 인사들이 참여해 제재를 위반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에 대한 각종 지원 차단, 보조금 회수 및 정부 용역 계약 해지 추진하는 등 압박 강도를 높여왔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재정 지원금이 끊기는 등 압박을 받아온 컬럼비아대는 22일 친팔레스타인 시위에 가담한 학생 70여명에게 징계를 내렸다. 컬럼비아대는 성명에서 징계 방침을 밝히면서 “개인별 징계 결과를 공개하지는 않지만, 버틀러 도서관에서 발생한 사건 관련 징계에는 근신, 정학 1∼3년, 학위 박탈, 퇴학이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CNN방송은 “컬럼비아대는 수개월간 협상 끝에 트럼프 행정부와 지원금 복원 관련 합의에 거의 도달한 상태”라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