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 청소년 93% 작년 인종차별 경험

0
24

[뉴욕 중앙일보]

AAF, 청소년 1400여명 조사 
48%는 보통 이상 우울감 경험
10명 중 3명은 자살 시도  

아시안 청소년 93%가 지난 한 해 동안 인종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파악됐다. 

 아시안아메리칸연맹(AAF)이 14~25세 아시안 청소년 14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아시안 청소년 10명 중 9명이 누군가 ▶자신에게 노골적인 인종차별적 발언을 하거나(21%) ▶자신의 인종이나 민족에 대해 농담을 하며 놀리거나(45%) ▶자신의 민족을 다른 민족과 혼동하거나(50%) ▶인종을 이유로 신체적인 해를 가하려고 하는(4%) 등의 인종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아시안 청소년 48%는 보통(moderate) 수준 이상의 우울감을 경험한 것으로 파악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한국이 속한 동아시아 출신 청소년들의 46%, ▶남아시아 출신 청소년 49% ▶동남아시아 출신 청소년 49%가 보통 수준 이상의 우울감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자살은 15~24세 아시안아메리칸 청소년들의 주요 사망 원인으로 꼽혔는데, 지난해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아시안 청소년 10명 중 3명이 지난해 자살을 계획하거나 시도했다고 응답했다. 

 특히 여성, 18~25세의 경우 이같은 응답을 내놓은 비율이 더 높았다. 아시안 남성 청소년 23%가 지난해 자살 시도 및 계획을 했다고 답한 반면 여성의 34%가 같은 답을 내놨다. 연령별로는 14~17세의 17%, 18~25세의 33%가 같은 응답을 했다. 

 보고서는 “아시안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공해야 한다는 압박'”이라고 지적했다. 아시안아메리칸 청소년 44%는 ‘학업적·직업적으로 성공해야 한다는 자기 압박’을 스트레스 요인으로 꼽았으며, ▶39%는 ‘가족에 대한 의무감 또는 가족을 부끄럽게 만들면 안된다는 생각’ ▶36%는 ‘부모나 보호자의 압박’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했다. 

 문제는 정신적으로 힘들 때 부모와 편안하게 대화할 수 있는 아시안 청소년이 절반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아시안 청소년의 53%만 ‘감정적·정신적으로 힘들 때 부모 또는 보호자와 이 부분에 대해 편안하게 대화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부모와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해 얘기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대다수(55%)의 아시안 청소년들은 ‘부모에게 부담을 주고 싶지 않아서’라고 답했다. 51%는 ‘부모님은 나와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해 다른 시각을 갖고 있다’라고 응답했으며, ▶37%는 ‘부모님은 정신 건강보다 다른 부분을 우선시한다’고 응답 ▶35%는 ‘부모님이 나를 부끄러워하거나 실망할까봐’라고 답했다. 

윤지혜 기자 yoon.jihye@koreadailyn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