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 활동 평가 방식 5가지…전직 입학사정관의 조언

0
71

대학은 지원서의 과외활동이 목록이 긴 것보다는 의미 있는 것을 중시한다. 대학은 입학 사정에서 과외 활동을 살펴보지만, 지원자는 어떻게 평가하는지 알 수 없다.  

전직 입학 사정관들은 지원자가 캠퍼스에 들어오면서 가져올 수 있는 질적 기술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둔다고 말한다. 질적 기술에는 리더십, 의사소통, 공감, 조직력, 팀워크, 시간 관리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자질은 동아리, 활동, 자원봉사, 직업, 참여수준, 참여기간을 통해 입증된다.  

첫째, 학업이 우선이다.

GPA와 학업 성취도와 인지적 소질을 측정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다. 과외활동 목록이 많아도 성적이 낮으면 도움이 되지 않는다.  

둘째, 과외활동의 갯수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가장 많은 질문이 과외활동의 갯수에 관한 것이다. 답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 지원서를 채우는 것보다는 질 좋은 경험에 집중해 자신이 정말 즐기는 것이 무엇인지 발견하는 게 중요하다. 예를 들어,수영 선수는 1주일에 20시간 이상 훈련에 시간을 할애하여 다른 동아리 활동을 못한다. 반면 다른 학생은 자신의 관심사를 찾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탐색할 수 있다. 모두 대학 지원서에 똑같이 인상적이다.  

또한 활동 목록보다 헌신의 깊이가 더 중요하다. 양보다 질이다. 하지만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각 분야에서 의미 있는 기여를 보여줄 수 있다면 여전히 가치 있을 수 있다. ‘딱 한 가지만 체크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셋째, 상황을 고려한다.

지원자가 고교 시절과 개인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평가받는다. 예를 들어, 학교에 과외 활동 옵션이 거의 없다면 대신 지역사회 봉사활동, 소규모 사업이나 동아리 활동, 온라인 강좌 수강, 지역 또는 국가 프로그램 참여 등 다른 방식으로 참여하려는 지원자를 높이 평가한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은 종종 돋보인다. 방과 후에 일을 하거나 가정을 돌보는 경우, 그런 노력은 중요하다. 모든 헌신에 자격증이나 트로피가 따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입학 사정관들은 잘 알고 있다. 지원서 추가 정보란에 과외활동이 제한적 일 수 박에 없는 이유를 명시하면 된다. 장거리 통학이나 방과후 가족 돌보기 등의 경우다.  

넷째, 리더십과 주도성은 변화를 만든다.

변화를 주도하고, 창조하고, 추진하는 학생은 인상을 남길 수 있다. 진정한 리더십은 직함이나 상이 아니다. 리더십은 행동이다. 중요한 것은 의지, 책임감, 끝까지 해내는 것이다. 클럽 회장, 부회장, 서기 또는 재무를 맡는 것도 인상적이지만, 고교나 주변 지역 사회에 봉사하는 클럽을 창립하거나 공동 창립한 학생들도 돋보인다. 하지만 클럽의 회장이나 부회장이 될 필요은 없다. 리더십 역할을 맡다가 물러나 다른 사람에게 리더십 기회를 주면, 자신보다 다른 사람을 더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나에게 맞는 과외 활동이 좋다.

전공이나 직업 목표에 맞는 과외 활동이 눈에 띌 수 있다. STEM전공 지원자라면 로봇 동아리나 수학 동아리 등 전공과 관련된 과외 활동을 찾을 수 있다. 입학에 필요한 요건은 아니지만, 선택한 진로에 대한 진정한 관심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가 될 수 있으며, 사정 과정에서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호기심과 진취성을 보이는 학생도 큰 무언가에 참여하고 싶어하는 지원자를 선호한다.  

장병희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