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신입생, 소수인종 우대 폐지로 흑인 줄고 아시아계 증가

(워싱턴=연합뉴스) 박성민 특파원 = 미국 최고 명문대인 하버드대의 올해 미국인 신입생 가운데 흑인 및 히스패닉계는 줄고, 아시아계 비율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언론들은 지난 2023년 6월 미국 대법원이 대학 입학에서 교육 다양성 확대를 위해 소수 인종 입학을 우대하는 정책인 이른바 ‘어퍼머티브 액션'(Affirmative Action)에 대해 위헌 판결을 내린 결과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2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하버드대가 이날 발표한 자료에서 올해 신입생 중 자신이 흑인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라고 밝힌 학생은 지난해 14%에서 11.5%로 줄었다.

히스패닉 또는 라티노 신입생 역시 지난해 16%에서 11%로 하락했다.

반면 아시아계 미국인 학생 비율은 37%에서 41%로 증가했다. 하버드대는 백인 비율은 공개하지 않았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 수치는 2023년 미 대법원이 인종을 고려한 입학제도를 무효로 하는 판결을 한 이후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된 완전한 입학 주기를 반영한다”고 평가했다.

당시 소송에서 피고였던 하버드대는 아시아계 미국인 입학 지원자를 차별했다는 혐의를 부인했으나, 결국 기존 소수인종 우대 방식을 전면 개편해야 했다.
특히 올해는 하버드대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지원자들에게 표준화된 시험 점수 제출을 요구한 첫해였다.

하버드 측은 이로 인해 지원자 수가 줄었다고 밝혔지만, 지원자는 표준 시험점수 제출 의무가 없어졌던 팬데믹 이전보다 여전히 10% 높은 수치라고 NYT는 짚었다.

하버드대와 마찬가지로 미 아이비리그 명문인 프린스턴대도 흑인 신입생 비율이 지난해 8.9%에서 올해에는 1968년 이후 최저인 5%로 떨어졌고, 아시아계 비율은 작년 23.8%에서 올해 27.1%로 커졌다.

다만, 하버드대가 이날 공개한 데이터는 신입생이 스스로 보고한 것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인종별 신입생 비율을 나타낸다고 보기는 어렵다.

NYT는 “많은 학생이 자신의 인종을 보고하지 않는다. 올해 하버드대에서는 그(스스로 보고한 학생) 비율이 8%로, 작년과 같았다”고 전했다.

한편, 2029년에 졸업하는 올해 하버드대 신입생은 1천675명으로 이들은 미국 50개 주(州)와 92개국 출신이다. 국제 학생 비율은 15%로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NYT는 분석했다.

이들 가운데 21%는 저소득층 학생을 위한 ‘펠 그랜트'(Pell Grant) 연방 장학금 혜택을 받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버드대는 지난 3월 학부생 등록금 면제 대상 범위를 기존 연 가계소득 8만5천 달러(약 1억2천만원)에서 20만 달러(약 2억8천만원)로 확대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min2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성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