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 하마스 등 시위 참가자 대상
한인 유학생들도 우려의 목소리

UC 계열 대학에서 유학생들의 비자가 잇따라 취소되면서 대학가에 불안감이 감돌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반 이스라엘, 친 하마스 등 정치적 시위에 참여하는 유학비자(F-1) 소지자의 비자를 취소하는 정책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우선 지난 주말 UCLA 유학생 12명의 비자가 취소됐다.
UCLA 훌리오 프렌크 총장은 지난 6일 교직원과 학생에게 서한을 발송, “학생비자(F-1) 소지 재학생 6명, 졸업 후 현장실습(OPT) 중인 이 대학 졸업생 6명 등 총 12명의 비자가 취소됐다”고 밝혔다.
프렌크 총장은 “우리 대학 관계자가 최근 일상적인 SEVIS 등록 확인 과정에서 재학생 6명과 OPT 중인 졸업생 6명의 비자가 취소된 사실을 알게 됐다”며 “(비자 취소 이유는) 비자 프로그램 조건을 위반했기 때문이라고 명시돼 있었다”고 전했다.
또, 프렌크 총장은 “이는 국토안보부와 연결된 학생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정기 감사(routine audit)’에서 드러났으며, 연방 정부는 관련 비자를 취소하면서 별도로 대학 측에 통보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현재 UC 계열 캠퍼스마다 유학생들의 비자 취소 사례는 잇따르고 있다.
LA타임스는 지난 4일부터 UC 버클리를 비롯한 샌디에이고, 데이비스, 리버사이드, 샌타크루즈 등 대학 운영진으로부터 학생 비자가 취소됐다는 공지가 발표되고 있다고 7일 보도했다.
이번에 비자가 취소된 유학생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반유대주의 확산 방지 정책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7일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대학가에서 반이스라엘 시위와 관련된 유학생 등의 비자를 취소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루비오 국무장관은 “대학에서 건물을 점거하고 기물을 파손하거나 학생들을 괴롭힌 약 300명의 비자를 취소했다. 해당 사례를 발견할 때마다 비자를 취소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해 UCLA에서는 친팔레스타인 시위대와 친이스라엘 시위대가 맞붙으면서 무력 충돌이 벌어지는 등 극심한 갈등을 빚은 바 있다.
프렌크 UCLA 총장은 “우리 대학 유학생과 교직원의 우려를 이해하며, UC 계열 마이클 드레이크 총괄 총장과 연방 정부 정책 대응에 관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UCLA 한인 유학생들은 학생비자 심사 강화 및 등록 취소 소식에 불안함을 느끼고 있다.
UCLA 재학 중인 알렉스 김 씨는 “한인 학생들이 익명으로 모인 단체 채팅방 등에서 비자 관련 상담과 우려의 목소리가 많이 오가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뉴욕타임스(NYT) 등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지난달 25일자로 재외공관에 전보를 보내 학생비자, 교환 방문(J)비자, 직업 훈련(M)비자 신청자의 소셜미디어 내용을 면밀히 조사하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김형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