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원장의 ‘에듀 코칭’ | 연구 프로젝트 도전
관련 논문 찾아 읽어도 연구 과정의 일부
교수와 좋은 관계는 연구 참여 기회 제공
대학이 사랑할 수밖에 없는 한 가지가 있다. 바로 학생의 독자적인 연구 프로젝트(Independent Research Project). 학생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을 탐구해나가는 학생을 가장 학구적인 형태로 미래의 대학에 표현해주는 훌륭한 결과물(특이 이력)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나 BSMD(7~8년 통합 의대 과정) 특수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학생들이나 하버드, 스탠퍼드, 캘텍, MIT 등 최고 명문 대학에 도전하는 학생들이라면 한번은 이런 연구 활동을 고민해봤을 것이다. 독자적으로 연구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학생에게 현장에서 지도하는 5가지 스텝을 소개한다.
▶1: 연구 분야 관련 지식 습득
기초 지식이 없다면 연구를 못 한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탐구하고 싶은 분야와 분야에 이해와 지식을 습득하는 일이 단계별로 계획표로 만드는 일 못지않게 중요하다. 관련 과목에서 Honors/AP/IB/대학수업을 이수하는 기본적인 일부터, 인터넷 교육 사이트(Courera.org/ Edx.org/ Udacity.org)를 통해 고등학교에서 배울 수 없는 대학 수업을 수강하는 것도 방법이다.
거주지 인근 커뮤니티 칼리지에 이중등록(Dual enrollment)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고등학교에서 AP 생물학을 이수한 뒤 대학에서 미생물학을 공부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건 교수와의 관계다. 운이 좋다면 교수가 진행 중인 리서치 연구실에서 일해볼 기회를 얻기도 한다. 또는 좋은 친분을 쌓아두면 훗날 나의 독자적인 연구 프로젝트의 지도 교수가 되어줄 수도 있다. 기억하자. 중요한 건 연구에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지식 습득이다.
▶2: 관련 논문 충분히 찾기
모든 연구를 밑바닥부터 시작할 필요는 없다. 일단 구글 스칼라(scholar.google.com)를 통해 검증된 질 높은 학술 자료들을 검색하거나, 공개 논문 자료를 관계 웹사이트인 EBSCO(www.ebsco.com)나 JSTOR(www.jstor.org)를 통해 검색하자. 내가 읽고 해석해본 자료들도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임을 기억하자. 그 시간도 프로젝트 저널에 기록하고 내가 분석했던 모든 논문자료의 출처들을 내 이력에 꼼꼼히 적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
재정이 허락된다면 여름 방학 동안 유수 대학의 리서치 프로그램에 실제로 참여해 보는 것도 추천한다. 연구 대학의 수준 높은 연구실과 장비들도 경험해보고 연구원으로 참여해보는 경험은 나의 연구 프로젝트 수준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존스홉킨스대학의 고교생용 여름 연구 프로그램들이 좋은 예다. https://cty.jhu.edu/resources/academic-opportunities/internships
▶3: 독립 연구 제안서 작성및 지도교수 찾기
이젠 멘토를 찾아 나설 때다. 내가 연구하고 싶은 주제와 증명하려는 결론이 포함된 연구 제안서를 만들어보자. 학업 성취도(AP, SAT, SAT 서브젝트, GPA)와 연구 분야에서의 이력(관련 서적, 학술자료, 논문들을 읽은 기록부터, 대학 수업 기록까지)과 연구 프로그램 참여 이력(서머 프로그램, AP 세미나, AP 리서치 등)을 꼼꼼히 기록해 내가 지금껏 다양한 노력으로 분야의 지식이 축적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게 중요하다.
그 다음은 이력서가 포함된 제안서를 가지고 내가 하고자 하는 연구 프로젝트를 지도해줄 지도 교수를 물색하는 일이다. 어떻게 보면 이 모든 과정에서 가장 큰 난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실망하지 말자. 끝없는 이 거절 역시 이 모든 과정의 일부분이다. 기회는 부탁 하는 게 아니라 얻어내는 것이다.
▶4: 연구 및 논문 완성
지도 교수의 조언에 따라 실험 방법과 관련 이론 공부를 착실히 하면서 논문의 방향을 잡는다. 20~25페이지의 완성된 연구 논문은 짧게는 10주에서 길게는 한 학기가 걸리기도 한다. 지도 교수에게 최종 검토까지 받을 수 있다면 당신은 아주 훌륭한 지도 교수에게 값진 배움을 받은 것이니 감사해야 한다.
▶5: 학술지에 발표 또는 연구 논문 경시 대회 출전
그렇게 완성된 연구 논문이 저명한 학술지에까지 (published) 실리게 된다면 그때야 진정한 업적으로 간주할 수 있다. 지난 학술지들에 실린 다른 학생들의 연구 논문들을 살펴보면 기대치를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 고등학생 연구 논문을 출전하는 전국 경시 대회에 도전해볼 수도 있다.
◇대표적인 고교 학술지
The Columbia Junior Science Journal
The National High School Journal of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 School Research
Journal of Emerging Investigators
High School Mathematics Science Journal
◇고교생 리서치 경시 대회
Regeneron Science Talent Search
International BioGENEius Challenge
TOPPS Competition for High School Psychology Students
제이 박 원장 / 라스베이거스 엘리트 프랩
jay.park@elitepre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