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저지주 아시안 학생 성적 우수

표준시험 합격률 평균 상회 올 봄 치러진 뉴저지주 표준시험인 뉴저지학생학습평가(New Jersey Student Learning Assesment·NJSLA)의 학군별 합격률이 공개된 가운데 이번에도 역시 아시안 학생들이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뉴저지주 교육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주 전체 아시안...
Federal Pell Grant phrase on the piece of paper.

작년 뉴욕주 고교 졸업생, 펠그랜트 2억2500만불 놓쳐

저소득층 학생 FAFSA 정보 부족신청 양식 작성 까다로워 포기도   각종 오류로 올해 무료연방학자금신청서(FAFSA) 제출 건수가 크게 감소한 가운데, 지난해 뉴욕주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FAFSA 미신청으로 펠그랜트 연방지원금 2억2500만 달러를 놓친 것으로 나타났다. '펠그랜트'란 저소득층 학생에게 연방정부가...

FAFSA 양식 10월 1일 공개

8월부터 베타 테스트제출 과정 간소화 전망 2025~2026학년도 연방 무료학자금신청서(FAFSA) 양식이 오는 10월 1일 공개될 전망이다.  지난 23일 교육부는 “10월 1일 올해 FAFSA 양식을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각종 오류와 기술적 문제로 인해 2023~2024학년도 FAFSA 양식은 1월에, 2024~2025학년도...

“대학은 인공지능 시대에 부합하는 인재 찾는다”

학부모 교실 l 인공지능과 대입 준비 인공지능(AI)의 적용은 세계 경제와 산업 전반뿐만이 아니라 미래를 예측하고 준비하는 모든 분야에서 상용화되고 있다. 이런 흐름은 대학 입시 부문에도 예외가 될 수 없는 현실이 됐다. 대학의 입학심사 과정에 인공지능이...

의학전문대학원 진학 한인 4년간 2000명 육박

입력 2023.03.19 20:26 인도·중국 이어 아시아계 톱3꾸준히 증가세…연간 500명대작년 합격률 48%·여성이 많아 전국에서 의학전문대학원(이하 의전원)에 진학하는 한인이 지난 4년간 2000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의료계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한인은 의전원에 진학하는 아시아계 중 ‘톱3’에 속했다.본지는...

[칼리지페어] 심활경 작가, 세 딸을 하버드에 보낸 비결을 말하다

오는 9월 7일, 미주중앙일보가 주최하는 온라인 칼리지페어에 심활경 작가가 연사로 나서 세 딸을 모두 하버드에 진학시킨 경험과 교육 철학을 나눌 예정입니다. 심 작가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나는 이렇게 세 딸을 하버드에 보냈다"라는 책을 출간했으며,...

[자녀의 대학 결정 돕기] 명문도 좋지만….

부모 의지로 압력 넣지 말고재정 지원 등 찬찬히 살피고위치, 학업 기회 등 고려해야 대부분 대학이 합격자 발표를 끝냈다. 이제 예상했든 아니든 간에 결과를 받아들여야 하는 시점이다. 지원한 모든 대학에서 합격증을 받지 못한 경우만 아니라면 진학할...

단순히 공짜라서? 6억명 사로잡은 외국어 공부 앱의 성공 비밀

“우리의 진짜 경쟁자는 틱톡·인스타그램 같은 소셜미디어(SNS) 플랫폼이다.” SNS 플랫폼 창업자의 얘기가 아니다. 무료 외국어 학습 앱인 ‘듀오링고’ 최고경영자(CEO) 겸 창업자인 루이스 폰 안은 지난 11일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사람들은 SNS에서 더 많은 시간을 쓰고, 우리는...
This photo is free for public use. ❤️ If you do use this photo, Please credit in caption or metadata with link to "www.useproof.com".

차별화된 스펙을 갖고 싶다면 ‘청소년 창업’ 을 주목하라

매년 경쟁이 치열해지는 대학 입시를 준비하기 위해 학생들은 좋은 학점 및 시험 점수 관리 뿐만 아니라 다른 학생들과 차별화할 수 있는 남다른 스펙 쌓기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추세입니다. 대학교에서는 수동적으로 공부만 잘하는 우등생을 입학시키는...

초등 자녀에게 공부 기술 가르쳐야 하나

초등학생 자녀가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한다고 답답해 하는 학부모도 종종 보인다. 초등학생이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마음처럼 움직이지 못하는 이유는 공부하는 만큼 성적 향상 효과가 쉽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공부한다고 무조건 책상 앞에 앉아있는다고 해도...

교육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