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Blog Page 10

‘성 정체성 부모 알림 금지’ 논란…연방 교육부, 가주 정부 조사한다

0

트럼프 행정명령과 상충
34억불 지원금 잃을 수도

연방정부가 학생의 성 정체성을 부모에게 알리는 것을 금지한 가주 정부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한다.

이로 인해 가주 정부는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연방 교육 지원금을 받지 못할 위기에 처했다.

연방 교육부는 트럼프 행정부의 행정명령과 지난해 7월 개빈 뉴섬 가주 주지사가 서명한 학생 성 정체성 부모 알림 금지법 등의 상충 여부를 조사한다고 27일 발표했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는 미성년자의 성전환을 돕는 의료 서비스 기관에 대한 연방 자금 지원을 중단하고, 출생 시 성별과 일치하지 않는 화장실 이용, 트랜스젠더의 여성 스포츠 출전 금지 등의 내용을 담은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린다 맥마흔 연방 교육부 장관은 이날 “교사와 학교 상담사는 학생의 성 정체성과 정신 건강 등에 대해 결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며 “특히 이러한 중요한 정보를 가장 가까운 부모 또는 보호자에게 숨기는 것은 비도덕적이며 연방법에 위배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뉴섬 주지사는 지난해 전국 최초로 학교가 자녀의 성 정체성을 부모에게 알리는 길을 원천 차단하는 ‘트랜스젠더 학생 보호법안(AB1955)’에 서명했었다. 〈본지 2024년 7월 17일 A-1면〉

당시 이 법은 학부모가 자녀에 대한 ‘알 권리’를 침해한다는 점에서 논란이 계속됐다.

LA타임스는 27일 “가주 정부는 이번 조사로 인해 연간 34억 달러 이상의 연방 지원금을 잃게 될 수도 있다”며 “가주 정부와 트럼프 행정부 간의 대립이 극심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가주 정부는 벌써부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롭 본타 가주 검찰총장은 “가주의 모든 학교는 포용적이며 안전한 장소가 될 것”이라며 “연방 정부가 우리가 무엇을 가르치는지 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와 별개로 자녀의 성 정체성에 대한 부모 통보 금지법은 가주 내에서도 문제가 됐었다. 남가주의 오렌지, 테미큘라, 무리에타 교육구 등이 이 법에 반발하며 파장이 일기도 했다.

정은경(42·풀러턴) 씨는 “자녀 교육에 대한 최우선 권리는 정부가 아닌 부모에게 있는 것 아닌가”라며 “정부가 학생에 대한 모든 것을 전적으로 책임질 것도 아니면서 부모의 권리를 법으로 제한한다는 건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장열 기자 jang.yeol@koreadaily.com

애틀랜타 한국학교 동화·낱말대회…이하윤, 김윤아 양 수상

0

한국어 문해력과 맞춤법 실력을 겨루는 동화 및 낱말대회가 지난 22일 애틀랜타 한국학교에서 열렸다.
 
올해로 26회째를 맞은 동화 대회는 5~6학년을 대상으로 세종대왕, 유관순 등 역사적 인물을 다룬 전기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해 개최됐다. 올해 금상은 붓꽃반 이하윤양이 차지했다.
 
제30회 낱말대회도 이날 함께 열렸다. 예선 심사를 거친 25명 학생들이 어휘력과 맞춤법 등 한글 능력 전반을 겨뤘다. 1등상 수상자는 꽃동산반 김윤아양이다.  
 
심준희 한국학교 교장은 “대회를 통해 한국어 실력을 키우고 선조의 삶에서 나라와 이웃 사랑의 교훈을 배울 수 있었다”고 전했다. 김현주 법률사무소가 대회를 후원했다.

장채원 기자 jang.chaewon@koreadaily.com

조지아주, ‘K-8 교내 휴대전화 사용금지’ 주지사 서명만 남았다

0

[애틀란타 중앙일보]

조지아 주의회서 법안 통과

조지아주 K-8학년 공립학교에서 휴대전화를 포함해 스마트워치, 태블릿PC 등 통신기기 일체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이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조지아주 상원은 주의분산 방지(Distraction-Free)법으로 불리는 하원 법안(HB 340)을 25일 통과시켰다. 해당 법안은 지난 4일 하원에서 이미 통과된 터라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가 서명하면 내년 7월부터 시행된다.

법안은 K-8 학생들의 교내 통신기기 소지를 금지한다. 휴대전화, 스마트워치, 태블릿PC, e북(전자책) 리더기 등 일체의 통신기기가 모두 제한 대상이다. 각 교육구는 휴대전화를 따로 보관하는 지침을 법 시행 전까지 마련해야 한다. 장애 등 의료적 필요성이 있는 학생은 사용 제한에서 제외된다.

이미 일부 교육구는 자체적으로 교내 휴대전화 제한을 실시하고 있다. 마리에타, 디캡 카운티 등은 올들어 시범적으로 휴대전화 사용 금지 규정을 시행하고 있다. 해당 교육구는 휴대전화 금지 조치 후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가 높아졌으며 문제 행동과 정신건강이 개선됐다고 밝혔다.

다만 일각에서는 학교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학부모가 자녀의 안전을 확인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작년 총격 참사가 벌어진 애팔래치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은 학교 공지보다 10분 이상 빠르게 부모들과 정보를 공유했다”고 전했다.

장채원 기자 jang.chaewon@koreadaily.com

[JSR] Exploring Rights & Responsibilities: The Power of NHD (3/27/2025)

0

매주 목요일자 중앙일보 본국판 신문에 게재되는 기사는 www.KoreaDailyUS.com (중앙일보 영어 사이트)에도 동시 게재됩니다.

Newspaper PDF Download


How Oxford Academy Celebrates Global Cultures (by Nicole Lee)


East Valley’s Boys Baseball Team (by Justin Kim)


Neuroscience Q&A at Science Academy STEM Magnet (by Ryan Park)


Exploring Rights & Responsibilities: The Power of NHD (by Rachel Choi)


Pros and Cons of Getting a Driver’s Permit (by Summer Park)


Voices of Dissent: Tesla Protests Spark Nationwide (by Dana Rhee)


제6회 남가주 한국학원 역사·문화캠프

0

지난 22일 남가주 한국학원(이사장 박성수)은 본부와 LA한국교육원에서 산하 주말 한국학교 10개 학생및 교직원 140여명이 참가한 ‘제6회 남가주 역사·문화캠프’를 진행했다. 한인 등 고등학생들은 한국 역사와 문화, 한인사회 이민역사 등을 배우며 한인 정체성을 함양했다.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남가주 한국학원 제공]    

김형재 기자 kim.ian@koreadaily.com

USC ‘재정 옥죄기’…석·박사 ‘직격탄’

0

연방정부 지원금 중단 압박에
채용 동결, 재량 지출 제한 등
총장이 9가지 긴축 조치 발표
“박사 과정 받아주는데 없어”

USC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 기금 지원 삭감 정책에 대비해 직원 채용 동결 등 운영상의 긴축 조치를 지난 24일 발표했다.

이는 한인 석·박사 과정의 학생들에게까지 여파를 미치고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

LA타임스는 캐롤 폴트 USC 총장이 교직원들에게 발송한 서한을 인용, 직원 채용 동결을 비롯한 지출 관리 재검토, 재량 지출 등을 제한하는 9가지의 긴축 조치가 발표됐다고 이날 보도했다.

USC의 이러한 긴축 조치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 폐지 등과 함께 이를 따르지 않는 고등교육기관에 대해 연방 정부가 제공해온 연구 보조금을 삭감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가운데 나온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USC를 비롯한 남가주 지역 대학 및 전국 60개 대학에 반유대주의 조사에 착수하고, 교육기관이 인종, 피부색, 출신 등을 이유로 차별하는 것을 금지하는 민권법을 위반할 경우 보조금 지급을 중단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USC 김선호 박사는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 연구비 지원 등이 불확실하니까 교수들이 박사 과정 학생들을 제대로 뽑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심지어 연방 정부의 연구비 지원에서 간접비(오버헤드) 부분의 경우 15% 이상 청구하지 못하도록 했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굉장히 큰 문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매체는 “감축 조치는 지난해 11월 USC가 내부 재정 태스크포스를 통해 이미 1억 5800만 달러의 적자가 발생해 각 분야의 비용 절감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힌 후 나온 것”이라며 “긴축 계획은 즉시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미 USC는 지난 2월 대학 내 다양성·포용성사무국(OID) 웹사이트를 폐지하고 관련 성명서 삭제, 해당 부서의 교수 직위 등을 없애는 등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어느 정도 발을 맞춰왔다.

USC 산제이 마다브 공대 교수는 “이번 조치가 교수 채용 면접 단계에 있는 후보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우려된다”며 “인터뷰가 진행된다 해도 재정 지원이 끊기면 결국 그들을 위한 자리가 없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우려했다.

남가주 지역 한 유명 대학에서 석사를 마친 김 모 씨는 “지금 대학마다 지원금 축소 문제 때문에 박사 과정에 지원해도 뽑아주는 곳이 없다”며 “지금 이 때문에 유능한 학생들이 미국을 떠나 중국이나 싱가포르 등으로 가는 추세인데 이는 장기적으로 보면 미국에도 인재 유출로 인한 피해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각 대학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은 본격화되고 있다. 남가주 지역에서는 USC를 비롯한 포모나 칼리지, 채프먼 대학 등이 연방정부로부터 조사를 받고 있다.

UC의 경우도 트럼프 행정부의 대학 예산 삭감에 대비, 지난 19일 각종 비용 삭감 등을 단행하는 운영 방안을 발표했었다.

이밖에도 아이비리그의 하버드 대학을 비롯한 스탠퍼드대, 펜실베이니아대, MIT 등이 지출을 줄이기 위해 최근 교수진과 직원 채용을 동결하는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이미 컬럼비아 대학의 경우는 유대인 학생에 대한 괴롭힘을 방치했다는 이유로 연방정부로부터 4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이 취소되기도 했다.

한편, USC는 이번 긴축 조치와 관련해 논평을 거부하고, “24일 발표한 내용과 지난해 11월 TF가 발표한 재정 계획 메모를 참조하라”고만 밝혔다.

장열 기자ㆍjang.yeol@koreadaily.com

5만불 장학금 ‘에디슨 장학생’ 영예…우드브리지고 매튜 장

0

형 벤저민도 6년 전 선정

(사진=에디슨 인터내셔널 장학금 안내 유튜브 캡처)

어바인 우드브리지 고교 매튜 장(12학년·사진)군이 에디슨 인터내셔널이 수여하는 장학금 5만 달러를 받는다.

매튜 장

남가주 에디슨(SCE)의 모기업 에디슨 인터내셔널은 스템(STEM: 과학, 기술, 엔지니어링, 수학) 분야 가운데 환경 과학을 전공할 예정인 장군에게 4년에 걸쳐 장학금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장군은 중학교 시절인 2021년 주위 학교 학생들과 함께 친환경 정원을 만들었다. 친환경 정원은 지난해까지 오렌지카운티 곳곳에 12개로 늘었다. 이들 정원에서 생산되는 1만1000파운드의 과일, 채소, 허브는 저소득층 구호 기관과 학교 카페테리아에 제공됐다. 어바인 시는 커뮤니티에 크게 기여한 장군의 공로를 인정, 지난해 ‘어바인 영예의 벽’에 장군의 이름을 새겨 넣었다.

장군의 형인 벤저민도 우드브리지 고교 재학 중이던 지난 2019년 에디슨 장학생으로 선정된 바 있다. 에디슨 인터내셔널은 올해로 20년째 매년 남가주 에디슨의 서비스 지역 고교 졸업반 학생 30명을 선정해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연방 교육부 해체 반발 움직임 커져

0

[뉴욕 중앙일보]

전국교사노조, 전미교육협회 등 트럼프 행정부 제소
뉴욕 등 21개주 검찰, 연방법원에 가처분 명령 요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교육부 해체를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이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먼저 전국교사노조(AFT)와 전국대학교수협회(AAUP) 등이 24일 매사추세츠주 연방법원에 “교육부 해체에 반대한다”며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몇 시간 후 전미교육협회(NEA) 등 단체들도 메릴랜드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AFT 측은 “교육부를 해체하면 학생과 학교뿐 아니라 전국 지역사회에 실질적인 피해를 입힐 것”이라며 “교육부는 공평한 공교육의 초석”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레티샤 제임스 뉴욕주 검찰총장을 포함한 민주당 주도 21개주 검찰 역시 연방법원에 교육부 해체를 막기 위한 가처분 명령 신청서를 제출했다. 앞서 지난 13일 트럼프 행정부가 교육부 직원 1300여명을 대량 해고한 것이 위헌 조치라며 21개주 검찰은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는데,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교육부 해체 행정명령에 서명하자 연방법원에 가처분 명령을 요청한 것이다. 

 제임스 총장은 “교육부 해체는 교사, 학교, 학생들에 대한 공격”이라며 “교육부 해체를 막기 위해 소송을 제기했고, 학생과 가족들을 보호하기 위한 법원 명령을 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 검찰에 따르면, 교육부 직원 대량 해고로 인해 전국 교육부 사무실이 폐쇄됐으며, 주 학교 시스템에 중요한 자금 지원도 지연되는 상태다. 뉴욕주 교육국 역시 3억6300만 달러에 달하는 연방 지원금을 받아야 하는데, 현재 교육부에 대대적인 변화가 생기며 연방 자금 전달이 지연되고 있다. 

 뉴욕주 검찰 등 21개주 검찰 측은 “트럼프 행정부의 교육부 해체 시도는 불법적이며 위헌적인 조치”라고 주장했다. 교육부는 연방의회의 승인을 받은 행정 기관이기 때문에, 트럼프 행정부가 의회의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교육부를 해체할 법적 권한이 없다는 설명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교육부 폐지 행정명령 서명 이후 학자금 대출 프로그램을 앞으로는 중소기업청(SBA)이 관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으나, 전문가들은 “SBA 인력도 감축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학자금 대출 관리가 원활하게 진행될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윤지혜 기자 yoon.jihye@koreadailyny.com  

한인 청소년들 재난 대응 교육 워크숍

0
한인 청소년들 재난 대응 교육 워크숍

지난 22일 피오피코 도서관에서 한미연합회(KAC·대표 유니스 송) 모의 유엔 학생들이 ‘재난 대응 교육 워크숍’에서 지난 1월 LA 대형 산불 재난 현황을 짚어보고, 재난 발생시 취해야 할 대처 방법을 공유했다. 이번 워크숍은 미주한인재단(KAF)과 드와이트 스튜어트 유스 펀드가 후원했다. 학생들이 재난 사태 발생 시 대응 수칙을 배우고 있다.

김형재 기자

컬럼비아대 한인 학생, 추방 막기 위해 트럼프 행정부 제소

0

[뉴욕 중앙일보]

친팔레스타인 시위 참여로
ICE 요원들에게 쫓기자 
정윤서 학생 소송 제기

친팔레스타인 시위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이민세관단속국(ICE) 요원들에게 쫓기고 있는 컬럼비아대 한인 학생 정윤서 씨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관리들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어린 시절부터 미국에 거주한 21세 영주권자 정 씨는 ICE 직원들이 그를 찾기 위해 대학 기숙사를 수색하자 24일 맨해튼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컬럼비아대 3학년생인 정 씨는 지난해부터 대학 내 친팔레스타인 시위에 참여했으며, ICE 측은 정 씨의 미국 체류가 반유대주의 확산을 막으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노력을 방해한다고 주장하며 그를 체포하기 위해 수색을 진행 중이다. 

 정 씨의 소장에 따르면, ICE 요원들은 지난 13일 미국에 불법으로 체류하는 이들에게 은신처를 제공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은신처법’을 인용한 영장을 갖고 컬럼비아대 캠퍼스 내 주거지 두 곳을 수색한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타임스(NYT)는 이에 대해 “이제 합법적으로 미국에 체류하는 이민자들도 표적이 되기 시작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7살 때 한국에서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한 정 씨는 아직 체포되지 않은 상태이며, 정 씨의 변호인은 “트럼프 행정부의 행보를 감안해 그의 행방에 대해 언급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윤지혜 기자 yoon.jihye@koreadailyny.com

교육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