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Blog Page 113

LAUSD 겨울방학 특별프로그램 인기…2년만에 2배가량 증가

0

LA통합교육구(LAUSD)가 진행한 겨울방학 보충수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2년 만에 두 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LA통합교육구(LAUSD)가 오는 18일부터 3주동안 겨울방학에 들어간다. LAUSD는 학생들의 학과목 보충을 위해 방학 첫주 사흘동안 보충수업을 진행한다. 한인타운 11가와 베렌도의 몬세뇰 오스카 로메로 차터스쿨(교장 프레디 제페다·앞줄 가운데) 학생들이 15일 마지막 수업을 마치고 활짝 웃고 있다. 장연화 기자

LA타임스는 3주간의 겨울방학이 시작된 18일부터 3일간 진행한 겨울 아카데미에 6만8000명 이상이 산하 350개 캠퍼스에 등록해 수업을 들었다고 20일 전했다. 이는 LAUSD가 지난해 처음 시도한 겨울 아카데미 등록생(3만6486명)보다 2배 가까이 되는 규모다.  
 
LAUSD의 겨울 아카데미는 학생들이 가을학기에 낙제한 과목을 재수강해 점수를 보충하거나, 수학이나 과학 등 팬데믹 기간에 놓친 학습 공백을 메울 수 있도록 종일반 수업을 제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맞벌이 부부이거나 자녀를 사설 프로그램에 보낼 수 없는 저소득층 가정들은 겨울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반겼다. 현재 이 프로그램을 위해 투입된 예산은 1160만 달러에 달한다.  
 
LAUSD는 학부모들의 반응이 좋자 봄방학에도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보충 수업을 받을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봄방학 아카데미의 경우 3만4000여명이 등록했다.

한편 알베르토 카르발로 교육감은 20일 “학생들의 학업 수준을팬데믹 이전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최고의 교사들이 가르치고 있는 만큼 학생들의 실력도 나날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장연화 기자 chang.nicole@koreadaily.com

[ASK교육] 표준시험 점수, 자발적으로 원서에 기입해야 하나

0

▶문= 대입 원서에 각종 표준시험 점수를 자발적으로 기입하는 것이 좋은가?
 

▶답= SAT, ACT, AP 등 고등학교 때 치른 각종 표준시험 점수를 대입 원서에 자발적으로 기입하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어차피 공식 스코어리포트를 지원 또는 합격한 대학에 의무적으로 보내야 하기 때문이다. 보통 지원자는 공식 스코어 리포트를 대학에 보내기 전에 커먼 앱(Common App)을 통해 표준시험 점수를 자발적으로 기입한다.  
 
대학 입학 사정관들은 원서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지원자가 자발적으로 리포트한 시험 점수를 들여다본다. 그런 다음 나중에 공식 스코어 리포트를 접수한 후 학생이 기입한 점수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원서에 모든 시험 점수가 한 곳에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입학 사정관 입장에선 학생이 점수들을 자발적으로 기입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명문대 입시경쟁이 워낙 치열하기 때문에 정보 하나하나가 소중하다.  
 
UC와 캘 스테이트 대학(CSU)의 경우 SAT와 ACT 점수는 입학심사 과정에서 고려하지 않지만 대부분 사립대는 학생이 점수를 기입하면 들여다본다. SAT, ACT 점수 제출이 선택사항 (optional)이지만 뛰어난 점수를 원서에 기입하면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봐야 한다. 

하지만 예상한 것보다 저조한 성적을 받아들 경우 테스트 옵셔널 정책을 십분 활용해 점수를 적지 않는 편이 나을 수도 있다. 학생 본인이 전략적으로 잘 판단해서 결정해야 한다. 첫 번째 시험에서 그저 그런 점수가 나오면 2차, 3차 시험에서 점수를 최대한 끌어올리는데 집중한다. 대학들은 수차례 시험을 봐도 그중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채택하며 학생도 가장 잘 본 시험 점수를 원서에 기입하면 된다.  
 
AP 시험도 SAT, ACT와 성격이 비슷하다. 좋은 점수로 평가받는 5점(만점) 또는 4점의 경우 자발적으로 리포트하는 것이 좋으며, 턱걸이 패싱 스코어인 3점, 낙제점인 2점 또는 1점은 가급적이면 기입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목표가 명문대라면 말이다.  
 
AP 시험을 많이 보고, 높은 스코어를 얻으면 UC의 경우 졸업에 필수인 교양과목 크레딧을 받는 경우가 많아 졸업을 앞당기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일부 대학은 AP 시험 점수에 대해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지만 경쟁력 있는 점수는 입시 과정에서 도움이 되면 됐지 절대 해가 되지 않는다.  
 


 지나김 대표
www.theadmissionmasters.com
▶문의: (855)466-2783

[JSR] What Would Happen Without Electronics? (12/20)

0

매주 목요일자 중앙일보 본국판 신문에 게재되는 기사는 www.KoreaDailyUS.com (중앙일보 영어 사이트)에도 동시 게재됩니다.

Newspaper PDF Download


Exploring The Claremont Colleges (by Thomas Lee)


Negative Body Image? (by Kaylyn Wee)


Happy Holidays: KYCC Christmas Carnival (by Erin Ryu)


Authentic Korean Cultural Experiences (by Angel Song)


Social Media is Heavily Influencing Our Lives (by Ian Lee)


What Would Happen Without Electronics? (by Isaac Lee)


명문 에모리·조지아텍·UGA, 올해 ‘얼리’ 합격률 30% 이상

0

[Atlanta] 입력 2023.12.19 17:15 수정 2023.12.19 18:15

‘얼리’ 합격자 잇따라 발표

에모리대학 이미지

조지아의 주요 대학 2024학년도 신입생(Class of 2028) 수시(얼리 디시전 및 액션) 결과가 12월 중순까지 발표된 가운데, 에모리, UGA(조지아대학), 조지아텍 모두 합격률이 30%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UGA가 1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수시 전형인 얼리 액션 지원자는 2만6760명으로, 지난해 지원자 수보다 3.5% 늘었다. 이 중 9000명이 합격해 합격률 33%를 기록했다. 합격자의 50%가 조지아주 주민인 ‘인 스테이트’ 학생이고, 25%는 타주 학생들로 집계됐다.  

UGA는 학생들에게 SAT 또는 ACT 점수를 요구했다. 합격자의 SAT 점수(중앙 50%에 속해있는 범위)는 1370~1500점, ACT 점수는 31~34점으로 집계됐다. 학교 성적(GPA)은 4.13~4.38이었다.    

UGA는 아직 정시 전형인 레귤러 디시전이 남아있으며, 1월 1일까지 원서를 접수할 수 있다. 정시 결과는 3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발표된다.

이공계열 랭킹 전국 최상위권인 조지아텍은 얼리 디시전 대신 얼리 액션만 있으며, 조지아 학생들은 얼리 액션 1에, 타주 학생들은 얼리 액션 2에 지원한다. 올해 얼리 액션1 결과는 12월 8일에 발표됐다.  

이날 학교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조지아주 학생 7000명이 얼리 액션에 지원했으며, 이는 지난해보다 9% 늘어난 숫자다. 이중 2688명이합격해 합격률은 38%를 기록했다.  

조지아텍 지원자가 매년 늘어남에 따라 학교도 학생을 더 많이 받고 있다. 올해 가을학기에 등록한 학생은 1만1000명으로 5년 전보다 20% 증가했다.  

조지아텍의 레귤러 디시전 전형은 내년 1월 4일까지 지원할 수 있으며, 결과 발표는 3월로 전망되나,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나오지 않았다.  

전국 대학 랭킹 24위에 오른 애틀랜타의 에모리대학은 지난 13일 얼리 디시전 1 전형 결과를 발표했다. 에모리에 따르면 올해 얼리 디시전 1에 2704명이 지원했으며, 이중 865명이 합격해 합격률은 31%다.  

합격한 865명 중 705명이 에모리 칼리지로, 364명이 옥스포드 칼리지로 합격했으며, 205명이 두 학교에 모두 합격해 어디로 진학할지 고를 수 있다. 옥스포드 칼리지는 에모리대학 산하에 있는 학교로, 2년을 재학 후 3, 4학년은 에모리 칼리지에서 보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에모리대학의 얼리 디시전 2와 레귤러 디시전 전형 모두 1월 1일까지 지원할 수 있다.

윤지아 기자

시카고 일리노이대, 연방교육부 차별 관련 조사 대상

0

[Chicago] 입력 2023.12.20 12:24 수정 2023.12.20 13:24

(사진=ABC 캡처)

시카고 일리노이대학(UIC)이 차별 혐의로 연방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방 교육부는 최근 전국 대학에서 증가하고 있는 반유대주의를 비롯 반이슬람, 반아랍 사건과 관련, 12개 이상의 대학을 조사 중이다.  

다만 교육부는 이들 학교에서 어떤 유형의 차별이 발생했는지는 밝히지 않고 있다.  

앞서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학(UIUC)은 수 주 전 대상에 포함됐으며 스프링필드 공립 186학군, UC 데이비스, 드렉셀 대학도 조사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UIC는 성명을 통해 “대학은 피부색, 인종, 혈통, 나이, 성별, 관심사, 성 정체성, 종교, 장애, 국적 등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 환영 받는 곳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조사에 전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Kevin Rho 기자

수업 시간 집중력… 이렇게 하면 높아진다

0

초등학교 3학년짜리 자녀를 둔 한 어머님이 자신의 자녀가 학교에서 산만하다고 담임선생님과 면담을 이야기를 꺼내 놓으셨다.  선생님의 지시대로 따르기보다 자신이 관심있는 일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행동에 관한 이야기였다. 집중이 어려운 학생이었다. 그때 필자는 어릴 적 기억이 떠올랐다. 초등학교 1학년 어린 나이였지만 등굣길을 손을 꼭 잡고 연신 당부의 말씀을 하시던 어머님의 기억이었다. “수업시간에 다른 생각 하지 말고, 선생님이 뭐라고 말씀하시는지 선생님 입술만 쳐다봐야 해.” 아직도 귓가에 쟁쟁하다.  

수업시간에 집중을 하면 이해력이 좋아지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하지만 매일 매일 반복되는 수업 중에 백퍼센트 집중을 하고 이해를 하는 일이 말처럼 쉽지만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모든 연령의 학생들이 비슷한 형편이다. 그렇다면 수업 중 보다 높은 집중력과 이해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 적극적 듣기
수업 참여는 학생들이 수업 시간을 더욱 유익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수동적으로 교사의 설명을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생각하며 듣고 중요한 내용을 받아 적으며 듣는 것이다. 수업을 하다 보면 고개를 끄덕이고 중간중간 대답을 해 가며 듣는 학생들보다 몸이 점점 내려가고 눈빛이 흐려지는 학생들이 많다. 그 학생들은  교실에 앉아 있는 것이지 배우고 있지 않다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 적극적으로 생각하며 듣는 노력의 마음의 준비가 필요하다.  

▶ 노트필기
요즘은 수업시간에 교사들이 파워포인트를 준비해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학생들은 손을 팔짱을 끼거나 턱을 고이고 듣고만 있기 쉽다.  하지만 많은 연구에서 밝혀졌듯 필기하는 행위는 기억을 강화한다. 그리고 수업 후에 필기한 내용을 다시 읽어봄으로써 기억을 되살릴 수 있다. 설사 교사가 파워포인트나 수업내용이 요약된 자료를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가지고 복습하는 것보다는 자신이 받아적고 자신이 이해한 방법과 내용을 적는 것을 가지고 복습하는 것이 훨씬 기억을 되살리기에 효과적일 수밖에 없다.    

▶ 미리 읽기로 개요 파악
교사가 수업의 내용이 어떤 것들이 다뤄질지 그리고 그 내용들은 어떻게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수업 전에 학습목표와 주요 개념들을 설명해 준다면 학생들은 전체적인 그림을 가지고 내용을 이해하기 쉽다. 이처럼 수업 전에 미리 교과서를 읽는다면 수업 중 그 내용들을 이해하기 훨씬 쉽다. 만일 읽어도 모를 내용이 가득한 과목이나 수업 내용이라면 수업에서 교사의 설명을 듣고 수업 후 교과서를 읽는 것이 효율적일 수도 있다.  

▶ 질문과 토론
수업 중 궁금한 점이나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은 즉시 질문을 하면 바로 잘 배울 수 있다.  하지만 막상 학생들은 분명히 이해되지 않았다는 걸 알면서도 질문하지 않으려 한다. 그 이유는 교사를 성가시게 하기 싫고 수업에 방해를 줄까봐 혹은 자신만 모르는 걸 수 있다고 생각하여 부끄럽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수업을 방해하는 질문들은 자신이 아는 것을 과시하기 위한 질문이나 수업 내용과 거리가 먼 엉뚱한 질문을 할 때 뿐이다. 좋은 질문은 자신이 무엇을 이해했는지 설명하면서 확실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묻는 것이다. 이런 질문은 교사와 교우들의 생각을 환기시키고 다시 본질에 집중하게 하는 힘을 가진다. 만일 부끄러움이 많은 학생이라면 언제가는 자신이 이 부끄러움을 넘어서는 단련을 하는 기회로 삼으라고 조언한다.  미래에 직장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을 할 때도 적합한 질문은 문제점을 발견하게 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적극적인 수업 참여는 학생들에게 지식의 주인이 되게 함으로써 학습 경험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노력은 단순한 지식 습득을 뛰어넘어 자발적인 학습자로 성장하는 발판이 될 것이다.


새라 박 원장 / A1칼리지프렙
▶ 문의:(323)938-0300
www.a1collegeprep.com

취업비자 ‘하늘의 별따기’…한인 유학생 6.5%만 취득

0

[Los Angeles] 입력 2023.12.18 19:41 수정 2023.12.18 20:41

유학생 증가세에 경쟁률 급등
대학원·E2 비자로 대안찾기

포스트 팬데믹 이후 주류 회사들은 일할 직원을 찾지 못할 만큼 호황이지만, 졸업한 한인 유학생 상당수가 짐을 싸고 있다. 최근 4년 사이 전문직 취업(H-1B)비자 신청자가 3배 가까이 늘면서, 연방 이민서비스국(USCIS) 비자 추첨에 당첨될 확률이 5분의 1까지 떨어져서다.

USCIS 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 접수를 시작한 2023~2024 회계연도 H-1B비자 신청자는 78만884명으로 2021년 27만4237명보다 2.7배나 급증했다. 매년 승인하는 H-1B 비자쿼터는 8만5000개(석사용 2만 개 포함)로 H-1B비자 취득이 하늘의 별 따기가 된 셈이다.

이경희 변호사는 “(무작위) 추첨에 당첨될 확률은 20% 미만으로 이 정도면 취업비자 승인이 안 되는 수준”이라고 전했다.

졸업을 앞둔 한인 유학생은 H-1B나 E2 직원비자를 스폰서할 회사들을 찾고 있다. 하지만 펜데믹 기간 줄었던 새내기 유학생들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비자 스폰서 회사를 찾는 경쟁률마저 높아졌다.

올해 초 USC 컴퓨터공학 대학원에 진학한 김모(30)씨는 졸업까지 1년이나 남았지만 취업하고 싶은 회사 여러 곳에 인턴 이력서를 보내고 있다. 김씨는 “한국에서 직장을 그만두고 온 만큼 미국 취업이 목표”라며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분야를 전공하면 3년짜리 ‘OPT(Optional Practical Training)’로 일할 수 있지만, 그 안에 취업비자를 받을 수 있을지 불안하다”고 말했다.  

이민세관단속국(ICE)에 따르면 학생(F1)비자인 한인 유학생은 2022년 6만2617명, 2021년 5만8787명, 2020년 6만8217명, 2019년 8만4071명으로 다시 늘고 있다.

어렵게 비자 스폰서 회사를 찾아도 H-1B 추첨이란 더 큰 벽에 부딪히고 있다. USCIS에 따르면 한인 H-1B 승인(가족포함)은 2019년 3476명, 2020년 3665명, 2021년 3481명, 2022년 4097명 수준에 머물고 있다.  

2022년 한인 유학생 수가 6만2617명임을 감안하면 H-1B 비자를 받는 유학생은 6.5% 수준에 불과하다.

H-1B 높은 경쟁률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동찬 변호사는 “쿼터가 정해져 있어 승인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추첨에서 떨어진 사람도 다음해 다시 신청해 H-1B 신청자가 계속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유학생 중 학사 졸업자는 석사과정 진학으로 학생비자를 연장하기도 한다. 한국에 본사를 둔 지상사를 통한 E2 직원비자도 인기다. 이밖에 음악, 미술, 디자인 전문가 대상 예술인(O1)비자, 석사 학위 이상 고학력자 대상인 NIW(National Interest Waiver) 신청 방법도 주목받고 있다.

이경희 변호사는 “취업비자가 안 된 유학생은 OPT 1년이나 STEM OPT 3년을 활용해 미국에 남고 싶어 한다”며 “H-1B가 안 된 유학생 중 부모님 도움으로 투자이민(EB5)을 바로 신청해 노동카드와 여행허가서를 받기도 한다”고 말했다.

김형재 기자 kim.ian@koreadaily.com

[커리어 코칭] 설득력 있는 의사소통 능력도 기술…

0

[성공하는 청년의 필수기술<3>]

이번 연재 시리즈의 첫 두 글에서 청년들의 진로 성공의 열쇠인 자신감과 비판적 사고라는 중요  기술에 대해 탐구했다. 이제 우리는 없어서는 안 될 또다른 기술인 의사소통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전 세계가 점점 더 상호 연결되고 협력적이 됨에 따라, 명확하고 자신감 있으며 설득력 있게 의사소통하는 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

실제로 내가 고객들과 함께 착수하는 첫 번째 기술 중 하나가 바로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 일이다. 네트워킹 행사나 팀 회의, 대학 입학 또는 취업 면접 등에서 첫인상을 만드는 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아래에서는 청년이 완전하게 진로 잠재력을 발휘하는 데 중추적인 이 기술을 연마하기 위한 전략의 개요를 소개하고자 한다.
 
▶ 의사소통의 기초 좋은 자세
 
의사소통은 말하는 내용뿐만 아니라 말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좋은 자세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기초이다. 청년들이 곧게 서고, 똑바로 앉으며 균형 잡힌 자세를 유지하도록 격려하자. 자신감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목소리와 존재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바른 자세는 전문 상황에서 더욱 확신에 찬 모습과 적극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도록 해준다.  

▶ 크고 자신감 있게 말하기

말소리의 크기는 자신감의 주요 지표이다. 낮고 소심한 목소리로 말하는 것은 불확실성을 암시할 수 있다. 청년들에게 확실성과 자신감을 전달할 수 있는 방식으로 목소리를 내도록 가르쳐야 한다. 이는 소리를 지르는 것이 아니라 방 안의 모든 사람들이 명확하게 듣고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음량으로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 주의 집중시키는 약간의 저음

더 깊은 톤은 종종 주의를 더 집중시키며 권위를 전달할 수 있다. 자연스러운 목소리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는 없지만 청년들이 특히 공식적이거나 전문적인 상황에서 조금 더 저음으로 말할 수 있도록 격려할 수는 있다. 이 미묘한 조정이 그들의 말을 인식하는 방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명확한 발음

명확한 발음은 매우 중요하다. 단순히 말하는 내용뿐만 아니라 그것이 얼마나 명확히 표현되는 지가 중요하다. 청년들에게 단어를 완전하고 명확하게 발음하는 것의 중요성을 가르치자. 이 연습을 통해 내용을 더 이해하기 쉽게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듣기에 더 매력적으로 느껴질 수 있게 할 것이다.

▶ 신뢰·참여 구축하는 눈 맞춤

눈 맞춤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강력한 도구이다. 신뢰를 쌓으며 참여를 보여준다. 청년들이 말하는 동안 눈 맞춤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자신감과 진정성을 보여줄 수 있다. 이것은 그들이 온전히 참여하고 있으며 듣는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비언어적인 신호이다.

▶ 필러 단어(Filler Words) 줄이기

“Um”, “like”, “you know”와 같은 필러 단어들은 메시지를 손상시킬 수 있다. 말하는 사람의 자신감이 떨어지고 준비가 덜 된 것처럼 보이게 만들기도 한다. 청년들이 이러한 언어적 목발을 인식하고 사용을 줄이도록 지도하여 말의 명확성과 전문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필러 단어에 의지하는 대신 잠시 멈춤을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 적절한 때 잠시 멈추는 것은 말하는 사람에게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을 주며 말하는 내용에 강조점을 더할 수 있게 해준다.  

더욱이, 침묵에 익숙해지는 것  또한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주요 측면이다. 청년들은 침묵이 반드시 채워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는 상대방이 대화에 참여할 시간이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이해는 각자가 자신의 생각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을 가지게 되어 보다 사려 깊으며 균형 잡힌 대화를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단순한 기술 그 이상으로, 언어적, 비언어적, 듣기 능력을 포괄하는 예술이다. 우리는 청년들에게 이것을 육성함으로써 그들이 단지 말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결하고 영향을 미치며 이끌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준다. 의사소통을 잘하는 능력은 단순히 진로 성공을 위한 길이 아니다. 이는 마주하게 될 모든 상호작용과 관계를 향상시키는 근본적인 삶의 기술이다.

제임스 박 대표 / LA 커리어 코칭
www.lacareercoaching.com
▶문의:(949)630-8729

아칸소대 ‘올해의 멘토’에 한인 선정…데일 범퍼스 조은주 조교수

0
조은주 조교수. [아칸소대학 웹사이트 캡처]

아칸소대학 내 데일 범퍼스 식품·생명과학대학의 한인 조교수가 ‘올해의 멘토상’을 수상했다.
 
조은주(사진) 조교수는 “올해의 멘토상을 받게 되어 영광”이라며 “대학원생을 멘토링하며 동기부여를 주는 것이 기쁘다. 앞으로도 멘토로서 많은 학생에게 영감과 긍정적인 영향을 주도록 노력하겠다”고 6일 소감을 전했다.
 
그는 지난 2013년부터 아칸소대학에서 대학원생을 상대로 의류 상품 및 상품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멘토링을 해왔다. 또 인간환경과학대학원의 연구 심포지엄을 주최한 바 있다.      
 
진-프랜코이스 뮬레넷 임시학장은 성명을 통해 “조은주 조교수는 대학원 프로그램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으며 리더십을 발휘하여 졸업률을 향상시켰다”며 “뛰어난 멘토이자 연구원이며 대학의 귀중한 자산”이라고 전했다. 

조 조교수는 지난 2021년 아칸소대학 펠로로 선정된 바 있다. 그는 한양대에서 의류 및 섬유 석사학위를 수여했으며 아이오와 주립대학에서 의류 상품과 디자인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김예진 기자 kim.yejin3@koreadaily.com

LAUSD 겨울방학 시작

0

LA통합교육구(LAUSD)가 오는 18일부터 3주동안 겨울방학에 들어간다. LAUSD는 학생들의 학과목 보충을 위해 방학 첫주 사흘동안 보충수업을 진행한다. 한인타운 11가와 베렌도의 몬세뇰 오스카 로메로 차터스쿨(교장 프레디 제페다·앞줄 가운데) 학생들이 15일 마지막 수업을 마치고 활짝 웃고 있다. 

장연화 기자

교육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