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Blog Page 30

학자금 대출 42억불 탕감…공공 분야 5만5000명 혜택

0

조 바이든 행정부가 학자금 부채 42억 달러 추가 탕감에 나선다.    

백악관은 공공서비스 분야 종사자 약 5만5000여 명에 대한 학자금 대출 탕감 계획을 20일 발표했다.  

이번 탕감 조치의 주 대상자는 10년 넘게 학자금 대출금을 갚아온 경찰관, 소방관, 간호사, 교직원 등이다.  

바이든 임기 동안 해당 프로그램(PSLF: 공공서비스 대출 탕감 프로그램) 대상자로 탕감을 신청한 대출자는 총 100만 명에, 탕감 금액은 780억 달러에 달한다.  

백악관에 따르면, 이번 조치를 포함해 지난 4년 동안 총 1800억 달러의 학자금 대출이 탕감됐으며, 이를 통해 500만 명이 학자금 상환 부담에서 벗어났다.

백악관은 아울러 기존의 탕감 프로그램 신청 과정에서 발생했던 여러 문제점도 일괄 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조 바이든 대통령은 “시민들을 위해 일해 온 공공 서비스 종사자들의 재정 상태가 나아지기를 바란다”며 “우리 정부는 더 많은 저소득층 가정 출신 학생들이 중산층이 될 수 있도록 교육 기회 확대에도 노력해왔다”고 강조했다.

공공 서비스 종사자 관련 탕감 프로그램의 신청 방법과 자격 조건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연방 학자금 대출 웹사이트(studentaid.gov/manage-loans/forgiveness-cancellation/public-service)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인성 기자

대규모 학자금대출 탕감안, 결국 철회

0

교육부, 바이든 퇴임 한 달 앞두고 사전공고
3800만명 대출자 영향, 빚 탕감받을 기회 무산
존치하더라도 트럼프 취임 후 폐기될 가능성 커
반대 컸던 트랜스젠더 운동선수 보호안도 철회

조 바이든 대통령의 퇴임을 한 달 앞두고 연방정부가 추진하던 대규모 학자금대출 탕감 방안 2건이 공식 철회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마지막까지 희망의 끈을 놓지 않던 3800만명의 대출자들이 빚을 탕감받을 기회가 무산됐다.

22일 연방관보에 따르면, 교육부는 사전 공고를 내고 올해 4월과 10월에 냈던 학자금대출 탕감 입법예고안 2건의 철회 방침을 밝혔다. 이 내용은 오는 26일 확정, 발표될 예정이다.  

철회되는 학자금 대출 탕감안 중 1건은 ‘플랜B’로 불리는 계획으로, 지난 4월 발표됐다. 20년 이상 학자금 대출을 갚아왔거나, 연방정부가 향후 2년간 학자금 대출을 갚지 못할 것으로 판단하면 차용인의 대출을 취소하는 방식이었다. 이 계획은 당초 바이든 대통령이 처음에 추진하던 대규모 학자금 대출 탕감안(일괄적으로 대출자에게 최대 2만 달러 대출 탕감)이 연방대법원에 의해 무산되자 새롭게 마련된 대출 탕감안이었다.

그러나 공화당 주도 7개주가 해당 안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고,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연방 제8순회항소법원이 이 플랜을 일시 중단하는 조처를 내리면서 이미 추진은 어려워졌다. 연방법원은 교육부에 ‘이를 계속 추진하려면 바이든 대통령의 잔여 임기 동안 어떻게 실행할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20일까지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철회되는 또 다른 대출탕감안은 지난 10월 제안된 것으로, ‘고등교육법’(Higher Education Act)에 의거해 교육부가 학자금 대출 의무를 면제해주는 방식이다. 의료비나 자연재해로 인한 타격, 양육비 등 다양한 어려움에 처한 이들의 대출을 취소하도록 하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해당 계획 역시 교육부가 대출 취소를 판단할 권한이 있는지를 놓고 논란이 일었고, 추가 소송에 직면했다.  

교육부는 이날 사전 공고에서 “(학자금 대출 탕감 정책을) 실행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고 인정했다. 이어 “위험에 처한 대출자들이 성공적으로 대출을 갚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일에 우선순위를 두고 남은 시간과 자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미 학자금 대출 탕감을 시행하긴 시간이 촉박한 데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넘겨받으면 학자금 대출에 대해 전혀 다른 입장을 취할 것으로 전망돼 바이든 행정부가 스스로 철회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대신 바이든 행정부는 이날 전국의 공공서비스 근로자 약 5만5000명을 대상으로 42억8000만 달러 규모의 학자금 대출을 탕감해주겠다고 밝혔다. 한편 바이든 행정부는 이날 트랜스젠더 학생 운동선수가 여성 스포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려는 계획 등이 포함된 성소수자 학생 보호안도 철회했다.  

김은별 기자

[AP과목 수강 전략] “독학”과 “튜터 도움” 사이

0

대입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AP과목이 SAT나 ACT같은 표준시험의 대체 자료로 쓰이면서 AP에 대한 관심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문제는 AP라는 것이 원래 대학 과목을 미리 공부하는 것이므로 고교 수업 답지 않게 가르치는 사람도 배우는 사람도 대학 수준이 돼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물리(physics)의 경우 대학 물리의 절반만 돼도 도망치고 싶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다. AP과목 어느 정도까지 혼자 공부할 수 있는지 알아봤다.  

고교 과목은 대개 일반 과목, 아너 과목, AP과목으로 나뉜다. 현재 부모들은 AP과목을 듣지 않고 대학에 입학한 경우가 많다. 그때보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학업 인플레가 됐다는 얘기다. 그래서 대학 수준으로 알려진 고교 AP과목이 학생 혼자 공부하기에는 어렵다는 분석도 있다. 그러면 모든 AP과목에 튜터를 붙여야 하나? 그렇지 않다.  

AP(Advanced Placement) 과목은 현실적으로 난이도와 학습 요구에 따라 혼자 공부가 가능한 과목과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한 과목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분류는 학생들의 학습 스타일과 시간 관리 능력에도 영향을 받지만, 과목 자체의 특성과 요구 사항이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혼자 공부가 비교적 쉬운 AP 과목

▶AP Psychology (심리학)=심리학은 주로 개념적 이해와 사례 기반의 학습을 요구한다. 대중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주제를 다루며, 온라인 강의나 교재만으로도 충분히 학습할 수 있다.

▶AP Environmental Science (환경 과학)=환경 과학은 실생활과 밀접한 주제를 다루며, 과학적 원리보다는 사례와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기출 문제와 자습서로도 충분히 대비 가능하다. 환경에 관심이 있고 에너지 절약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하는 신통한 학생이면 재미로 공부하여 AP 시험을 볼 수 있다.

▶AP Human Geography (인문지리학)=인문지리학은 지리학적 개념과 인구, 문화, 경제 등을 연결짓는 과목이다. 교과서와 다양한 참고 자료로 독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AP Microeconomics & AP Macroeconomics (미시경제학 & 거시경제학)=경제학은 그래프와 수학적 개념을 활용하지만, 기본적인 논리를 이해하면 독학이 가능하다. 칸아카데미(Khan Academy)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이 큰 도움이 된다. 수학이나 물리를 잘 하는 학생이 만만하게 보고 몇 주 공부해서 5점을 받을 수 있다. 논리적인 사고력을 갖춘 학생에게는 큰 어려움 없이 이해할 수 있는 과목이다. 준비 없이 응시할 수는 없는 것은 등장하는 용어, 인물 등을 배워야 하기 때문이다.  

▶AP Computer Science Principles (컴퓨터 과학 기초)=프로그래밍 초보자를 위한 과목으로, 기본 개념과 실습이 포함되지만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무료 코딩 플랫폼과 유튜브 강의로 학습할 수 있다.

전문 튜터가 필요한 AP 과목

▶AP Calculus AB/BC (미적분학)=고급 수학 개념과 복잡한 계산 능력을 요구하며,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정확성과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 독학으로는 개념 오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AP Physics (물리학 시리즈: 1, 2, C)=물리학은 수학적 사고와 실험적 이해를 동시에 요구한다. 특히 AP Physics C는 미적분학적 접근이 포함되어 있어 전문적인 지도가 필수적이다.

▶AP Chemistry (화학)=화학은 실험 기반의 학문으로, 복잡한 화학 반응식과 계산 문제를 다룬다.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고 결과를 해석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추가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AP Biology (생물학)=생물학은 방대한 양의 암기와 더불어 세포 과정, 유전학 등 심화된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전문적인 설명과 지도가 학습 효율을 높인다.

▶AP English Literature & Composition (영문학과 영작문)=고전 문학 작품을 분석하고, 논리적으로 글을 작성하는 능력을 요구한다. 심화된 비평적 사고와 작문 기술은 전문가의 피드백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과목 선택 시 고려 사항

학생들은 자신이 선택한 AP 과목이 독학으로 충분한지, 혹은 추가적인 지도가 필요한지 판단할 때, 자녀의 학업 성향과 목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독학이 가능한 과목이라 하더라도 계획적인 학습과 자원 활용이 필수적이며, 전문 튜터가 필요한 과목은 가급적 학교나 외부 기관의 지원을 받는 것이 유리하다.

이처럼 AP 과목은 학생들에게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한다. 과목의 특성과 자신의 역량을 잘 파악해 효율적인 학습 전략을 세우는 것이 성공적인 대학 진학의 열쇠가 될 것이다.

AP과목간 점수 분포의 특징

AP과목의 난이도에 따라 AP시험 결과가 판이하다. 점수는 1~5점으로 분포되고 5점이 최고점인데 일반적인 커브(종모양)가 아니다. 최근 10년간 주요 과목의 점수 분포를 근거로 분석해본다.

▶과목별 점수 분포의 특징

-AP Calculus BC=이과생이 선호하는 과목이다. 그래서 5점(41.7%)과 4점(24.3%)으로 비율이 매우 높다. 수강생들의 수학적 배경 지식과 준비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1점 받는 비율이 겨우 4.7%에 불과하다.  

-AP Biology, AP Chemistry, AP Physics 1= 3점 이하(1~3점) 비율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한다. Biology는 68.1%, Chemistry는 67.5%, Physics1은 71.9%다. 방대한 학습량과 실험 기반의 이해가 필요하다는 과목의 특성 때문에 독학으로는 높은 점수를 받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P Physics C= 5점(23.5%)과 4점(25.6%)의 합계가 49.1%로 고득점 비율이 비교적 높다. 수강생들이 주로 미적분학적 사고에 익숙한 상위권 학생일 가능성이 높다.  

▶전반적인 AP 과목 점수 경향

-5점과 4점의 고득점 비율 차이=AP Calculus BC와 AP Physics C는 고득점 비율이 높고, 주로 수학적 사고와 논리적 접근을 요구한다. 반면, AP Biology와 AP Chemistry는 고득점 비율이 낮고, 암기와 실험 해석 능력의 중요성이 강하게 작용한다.  

-1점 비율이 높은 과목= AP Physics 1은 1점 비율(17.7%)이 상대적으로 높다. 입문 물리학임에도 불구하고 수강생들에게 수학적 이해를 요구하는 점에서 어려운 과목이다.  

-중간 점수(3점)의 분포=모든 과목에서 3점은 꾸준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최소한 대학 인정 점수를 획득할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특히 AP Biology(33.6%)와 AP Chemistry(27.4%)에서 3점의 비율이 가장 높다.

▶ 최근 점수 분포 변화

-상위권 집중 현상=일부 과목(AP Calculus BC, AP Physics C)은 상위권 학생의 집중 선택으로 고득점 비율이 두드러진다. 과목의 특성과 수강생의 사전 준비도가 높은 연관성이 있다.  

-입문 과목의 도전성=AP Physics 1과 같은 입문 과목은 학생들이 기초를 배우는 과정에서 실수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 1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학습 자료와 튜터링의 활용도가 점수를 높이는 데 중요하다.

-실험 기반 과목의 낮은 고득점 비율=AP Biology와 AP Chemistry는 실험과 암기가 결합된 과목으로, 종합적인 학습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실험 데이터 분석과 응용 문제 풀이에 대한 전문적인 훈련이 성적 향상에 중요하다.  

AP과목 수강을 위한 전략

최근 10년간의 AP 점수 분포는 과목 특성과 학생들의 준비도, 학습 환경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튜터링이나 학습 자료 활용: 고득점이 어려운 과목(AP Biology, AP Chemistry)에서는 전문적인 도움과 추가 자료 활용이 중요하다.  

▶과목 선택 전략: 수학 및 물리 과목에서 고득점 가능성이 높으나, 사전 준비가 필수적이다. 한인 타운 일부 학원에서는 여름방학에 사전 학습 클래스를 개설하고 있다.  

▶학습 계획 조정: 입문 과목(AP Physics 1)을 수강할 경우, 수학적 사고와 물리적 개념의 기초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병희 기자

[에듀 포스팅] 잔소리 대신 칭찬과 격려가 중요한 이유

0

많은 부모들이 자녀가 더 나은 성적을 받고, 성공적인 미래를 이루기를 바라는 마음에 잔소리나 비난 섞인 말을 하곤 한다. 하지만 이러한 태도가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오히려 잔소리는 자녀의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부모와의 관계를 멀어지게 만들 수 있다. 자녀의 뇌와 정서를 이해한다면, 잔소리 대신 격려와 칭찬이 왜 더 효과적인지 알 수 있다.

잔소리가 자녀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

부모의 잔소리는 자녀에게 “나는 부족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아이의 자존감을 낮추고, 도전 의지를 약화시키며,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키운다. 다음은 부모의 잔소리가 자녀에게 상처를 주는 몇 가지 사례를 보자.  

자녀가 기대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을 때, “이렇게 해서 대학에 갈 수 있을 것 같아?”라는 말을 하면, 아이는 자신의 노력을 인정받지 못했다고 느낀다. 이는 “나는 아무리 노력해도 부족하다”는 생각을 심어주며, 학습 의욕을 잃게 만든다.

휴식을 취하는 자녀에게 “공부할 시간도 부족한데 뭐 하는 거야?”라고 말하면, 아이는 스트레스를 받고 부모와의 대화에서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다. 이는 부모와 자녀 간의 신뢰 관계를 약화시킨다. 자녀가 자신의 진로를 이야기할 때, “그런 걸로는 성공하기 어렵다”라고 부정적으로 반응하면, 아이는 자신의 꿈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도전 의욕을 잃게 된다.

청소년기의 뇌발달과 격려의 중요성

청소년기는 뇌가 급격히 발달하는 시기이다. 특히 전두엽이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감정 조절과 자기 통제 능력이 미숙하다. 특히 전두엽은 이 시기에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감정을 조절하고 자기 행동을 판단하는 능력이 아직 미숙하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자신에 대한 불안감과 자존감의 기복을 자주 경험한다. 이때 부모의 칭찬과 격려는 뇌의 보상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며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게 한다. 도파민은 기쁨과 성취감을 느끼게 하고, 아이가 더 많은 도전을 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반대로 잔소리와 비난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을 증가시켜 아이의 사고 능력과 학습 능력을 저하시킨다. 이 시기의 자녀에게는 사랑과 안정감 뿐 아니라, 긍정적인 피드백과 격려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잔소리와 비난이 만들어내는 악순환

부모가 아이에게 잔소리를 할 때 아이들은 종종 방어적으로 반응한다. 잔소리는 아이에게 “나는 항상 부족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아이의 자존감을 낮추고, 더 나아가 부모와의 관계에서도 거리감을 느끼게 한다.

또한, 부모의 부정적인 표현은 아이의 뇌에서 불안감을 유발하며,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회피하거나 위축되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아이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도전을 멈추고, 부모가 원하는 행동을 억지로 따르는 데 그칠 가능성이 높다.

어떻게 격려 할 것이나

부모의 구체적인 칭찬과 따뜻한 격려는 더 잘 할 수 있다는 자기 효능감을 높여 주는 좋은 방법이 된다.  

“공부 좀 해!” 대신 “네가 오늘 스스로 수학 문제를 푼 게 대단하구나”처럼 구체적으로 칭찬하라. 이는 아이가 자신의 노력을 인정받았다고 느끼게 한다. 또 “왜 이렇게 못 했어?” 대신 “이 경험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라고 긍정적으로 물어보는 것이다.  

실패를 성장의 과정으로 바라보게 만드는 것은 아이에게 더 큰 자신감을 준다. 또 “넌 왜 항상 이 모양이야?” 대신 “넌 충분히 잘하고 있어. 조금만 더 해 보자”라는 용기를 주는 말을 건네라. 이는 자녀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안정감을 느끼도록 돕는다.

부모의 마음속에는 언제나 아이가 더 잘되기를 바라는 진심이 담겨 있다. 하지만 그 진심이 잔소리와 비난으로 전달될 때, 자녀는 자신이 사랑받기 위해 더 잘해야만 한다는 조건부 사랑을 느낄 수 있다. 반대로, 부모가 잔소리 대신 격려와 칭찬으로 자녀를 대한다면, 아이는 자신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더 큰 도전을 할 수 있는 용기를 얻게 된다.  

자기 효능감은 “나는 해낼 수 있다”는 믿음이다. 부모의 격려는 아이의 자기 효능감을 높이며, 실패에 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노력할 수 있도록 자기 효능감을 높여준다.  

▶문의: (323)938-0300
www.a1collegeprep.com
새라 박 원장 / A1칼리지프렙

[학자금 칼럼] 재정보조 준비는 신청서 이해부터 입력 정보에 따라 연 수만 불 차이

0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지원하는 재정보조의 기본구도를 이해하려면 매년 업데이트 되는 재정보조 기본공식을 지속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어떤 신청서 내용이 재정보조 계산에 적용될 지 여부를 자세히 이해하려면 사전에 신청서 상의 질문을 잘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이는 신청서 내 모든 질문들이 재정보조 계산에 적용되다는 점이다. 따라서, 먼저 알아봐야 할 내용은 무엇보다 연방정부 학생재정보조 신청서인 FAFSA의 질문 내용들이다.  

물론, 기본적인 FAFSA 신청서 내용을 더욱 확장해 요구하는 C.S.S. Profile 신청서는 칼리지보드를 통해 제출되는데 더욱 자세한 수입과 자산내용들에 대한 질문을 포괄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 신청하는 대학별로 별도의 질문이 추가되어 있으므로 이 모두를 포함해서 자세히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금년도 FAFSA 신청서 내용과 진행방식에는 많은 변동이 있다.  

학부모들이 국세청(IRS)과 연동해서 개인세금보고 자료를 불러 들여 FAFSA를 신청하는 과정에서 신청 후에도 대학의 합격발표가 나기 전까지는 어떠한 제출정보가 넘어왔는지 여부를 자세히 알 수 없도록 해 놓았다.  

따라서, 잘못 계산된 내용을 미리 확인해 항의해 볼 수 있는 기회조차 없다. 물론, 모두 수작업으로 입력해 제출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엔 미교육부로 FAFSA를 신청하는 과정에서 아예 연방정부 펠그렌트를 받을 수 없도록 막아 놓았다.  

미 중산층 가정에서 대부분 펠그렌트에 해당사항이 없기 때문에 학부모의 재정변동 사항에 따른 이슈가 있을 때 재정보조 공식과 연동되는 수입과 자산내용에 대한 SAI (Student Aid Index) 금액을 미리 계산해 펠그랜트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에는 마음 놓고 Manual 입력방식으로 신청할 수 있다.  

칼리지보드를 통해 제출하는 C.S.S. Profile의 경우 부모가 사업체나 개인사업을 운영할 때에 질문의 문항수가 크게 늘어나 사업체 순자산 부분이나 가치가 재정보조 계산에 모두 연동되어 계산되므로 보다 유의해 진행해야 한다.  

일반적인 재정보조 계산에서 어떤 수입과 자산내용들이 적용되는 지는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를 어떻게 정제해 신청서에 입력하느냐에 따라 혹은 사전에 재정보조 공식에 따른 실질적인 사전설계를 어떤 타이밍에 조치해 만반의 준비를 했을 지에 따라 재정보조금은 연간 수만달러 이상 차이가 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올바른 재정보조의 신청과 진행 및 마무리 작업에는 결코 우연이란 요행은 발생하지 않는다. 단 한번의 실수로 재정부담은 크게는 연간 수만 달러 뿐만 아니라 자녀가 진학할 대학의 선택까지 재정부담으로 모두 바뀔 수 있어 매우 신중히 준비해야 한다.

종종 상담 시 학부모들이 설마 하다가 큰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를 자주 접한다. 예를 들면, 새로운 집에 이사하면서 전에 살던 집을 처분한 후 금전차액이 많아 주식에 투자를 했는데, 결과가 좋아 처음에 20만 달러로 시작한 주식이 지난 몇 달만에 거의 2만 달러나 증가했다고 가정해보자. 자산이 늘었으니 신명나지 않을 수 없지만, 재정보조 계산에서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한다.  

SAI금액, 즉 가정에서 우선 지출(부담)해야 할 금액이 1만 달러 가까이 증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녀가 사립대학에 진학하는 경우 재정보조 대상금액 (즉, 총비용에서 SAI금액을 제외한 금액)이 SAI금액의 증가만큼 줄어들기 때문에 해당 대학에서 재정보조 대상금액에 대해 100퍼센트를 재정지원하는 경우 SAI금액 만큼 재정보조금이 동시에 줄어든다.  

더욱 큰 문제는 재정보조 담당관들의 개인적인 편견이 있을 수도 있다. 연간 총비용이 9만2천 달러가 소요되는 해당 사립대학에서 학부모가 20만 달러이상 투자금/현금을 보유하고 있으면 재정보조금이 필요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해당연도에 재정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평균치보다 수만 달러를 더 적게 지원받을 수 있는 경우를 종종 접하게 된다. 이외에도 신청서관련 내용에 대한 준비사항이 많은 만큼 한창 진행이 되고 있는 재정보조 신청 시즌을 맞아 다시 한번 중요한 준비사항에 대해 점검하는 지혜가 필요한 때이다.  

▶문의:(301)219-3719,
remyung@agminstitute.org
리처드 명 대표 / AGM인스티튜트

대학생 ‘소득기반’ 재정 보조금 지원 늘릴까

0

[애틀랜타 중앙일보]

내년 주의회 정기회기에서 연장 논의
저리 학자금 대출은 디폴트 높아 중단

다음달 시작하는 2025년 조지아 주의회 정기회기에서 대학 학점 요건을 충족한 학생에게 재정 보조금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연장 여부가 논의될 예정이다.

조지아는 호프(HOPE)와 젤밀러 장학금을 통해 전국에서 성적 기반 장학금 지원을 선도하고 있지만, 소득 기반 지원금은 부족한 특이한 케이스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재정 문제 때문에 대학을 졸업하기 힘든 학생들 중 커리큘럼의 80% 이상을 완료하면 최대 2500달러를 지급하는 ‘대학 졸업 그랜트(GCCG)’가 조지아에서 시행된 바 있다. 대학 졸업 그랜트는 3년 시범 프로그램으로, 내년에 만료될 예정이기 때문에, 이것의 연장 여부는 내년 정기회기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이와 비슷한 정책으로 4년제 학점 요건의 70%를 이수하거나 2년제 학점의 45%를 이수한 학생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는 법안이 올초 주 하원에 발의돼 통과됐지만, 상원에서 표결에 부쳐지지 못했다.

조지아 예산 및 정책연구소(GBPI) 는 이 그랜트가 “재정적으로 어려운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진전”이라면서도 대학 생활 초기에 학생들을 더 많이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애슐리 영 GBPI 수석 분석가는 애틀랜타 저널(AJC)에 “20%, 50%, 70% 완료한 학생을 얼마나 잃었는지 우리가 어떻게 알겠느냐”고 반문했다.

GCCG의 모델이 된 ‘팬서 리텐션 그랜트(PRG)’는 조지아주립대(GSU)에서 시행하는 지원금 정책으로, 많은 학생들의 중퇴를 막았다고 평가받는다. 졸업을 앞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지만, 엄격한 요구 사항은 없다. GSU도 재정 지원을 늘리기 위해 주 정부로부터 보조금이 늘어나길 기대하고 있다고 AJC는 전했다.

한편 조지아는 2012년부터 저소득 학생들에게 낮은 이자율로 학자금을 대출해주는 프로그램(SAL·대학 기간 최대 3만6000달러)이 있었으나, 높은 채무 불이행률을 이유로 2022년 정기회기에서 예산이 삭감되며 2024년 회계연도 이후에는 사실상 중단됐다.

2021년 감사자료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을 통해 그동안 3만6000명의 학생들에게 2억6600만달러가 대출됐다. 그러나 미상환율이 무려 31%에 달해 5000만달러의 세금 손실을 초래했다. 이에 따라 주의회는 2022년 예산 배정을 줄였고, 2024 회계연도들어서는 아예 대출이 중단됐다.

윤지아 기자

뉴욕시 특목고 입학시험 디지털화

0

[뉴욕 중앙일보]

뉴욕시 교육위원회 1700만불 계약
지난해 7개교 2만6000명 시험 봐

뉴욕시 특목고 입학시험(SHSAT)이 내년부터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된다. 

 교육전문매체 ‘초크비트’ 등에 따르면, 뉴욕시 교육위원회는 18일 SHSAT를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하는 약 17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교육위원 14명이 찬성표를, 2명이 반대표를 던졌으며 4명은 기권했다. 

 이에 따라 시험 제작 회사인 ‘피어슨(Pearson)’은 SHSAT로 알려진 특목고 입학시험의 디지털 시험을 제작하게 되며, 내년 가을부터 학생들은 디지털 방식으로 SHSAT를 치르게 된다. 

 SHSAT는 스타이브슨트고교·브롱스과학고·브루클린테크고교 등 뉴욕시의 8개 특목고 입학을 결정짓는 시험으로, 지난해에는 약 2만6000명의 8학년 학생이 SHSAT를 치렀고 4072명이 합격해 특목고에 배정됐다. 

 한편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SHSAT가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되면, 오히려 입시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학생들의 디지털 문해력과 기술 접근성에는 큰 격차가 있고, 시각 장애인 등 일부 장애 학생들에게는 더 큰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 

 앞서 시 교육위원회는 10월 말 SHSAT 디지털 전환에 대해 표결할 예정이었으나, SHSAT 폐지 관련 논란이 계속되자 이를 두 차례 연기했다. 지난해 봄 인종별 특목고 합격률은 흑인이 4.5%, 히스패닉이 7.6%로 저조했으며, 아시안 53%, 백인 26% 등이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SHSAT가 학교의 인종 다양성을 저해한다”며 해당 시험 폐지를 주장했으나, 아시안 학부모들은 “이 시험이 학생들을 평가할 수 있는 가장 객관적인 방법”이라며 폐지를 강력히 반대했다.  

윤지혜 기자

디즈니랜드, 남가주 주민 특가 할인

0

1일 67불·3일권 199불 판매 
일반 1일권 보다 52% 저렴 

디즈니랜드 리조트가 남가주 주민을 대상으로 특별 할인 티켓 행사를 진행한다.   

1일 1공원 입장 기준 하루 67달러로 3일 입장권을 199달러에 살 수 있다. 일반 티켓 1일 139달러와 비교하면 최대 52%까지 할인된 가격이다. 

파크 호퍼 옵션을 추가하면 289달러, 대기 시간을 단축해주는 라이트닝 레인 서비스를 포함하면 295달러부터 구매가 가능하다.

특별 할인 티켓은 2025년 1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연속 또는 비연속 날짜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구매 자격은 우편번호 90000부터 93599 사이의 남가주 거주자로 제한되며, 구매 시 신분증으로 거주 사실을 증명해야 한다.

디즈니랜드 마케팅 담당자는 “이번 할인으로 더 많은 지역 주민들이 디즈니의 마법을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특히 새로 도입한 놀이기구 티아나의 바이유 어드벤처와 어벤저스 캠퍼스 등을 즐길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남가주 주민이 아닌 경우 디즈니+ 구독자 할인, 아동 특별 티켓 및 디즈니랜드 리조트 호텔 객실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을 이용할 수 있다. 

디즈니 측은 “1인당 하루 최대 5장 구입이 가능하다”며 “티켓 수량이 제한돼 조기 매진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은영 기자  lee.eunyoung6@koreadaily.com  

[JSR] Completing the Music Department Puzzle (12/19)

0

매주 목요일자 중앙일보 본국판 신문에 게재되는 기사는 www.KoreaDailyUS.com (중앙일보 영어 사이트)에도 동시 게재됩니다.

Newspaper PDF Download


Journey to the 2024 LA Auto Show (by Isleen Lee)


Completing the Music Department Puzzle (by Reanna Lee)


Spotify Wrapped: Was it Worth the Wait? (by Angel Song)


LA’s Trendiest Grocery Store Beyond Groceries (by Sora Ju)


Sabrina Carpenter: A Night to Remember (by Summer Park)


The Phone Ban: Curse or Blessing? (by Erin Ryu)


학위 없어도 고연봉 가주 공무원 될 수 있다

0

‘학사 학위’ 요구 직종 대폭 축소
군대나 현장 경력도 학점 인정
고교·대학에 유망 직종 과정 개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 [화면 캡처]

앞으로 학사 학위가 없어도 다양한 주정부 공무원직에 지원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개빈 뉴섬 가주 주지사는 소득 양극화 해소와 고용 안정을 목적으로 대학 졸업장 없이도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는 주정부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겠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주정부 측은 이를 위해 학사 학위가 필요 없는 주정부 일자리를 현재 3만여 개에서 내년에는 두 배인 6만2000여 개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주지사는 학사 학위가 더 나은 소득을 보장받는 상황임에도 학생들의 대학 학비 부담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구인 수요가 높은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직업 훈련도 강화할 방침이다.

그는 이날 레딩 소재 샤스타 칼리지에서 한 회견에서 “모든 가주민들이 대학 졸업 학위 없이도 만족스러운 일자리를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되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주정부는 안정적으로 고소득이 보장되는 일자리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주정부는 군대나 직장에서 얻은 기술과 경험을 대학 학점으로 전환할 수 있는 시스템과 직업 훈련 교육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일례로 군대에서 특수한 보직과 업무 수행했다면 실제 대학에서 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한다는 것이다. 군 경력의 대학 학점 전환은 현재 3만여 명의 퇴역 군인들이 내년부터 실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도 구직에 도움이 되는 과목을 교과 과정에 대거 포함하도록 했다. 해당 주요 분야에는 보건, 기후, 교육, 신기술 등이 포함됐다. 또한 장애인, 영어학습자, 학위가 없는 부모의 자녀도 직업 교육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문턱을 더욱 낮출 예정이다.  

한편 최근 주정부 통계에 따르면 가주 내 상위 소득자 10%의 연평균 소득은 30만 달러인데 반해서 하위 소득 10%의 연간 소득은 2만9000달러에 불과하다.  

최인성 기자 ichoi@koreadaily.com

교육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