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Blog Page 126

뉴욕시 무상 보육 프로그램 축소로 학부모들 부담 커져

0

[뉴욕 중앙일보]

‘3-K 포 올(for all)’ 프로그램 예산 삭감되며
저소득층부터 중산층 가정까지 어려움 호소 
공급과 수요 불일치, 지역별 상황 천차만별
 

뉴욕시에서 3세 아동을 위한 무상 보육 프로그램이 축소되며 학부모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빌 드블라지오 전 뉴욕시장은 3세 아동을 위한 무상 보육 프로그램 ‘3-K 포 올(for all)’을 대표 공약으로 내걸고 시행했지만, 에릭 아담스 시장은 취임 후 팬데믹 연방정부 자금이 고갈되자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예산을 삭감했다. 아담스 행정부는 일부 지역의 프로그램에 미충원된 좌석 수가 많다는 점과, 뉴욕시의 심각한 재정난을 예산 삭감의 이유로 꼽았다. 

그러나 점점 축소되는 무상 보육 프로그램에 저소득층뿐만 아니라 중산층 학부모들도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일부 학부모들은 “자녀 보육비가 렌트보다 더 큰 지출을 차지한다”고 밝혔다.  

11일 뉴욕타임스(NYT)는 무상 보육 프로그램 축소에 대한 가장 큰 문제로 ‘공급과 수요의 불일치’를 꼽았다. 일부 지역에서는 자리가 남아돌지만, 또 다른 지역에서는 자리가 부족해 프로그램에 신청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실제로 브롱스, 할렘 등 저소득층 밀집 지역에서는 정원에 비해 신청자 수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지만, 퀸즈와 브루클린 남부 지역에서는 몇 안 되는 빈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학부모들이 치열한 경쟁을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아담스 행정부는 “드블라지오 행정부가 프로그램을 수요가 많은 지역으로 적절히 분배하지 못했다”고 지적했지만, 드블라지오 전 행정부 측은 “현재 뉴욕시청이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를 중단해 이에 대해 모르는 학부모들도 많다”고 반박했다.  

시 교육국은 “뉴욕시가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함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예산을 삭감했지만, 프로그램 지원 후 좌석을 얻지 못한 가족 수는 작년 3000명에서 올해 900명으로 감소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그 이유에 대해 “학부모들이 서류 작업을 완료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프로그램에 대한 예산이 삭감되며 서류 절차를 안내하는 직원이 줄었고, 이에 따라 학부모들이 자체적으로 서류 작업을 완료해야 하는데 복잡한 절차로 인해 그마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윤지혜 기자 yoon.jihye@koreadailyny.com 

뉴욕 주립·시립대와 사립대 40곳 지원자 전형료 면제

0

[뉴욕 중앙일보]

10월 한 달 동안 진행
사립대 40곳도 동참

전형료 면제에 참여하는 대학 목록, 면제 시기 및 신청 방법은 고등교육서비스국(HESC)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진=HESC 홈페이지 캡처)

뉴욕 주립(SUNY)·시립대(CUNY)와 사립대 40곳이 10월 한 달 동안 지원자들에게 전형료를 면제해준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5일 “뉴욕주 전역의 130개 이상 대학이 고등학교 3학년 지원자들에게 무료 지원 기회를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뉴욕 주립·시립대와 사립대가 협력해 지원 전형료를 면제해주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호컬 주지사는 “재정적 장벽을 제거하면 경제적 제약 때문에 지원서 작성을 고려하지 않았던 학생들의 대학 지원율을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대학 지원 시즌을 맞아 SUNY는 10월 16일부터 29일까지 2주 동안 64개 캠퍼스에서, CUNY는 16일부터 31일까지 25개 캠퍼스의 지원 전형료를 면제해준다. CUNY는 고등학교 졸업장을 소지한 모든 학생에게 7개 커뮤니티칼리지 입학을 보장해주기도 한다. 전형료를 면제해주는 사립대 40곳의 면제 날짜는 대학별로 상이하다. 

전형료 면제에 참여하는 대학 목록, 면제 시기 및 신청 방법은 고등교육서비스국(HESC) 홈페이지(www.hesc.ny.gov/cam/nys-colleges-waiving-application-fees.html#horizontalTab3)에서 확인 가능하다.   

윤지혜 기자 yoon.jihye@koreadailyny.com  

UC버클리 한인 동문회 “장학생 6명에 3천불씩”

0

[Los Angeles] 입력 2023.10.05 17:50

형편 어려운 모교 재학생 대상

UC버클리 한인동문회(BKAA) 윤수진 부회장(왼쪽부터), 제인 서 회장, 크리스 최 부회장, 피터 이 이사장.

“자랑스러운 후배들에게 더 나은 기회를 선사하고 싶어요.”

UC버클리 한인 학생 동문회(BKAA)가 장학생 6명을 모집하고 있다. BKAA 피터 이 이사장은 “다가오는 연말에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작은 선물이 되고 싶다”며 “버클리 재학생 6명을 선발해 각 3000달러의 장학금을 나눠줄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10회 장학생 신청 자격은 현재 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UC버클리 재학생이다. 제출 서류는 에세이 한 장이다. 에세이는 자기소개 및 한인 지역사회에 어떠한 기여할 것인지를 설명하면 된다. 이 이사장은 “열심히 공부하는 후배들에게 선배로서 많은 후원과 도움을 주고 싶다”고 강조했다.

한편, 장학금은 오는 12월 2일 할리우드에서 열리는 UC버클리 동문회 연말 파티에서 전달할 예정이다. 선발된 재학생에게는 LA행 비행기표도 제공할 계획이다. 서류 제출은 오는 11월 20일까지로 이메일(bkaainfo@gmail.com) 혹은 웹사이트(www.BKAA.org/application)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문의: dchoi@lmu.edu

김예진 기자 / kim.yejin3@koreadaily.com

뉴욕시 학생들 영어·수학 성적 향상

0

[뉴욕 중앙일보]

2022~2023학년도 뉴욕주 표준시험 결과 발표
아시안·백인과 흑인·라틴계 학생 인종간 격차 감소
“새로운 기준 따라 개편된 시험 치러 비교 어려워”

뉴욕시 교육국이 2022~2023학년도 뉴욕주 표준시험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학생들의 영어·수학 성적이 향상한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시 3~8학년 학생의 51.7%가 영어 과목에서, 49.9%가 수학 과목에서 ‘능숙한 수준’에 도달했다. 이는 약 49% 학생이 영어 과목에서, 약 38%가 수학 과목에서 능숙한 수준을 달성한 지난해에 비해 증가한 수치다. 

데이비드 뱅크스 뉴욕시 교육감은 “작년 시험에 비해 상승 궤도를 그린 이번 시험 결과는 고무적인 신호”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새로운 기준에 따라 개편된 이번 시험 결과를 작년 시험 결과와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 시 교육국도 보도 자료를 통해 “직접적인 결과 비교는 어렵다”고 인정한 바 있다. 

뉴욕주 교육국은 학생들이 배워야 할 새로운 학습 기술을 포함시킨 표준을 채택했고, 뉴욕주 학생들은 이번 봄 수정된 기준에 따라 개편된 새로운 주 표준시험을 치렀다. 예를 들어, 기존 수학 표준시험에는 방정식에 대한 정답을 보기 중에 고르는 객관식 문제가 대부분이었다면 이번 시험에는 정답이 도출된 과정을 설명하라는 주관식 문제가 더 많이 출제됐다. 

한편 이번 시험 결과에서는 인종별 격차도 준 것으로 드러났다. 흑인 학생의 수학 실력이 13.8%포인트, 백인 학생의 수학 실력이 4.5%포인트 향상돼 격차가 약 2%포인트 줄어드는 등, 학교 관계자들은 백인 및 아시아계 학생과 흑인 및 라틴계 학생들의 격차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아시아계 학생의 77.6% ▶백인 학생 70.2% ▶흑인 학생 34.3% ▶라틴계 학생 35.7%가 수학 시험에서 능숙한 수준을 달성했다. 반면 영어 시험에서는 ▶아시아계 학생 72.3% ▶백인 학생 69.5% ▶흑인 학생 40.3% ▶라틴계 학생 39.4%가 능숙한 수준에 도달하며 비교적 큰 격차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바뀐 기준에 따라 시험이 진행됐기 때문에 학업 성취도 회복을 측정할 수 없다”며, “팬데믹 이전 성취 수준으로 회복하기 위해서는 아직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다”고 전했다.   

윤지혜 기자 / yoon.jihye@koreadailyny.com  

[ASK교육] 대학시절 해외 교환학생 또는 유학의 장점

0

▶문= 대학생이 된 후 많은 학생들이 유학 (또는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등록해 한 학기 또는 1년을 외국에서 보낸다. 유학의 장점은 무엇인가?

▶답= 유학은 대학생으로서 누릴 수 있는 가장 큰 혜택 중 하나이다. UC에 진학하든, 사립대에 가든 많은 대학들은 여러 나라들과 유학 프로그램 협약을 맺고 있다.  

유학의 가장 큰 혜택은 넓은 세상을 보고, 듣고, 경험하는 것이다. 태어나서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나라에 머물면서 열심히 공부하고 그 나라의 언어와 문화에 푹 빠지는 상상을 해보라. 여행을 사랑한다면 유학하는 나라 외에 주변 국가들도 가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랑스 파리로 유학을 간다면 런던, 로마, 바르셀로나, 브뤼셀, 암스테르담 등 멋진 유럽 도시들을 둘러볼 기회를 잡을지도 모른다.  

유학의 또 다른 묘미는 다른 스타일의 교육을 맛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유학하는 동안 전공분야를 집중적으로 배운다면 홈 스쿨에서는 접할 수 없는 독특한 커리큘럼을 경험할 수 있다. 교육은 모든 유학 프로그램의 핵심이다. 따라서 유학을 가게 될 대학을 현명하게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외국에 가면 새로운 음식, 풍습, 전통, 사회적 분위기를 체험하게 된다. 그러면서 내가 태어나서 자란 나라와 여러 면에서 다른 국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다양성의 중요성을 깨닫는다.  

아마도 유학을 떠나는 학생 중 상당수의 최대 목표는 해당 국가의 언어를 마스터하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타깃으로 삼은 언어가 제1언어인 나라에서 생활하면 해당 언어를 입체적으로 배우는데 큰 도움이 된다. 주 7일 잠자는 시간 빼고 그 언어를 사용하며 현지인들과 어울리며 생활을 경험해 보자. 어떤 학생들은 유학을 한 나라와 사랑에 빠져 졸업 후 그 나라에서 직업을 갖기를 원한다. 이 경우 해당 국가에서 생활하며 교육받은 경험이 큰 무기가 될 것이다.  

대학에 진학한 후 유학을 가고 싶다면 고등학교 때부터 차근차근 준비하는 게 좋다. 어떤 나라에 마음이 끌리는지, 그 나라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있는지를 점검하고, 가능하면 유학 타깃으로 삼은 나라의 언어를 제2외국어로 택해서 공부하면 훌륭한 사전 준비가 된다.  


지나김 대표
▶문의: (855) 466-2783
www.theadmissionmasters.com

세종대왕 LA에도 세워졌다…5일 LACC서 8피트 동상 제막

0

[Los Angeles] 입력 2023.10.05 21:07

이석 황세손·총영사 등 참석

오는 9일 한글날을 앞두고 5일 LA시티칼리지(LACC)에서 세종대왕 동상 제막식이 진행됐다.

LACC제퍼슨홀 광장 입구에서 열린 이날 행사에는 LA커뮤니티칼리지교육구(LACCD) 프랜시스코로드리게즈 의장, LACC아마누엘게브루 총장, 김영완 LA총영사, 대한제국 고종 황제의 손자 이석 황세손과 앤드루 이 황실 후계자 및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세종대왕 동상은 높이 8피트(대리석 기단 3피트, 청동 등 금속 재질 상반신 5피트), 폭 4피트 크기다. 동상 제작은 드라마 ‘왕좌의 게임’ 조형물 제작에 참여한 아마르 스튜디오가 맡았다.

선황실문화재단 이사장인 이석 황세손은 “한글은 전 세계 최초로 창시자와 창시일이 기록된 언어로 나의 조상인 조선 4대 왕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하고 사법 체계를 개편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며 “이 자리에 세종대왕의 동상이 설립되는 건 한민족의 얼굴을 새기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LACCD 로드리게즈 의장은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글자를 몰라 자기 뜻을 펼치지 못하는 것을 보고 안타깝게 여겨 한글을 창제했다”며 “LACC는 세종대왕과 같은 뜻으로 배움의 목적이 있는 모든 사람에게 최대한 많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LACC는 한국어반을 처음 개설하고 한국어 준학사 학위를 제공하는 유일한 커뮤니티 칼리지다. LACC 한국어 프로그램 디렉터 미키 홍 교수는 “한류를 넘어 이제는 한글이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아야 할 때”라며 “세종대왕 동상 설립에 힘입어 내년 1월에 한글 프로젝트를 론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예진 기자  kim.yejin3@koreadaily.com

조지아주 대졸 최고 연봉은 ‘조지아텍’…전국 최고는 프린스턴, MIT

0

[Atlanta] 입력 2023.10.04 15:25

프린스턴, MIT 연봉 최고 대학

(사진=조지아텍 홈페이지 캡처)

조지아에서 조지아텍 동문의 연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별 연봉을 분석하는 ‘페이스케일’은 최근 각 학교의 동문 급여 정보를 비교해 잠재적인 급여 수준을 보고서로 발표했다. ‘대학 급여 리포트’에 따르면 전국 4년제 학부 프로그램 중 졸업 후 중간경력(약 10년) 동문의 연봉이 가장 높은 학교는 프린스턴대와 MIT로 연봉 중간값이 18만9400달러로 집계됐다.  

세 번째는 해군사관학교로 중간 경력자의 연봉 중간값이 18만1500달러, 초기 경력자는 9만4200달러다.  

4위는 캘리포니아 클레어몬트에 있는 하비 머드 칼리지(17만9600달러), 5위는 스탠퍼드(17만7500달러), 6위는 매사추세츠의 뱁슨 칼리지(17만5200달러), 7위는 콜게이트대(17만3800달러), 8위는 다트머스 칼리지(17만3300달러), 9위는 산타 클라라대(17만3100달러), 10위는 펜실베니아대(17만1800달러), 11위는 하버드(17만1400달러)가 차지했다.  

한편 초기 경력자 급여 중간값이 가장 높은 학교는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 위치한 사무엘 메릿대학으로, 연봉 중간값이 11만2400달러로 집계됐다.    

페이스케일이 꼽은 조지아에서 가장 ‘연봉 잠재력’이 높은 학교는 조지아텍으로, 동문 중 초기 경력자들은 8만9700달러, 중간경력자들은 16만3500달러 선까지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에모리대학으로 초기 경력자들은 7만8100달러, 중간경력자는 13만8600달러를 받는다.  

조지아텍은 이공계열(STEM) 전공자들이 77%를 차지하는 한편, 에모리대는 이공계열이 23%밖에 없는 것을 고려하면 에모리 출신 인문계열 전공자들이 비교적 높은 급여를 받는다고 유추해볼 수 있다.  

3위는 조지아대(UGA)로 중간경력자들이 12만4800달러, 4위는 모어하우스칼지(12만4200달러), 5위는 케네소주립대(11만3800달러), 6위는 조지아주립대(GSU)가 10만8800달러로 집계됐다.

윤지아 기자

[JSR] Trig Identities in Chapter Five (10/05)

0

2009년부터 시작한 중앙일보 학생기자 프로그램은 역사와 전통을 자랑합니다.

학생기자 기사는  www.KoreaDailyUS.com (중앙일보 영어 사이트)에 동시 게재됩니다.

기사를 Click하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Newspaper PDF Download


The 9/11 Memorial and Museum (by Rubie Choi)


Trig Identities in Chapter Five (by Ansley Kang)


A Trip to the Museum (by Erin Ryu)


5 Seconds of Summer Performs at The Kia Forum (by Hannah Lee)


Ways to Deal With School Stress (by Hannah Chae)


A Man’s Best Friend (by Kaylyn Wee)


한미교육연구원 장학생 모집…12학년 대상 장학금 1000불

0

[Los Angeles] 입력 2023.10.03 20:28

내달 15일까지 에세이 제출

차종환 한미교육연구원장이 장학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꿈나무 장학 프로그램을 통해 도전하고 성취하는 학생들이 많이 나오길 기대합니다.”

한미교육연구원(원장 차종환)이 제 35회 꿈나무 장학생 및 꿈나무상(우수학생상)과 페스탈로치상(교육공로자상) 신청자를 모집하고 있다.

올해 35회를 맞는 꿈나무 상은 내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들을 격려하기 위한 장학 프로그램으로, 성적표, 사회봉사활동 기록, 에세이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해 20명을 선발한다.

특히 선발된 장학생의 소속 학교에도 수상 사실을 정식으로 통보해 학생이 대입 지원서에 기록을 쓸 수 있도록 했다.

차종환 원장은 “학생들이 그냥 장학금만 받는 것이 아니라 학교에도 우수한 학생으로 알려 인정받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차 원장은 또 미래 세대를 위해 일하는 한인 교육자들을 발굴해 공로를 알리는 일도 하고 있다.

사범대 출신으로 고교 교사부터 대학교수까지의 경험을 살려 페스탈로치 상을 제정한 차 원장은 장학 프로그램을 확대해 현재 한미은행, LA민주평통이 일시장학금 기증자로, 이태리양복점(대표 임구영), 터보에어(대표 김윤신), 밀리남, 찬일장학재단(대표 김선기), 로즈힐공원묘지의 브라이언 한씨 등이 영구장학금 기증자로 참여하고 있다.

차 원장은 “우수한 교육자가 있어야 우수한 미래의 리더를 키울 수 있다”며 “주위에 좋은 교육자와 학생이 있다면 추천해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꿈나무상 지원자는 웹사이트( www.kaercedu.org)에서 신청서를 다운받아 작성한 후 사진과 함께 성적증명서(GPA 3.5 이상), 대입시험 기록, 성장 과정이나 장래 희망을 쓴 에세이를 오는 11월 15일까지 한미교육연구원에 접수하면 된다. 페스탈로치 상 후보는 본인이 추천할 경우 2명의 추천서가 필요하다. 수상자에게는 개별 이메일로 통지한다.

접수는 이메일(jongwhancha@yahoo.com)이나 우편(975 S. Vermont Ave. #201, LA, CA 90006)으로 보내면 된다.

▶문의: (213)385-4279

장연화 기자 chang.nicole@koreadaily.com

SAT 시험 응시 늘고 평균점수 낮아졌다

0

[New York] 입력 2023.10.03 17:23

응시자 170만->190만명, 평균점수는 22점 하락
아시안 응시자 10.6% 증가, 평균점수 1219점

팬데믹 이후 SAT(수학능력평가시험) 점수 제출을 선택사항으로 변경한 대학들이 늘어난 가운데, SAT 응시생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전체 평균점수는 하락했고, 아시안 학생들의 평균점수는 모든 인종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지난달 29일 칼리지보드가 발표한 ‘2023년도 고교 졸업생 SAT 성적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미 전역에서 SAT에 응시한 학생 수는 191만3742명으로, 전년도 응시자 수(173만7678명)보다 10.1% 증가했다.  

아시안 학생 응시자 수도 늘었다. 지난해 아시안 학생 응시자 수는 17만5468명에 그쳤지만, 올해는 19만4108명으로 10.6% 늘었다. 아시안 학생 응시자는 전체 응시자의 10%를 차지하며, 백인은 75만2632명, 히스패닉은 46만2186명, 흑인은 22만5954명이 응시했다.  

전체 평균 점수는 오히려 하락했다. 전국 응시자의 평균 점수는 1600점 만점에 1028점으로, 작년 평균점수(1050점)에 비해 떨어졌다.  

아시안 학생들의 평균점수도 지난해 대비 하락했지만, 여전히 타인종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었다. 전국 아시안 학생 평균 점수는 1219점(영어 593점·수학 626점)으로, 1229점이었던 작년보다 10점 떨어졌다. 그럼에도 아시안 학생 평균 점수는 전체 평균보다 191점 높았다. 2개 이상 인종의 혼혈 학생 평균점수가 1091점으로 두 번째로 높았고, 백인 학생 평균점수는 1081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 특히 아시안 학생들은 전체 인종 가운데 유일하게 수학 평균 점수 600점대를 기록했다.  

주별로 보면, 뉴욕주 아시안 학생 1만6532명의 평균점수는 1180점(영어 576점·수학 604점), 뉴저지주 아시안 학생 응시자 9722명의 평균점수는 1266점(영어 622점·수학 644점)이었다.

윤지혜 기자

교육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