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Blog Page 28

[학자금 칼럼] 재정보조 설계, 대학과 협상 가능한 전문성 필요

0

학부모들은 미국에 이민을 온 이유를 물으면 대게 자녀교육 때문에 이민을 왔다고 말한다. 그리고 내심 반드시 자녀교육을 성공시켜 어메리칸 드림을 이루겠다는 꿈을 꾼다.  

그런데 자녀의 대학진학을 앞둔 부모에겐 자녀가 대학에 다니는 동안 드는 비용이 큰 고민거리이다.

다행히 미국의 교육제도에는 그 어느나라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대학학자금 재정보조라는 시스템이 있다.

이를 잘 활용하면 재정보조를 통해 실질적인 비용면에서 주립대학보다 더욱 저렴하게 사립대학을 진학시킬 수 있는 방법이 참으로 많다.  

재정보조 신청과 준비에 대한 개인적인 편견을 버리고 얼마나 재정보조 시스템을 이해하고 실천에 옮길 수 있을 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꿈을 꿀 것인가 아니면 꿈을 이룰 것인가의 차이다.  

필자는 지난 20년간 미 교육부 예산을 지켜보며 많은 칼럼을 통해 많은 정보를 공개하고 재정보조 시스템에 대해 알려왔다.  

지난 한 해를 돌아볼 때에도 자칭 재정보조 분야의 전문가라는 이들의 비전문성에 참담한 심정을 금할 길이 없다.  

학부모들과도 별 차이가 없이 단지 재정보조 신청서 제출에만 급급하는 수준인 사례들을 많이 봤다.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 학부모들의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재정보조는 신청서를 작성해 내는 일만이 아니라 재정보조 공식에도 능통해야 한다. 신청서에 기재하는 모든 내용들을 사전에 합법적으로 정제할 수 있도록 해결방안을 기초부터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입을 합법적으로 줄이기 위해 이를 준비하는 타이밍 이슈도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러한 일들은 반드시 주정부에서 재정을 다룰 수 있는 라이선스들이 모두 갖춰야 합법적으로 설계를 하고 문제해결도 할 수 있는 기본이 된 것이다.  

그러나, 주위에 그러한 준비가 되지 않은 자칭 전문가들이 자녀들의 미래를 망치고 있는 듯해 우려된다.  

또한 각종 상황에서 사업체에 Corporate Trust 등을 설치할 수도 있는 라이선스 외에도 보다 전문성이 요구된다.  

이는 많은 경험과 이를 감당할 수 있는 노하우 및 대학과 협상할 수 있는 보다 전문적이며 전략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러한 Corporate Trust 설치와 이에 동반해 적절한 세금공제 및 이를 세무에 처리할 수 있도록 회계사와의 공조가 모두 이뤄져야 한다.  

물론, 대학에서 지원하는 재정보조금의 수위 또한 해당연도에 재정보조 퍼센트가 얼마인지 포괄적인 현재 상황의 모든 데이터를 갖춰야 한다. 지원받은 재정보조금이 그 액수면에서 그리고 포함된 무상보조금과 유상보조금의 비율이 대학의 평균치에 합당한지 여부도 모두 판단할 수 있어야 재정지원금에 대한 평균치를 평가할 수 있다.  

과연 대학으로부터 재정보조에 대한 차별없이 잘 지원받았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기본 통계를 바탕으로 과학적으로 분석해 재정보조의 적정하지 않을 경우 형평성의 법칙에 따라 타당한 이의신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영어도 완벽해야 하고 전략적인 이의신청이 되어야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전문성을 모두 갖추고 진행해야 한다.  

분명히 해야 할 문제는 ‘잘할 수 있겠지…’의 문제가 아니라, ‘잘할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이다.  

대학에서 재정보조 지원을 받았을 때 이를 잘 판단할 수 있는 대학별 기초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모두 갖춰야 실효적인 이의신청도 가능하다. 단순히, 가정이 힘들고 어려워 더 도와달라는 식으론 어렵다. 대학들은 모두 이런 이의신청을 거절하는 서신을 미리 준비하고 있다. 

너무 많은 학생들이 재정보조 이의신청을 하기 때문에 전혀 구분되지 않는다. 대학의 입장에서는 한 학생에게 3000달러만 절약해도 3000명이라면 900만달러를 절약할 수 있다. 대학들은 자금을 보조하지 않아도 학부모들이 융자를 통해서라도 어떻게든지 비용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재정보조의 사전설계, 준비 및 신청과 진행, 그리고 평가와 이의신청 및 마무리 작업까지 모두 미국적 사고방식으로 보다 합리적이고 실질적인 진행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미이다. 다음 칼럼에서 더욱 구체적인 방법론을 개재할 예정이다.

리차드 명 대표
▶문의:(301)219-3719
remyung@agminstitute.org

조지아 학자금 대출자 169만명, 트럼프 취임에 ‘불안’

0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바이든 정부의 학자금 대출 탕감책에 부정적 입장을 드러내면서 학자금 대출자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특히 전국 다섯번째로 대출액이 많은 조지아주의 경우 빚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연방학생지원국(FSA)의 지난해 9월말 기준 최신 통계에 따르면, 조지아주 내 연방학자금 대출자는 169만 5500명이다. 35~49세와 25~34세가 각 55만여명으로 가장 많으며 24세 이하는 25만명으로 집계됐다. 50세 이상 고령 대출자도 약 34만명에 달한다. 이들의 빚은 총 701억달러로 집계됐다. 캘리포니아, 텍사스, 플로리다, 뉴욕에 이어 전국 다섯번째로 대출자와 대출액 규모가 크다. 대출자 1인당 빚이 4만 2135달러로 전국 3위다. 전국 평균 3만 6200달러보다 상당히 높다.

공화당 주도의 조지아는 트럼프 집권 전부터 학자금 대출 탕감책에 부정적 입장을 견지해왔다. 작년 4월과 9월 연달아 바이든 행정부를 대상으로 앨라배마, 플로리다 등 전국 7개주와 공동으로 학자금 대출 지원책이 연방정부의 과도한 행정권 남용에 해당한다며 소송을 제기해 법 집행을 막았다. USA투데이는 “트럼프 첫 재임 당시 추진했던 공약은 공공서비스 대출 탕감 프로그램(PSLF) 종료, 학자금 사기 피해자 구제 제한 등”이라며 “학자금 지원에 세수를 사용하는 것에 부정적 견해를 표출해왔다”고 지적했다. 트럼프가 대선 과정에서 연방 교육부를 폐지하겠다고 공언한 것도 위험 요인 중 하나다.

비영리기관 조지아 예산·정책 연구소(GBPI)는 “조지아주 학생의 41%가 펠 그랜트(연방 무상학자금) 적격자라는 사실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이 적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학자금 탕감책은 개인의 재정적 부담을 덜어줄 뿐 아니라, 교육 시스템의 공정성과 형평성을 회복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채원 기자

OCC<오렌지코스트칼리지>, 학생들 운영 여행사 선보여

0

지난달 트래블 OCC 론칭
업무 보며 인턴경력 쌓아

코스타메사의 오렌지코스트칼리지가 재학생들이 운영하는 ‘여행사 트래블 OCC(Travel OCC)’를 선보여 화제다.

대학 측에 따르면 지난달 론칭한 이 여행사 직원은 모두 숙박, 여행, 관광 등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학생들이다.

항공과 크루즈 선박, 각종 관광 프로그램 예약을 포함, 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행사 업무를 캠퍼스 내에서 보며 인턴 경력도 쌓을 수 있어 학생들도 좋아한다는 것이 대학 측의 설명이다.

트래블 OCC의 디렉터인 캐서린 콜렛 박사는 “직접 방문하는 고객에겐 학생 인턴들이 상담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트래블 OCC는 업계 전문인과 자격을 갖춘 자문위원들의 감독 아래 운영된다. 호텔 체인, 항공사들과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다른 곳에 비해 저렴한 가격에 여행 상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대학 측은 트래블 OCC의 궁극적인 목적은 재학생과 동문을 포함한 전체 지역 사회를 돕는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는 전화(714-432-5821) 또는 이메일(info@travelocc.com)로 하면 된다.

FAFSA 신청, 불체자 부모 노출 우려 커진다

0

신청서에 부모 체류 신분 공개
트럼프 출범 후 추방될까 불안

서류미비자 부모를 둔 시민권자 학생들이 연방 학자금 지원 신청서(이하 FAFSA)를 제출하는 과정에서 불안함을 느끼고 있다.

불법 체류자 추방을 언급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을 앞둔 가운데, FAFSA 신청 시 부모의 체류 신분이 공개돼 추방 위험에 놓일 수 있다는 걱정 때문이다.

2일 LA타임스(LAT)는 LA 다운타운 매그닛 고등학교의 한 졸업 예정자 가족을 익명으로 인터뷰해 이와 같이 보도했다.

28년 전 과테말라에서 미국으로 온 입시생의 아버지는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내 딸이 대학에 가는 것이 내가 추방될 위험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실제 신청자들은 FAFSA 서류에 부모의 사회보장번호(소셜 시큐리티 넘버·SSN)를 기재해야 한다. 이때 서류미비자인 부모는 번호가 없기 때문에 신청서에 숫자 ‘0000’ 등을 기재하게 된다. 이로 인해 FAFSA 서류만 봐도 부모의 불법 체류 신분이 노출돼 추방 위험에 놓일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고충을 토로한 아버지 역시 위험성을 알고도 딸의 FAFSA 신청서 작성을 학교 진학 카운슬러에게 부탁했다.

한인타운에 살며 UCLA, 스탠퍼드 대학 등에 지원한 이 아버지의 딸은 “더 나은 삶을 위해 미국에 온 부모님의 선택으로 왜 내가 고통 받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매그닛 고등학교의 린다 맥기 카운슬러 역시 “이와 같은 상황에 처한 학생이 많다”며 “이들은 자신의 미래와 부모의 미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고 했다.

FAFSA 제출은 서류미비자 부모를 둔 학생들에게 가족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결정이 되고 있다. FAFSA는 매년 제출해야 하는 서류이기 때문에 대학생들 역시 같은 딜레마에 직면한다. 이 신문은 정부 감사국 자료를 인용, 지난해 FAFSA 신규 제출 건수가 9%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그만큼 서류미비자 부모를 둔 학생들의 걱정이 간접적으로 드러나는 대목이다.

현재 FAFSA를 관장하는 교육부는 부모의 신분을 다른 연방 기관과 공유하지 않고 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면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방 대상자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 교육 카운슬러와 이민자 옹호 단체들의 주장이다.

AGM 칼리지 플래닝의 리처드 명 대표는 “신분 정보 등을 공유하지 않는다 해도 교육부는 신청자의 영주권 또는 시민권 취득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기타 연방 정부 기관을 통해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신청자와 부모의 정보는 노출될 수밖에 없는데다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는 시점에서 우려가 높아지는 건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반면, FAFSA 신청이 실제 추방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FAFSA 접수를 돕는 마이크 이 회계사는 “기존에도 사회보장번호가 없는 부모는 ‘0000’을 써서 서류를 접수했고 그 자녀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며 “학생의 신분이 중요하지 부모의 신분은 중요하지 않다”고 했다.

그는 “혜택을 받는 것은 학생이지 부모가 아니며, 그동안 부모가 한국에 사는 한국인이어도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FAFSA는 연방 학자금 지원 신청서로, 대학생 또는 대학 진학 예정자가 연방 정부로부터 학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류다. 가주 지역 대학 등은 오는 3월 2일까지 FAFSA 접수를 권장하고 있다.

김영남 기자

[한국어 열풍] ‘가나다라…’ 배우며 한국 정서를 만끽하다

0

곳곳에서 한국어 배움의 열기
다양한 연령·인종, 수강생 급증
“한류에 대한 관심이 동기 부여”
차세대 “한국어 배우며 자긍심”

라스베이거스 데모크라시 프렙 고등학생들이 LA한국교육원을 방문해 한글 서예를 배우고 있다. [LA한국교육원 제공]

미주한국학교총연합회가 개최한 제35회 동요합창경연대회에서는 주말 한국학교 17개팀, 총 1300여명이 참석해 한국어 노래실력을 뽐냈다. [미주한국학교총연합회 제공]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LA한국문화원에 자리한 ‘세종학당’에는 영어권 주민들이 모여 ‘가나다라’를 배운다. 이들은 한국어 입문반, 초급반, 중급반, 고급반 총 6개 반에서 각자 실력에 맞춰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을 깨치고 있다. 세종학당이 LA에 문을 연 지는 10년이 넘었다. 팬데믹 이후 눈에 띄는 변화도 생겼다. 세종학당 입문반 문의가 급증했다. 세종학당 측은 수요가 많아 대기자 명단까지 생겼다고 귀띔한다. 대학생과 직장인인 이들은 바쁘다. 그럼에도 한국어를 배우려 기쁜 마음으로 세종학당 문을 두드린다고 한다. 세종학당 측은 10여 년 전 미국에 불기 시작한 한국 대중문화, ‘한류’가 한국어 수강생 증가의 일등공신이라고 전했다.  

한국 문화 애정, 한국어 배움으로

LA한국문화원에서 시작한 세종학당은 초창기 1~2개 반이었다면, 2024년 12월 기준 6개 반, 한 해 동안 총 996명이 등록해 한국어를 배웠다. 이는 2023년 728명보다 37%나 늘었다. 미주 지역 세종학당도 미국에만 13개소, 남미와 북미 포함 총 34개소가 운영 중이다.  

현재 한국어 수업은 LA한국문화원 대면수업 외에 온라인 한국어 수업으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한국어 수요에 맞춰 내실을 강화했다.

지난 10여 년간 수강생 유형도 달라졌다. 초창기 ‘K팝’을 좋아하는 젊은층 위주였다. 현재는 한국 드라마와 영화 등을 보며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하는 중장년층도 많아졌다.  

LA 소재 미국 거점 세종학당 안형미 소장은 “한국어 수강생이 증가한 가장 큰 요인은 ‘한국 문화의 힘’”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사회에서 K팝, 드라마, 영화 인기에 입어 최근에는 한국 음식 관심도 높아졌다고 한다. 한국 문화를 듣고 보고, 한국 음식을 맛볼수록 한국어를 배우고 문화를 직접 체험하려는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어, 고마워요”

“교수님께, 한국어를 가르쳐 주셔서 고마움을 전하고 싶습니다. 한국어 수업은 여러 가지 면에서 제 기대를 뛰어넘었어요. 이제는 제가 한국 드라마를 듣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요. TV 한국어 자막도 읽습니다. 제가 보는 한국 드라마 농담 일부의 맥락, 문화적 이해가 더 커져서 기쁩니다.”

LA시티 칼리지(LACC) 한국어반 수강생 리사 피츠가 최근 한국어반 교수진에 보낸 편지 내용이다. 피츠는 한국어를 배움으로써 한국 정서를 파악하게 된 결실을 가장 반겼다.

한국어 배움 열기는 한국어 프로그램(디렉터 미키 홍 교수) 인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LACC는 지난 1999년 한국어반을 시작했다. 당시만 해도 수강생은 15~20명이 전부. 2024년 현재 한 학기 수강생은 총 250명으로 한국어반은 수준별로 총 11개 반이나 된다. 수업 내용도 한국어 초중급부터 한국 문화, 한국 영화 이해, 한국 현대사회 등 한국 역사와 문화 전반을 이해하도록 돕고 있다.  

영어권에서 한국 대중문화는 소수만 즐기는 오타쿠 범주를 넘어섰다는 평가다. 여러 인종, 다양한 연령대 사이에서 폭넓은 관심을 받게 됐다고 한다. 자연스레 한국어 배우기로 이어지고 있다.

뿌리 깊은 한국어 교육

2023년 10월 6일 LA시의회는 매년 10월 9일을 한글날로 제정하는 선포식을 진행했다. 같은 시기 LACC에는 세종대왕 동상이 세워졌다.  

사실 미국 한국어 교육 및 한국 문화 알리기는 120년 역사를 지니고 있다. 1903년 1월 13일 하와이 호놀룰루항에 처음 도착했던 한인 이민선조 102명 등 일제강점기 한인 이민선조 7000여 명은 하와이, LA, 샌프란시스코 등 미전역으로 흩어져 터전을 일궜다. 그들은 고된 노동에도 학교부터 세워 2세, 3세 한국어 교육에 전념했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2차 한인 이민 물결도 다르지 않았다. 한인 1세대는 남가주 한국학원 등 한인 정착 도시마다 주말 한국학교를 세워 차세대 한국어 교육에 앞장섰다.  

특히 한인 부모 사이에서도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이 미국에서 자라는 아이의 정체성과 자존감을 키운다’는 공감대가 단단해졌다. 주말 한국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 진출한 한인 2~3세들은 “한국어를 배우게 해준 부모님께 정말 감사하다. 한국어 구사 능력은 사회생활에서도 경쟁력을 키워준다”고 입을 모은다.  

미주한국학교총연합회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네바다, 뉴멕시코 지역에만 주말 한국학교 350여곳(학생 8700명 이상)이 운영되고 있다.  

주말 한국학교는 지역사회 교육자, 교회 자원봉사자가 중심이 돼 운영된다. 이들은 여러 어려움 속에도 한국어 수요 급증을 기뻐하고 있다.  

백기환 회장은 “미국과 세계에서 한국 문화가 관심을 끌면서 차세대들 역시 한국어를 배우며 자긍심을 느낀다. 역대급 시너지 효과다. 한국학교에서 차세대와 타인종 청소년들이 어우러지며 한국 문화를 자연스럽게 즐기고 이해하는 모습에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정규학교 한국어반 인기

LA한국교육원은 초·중·고 정규학교 한국어반을 지원하고 있다. 한인 청소년에게 뿌리교육과 자부심 고취를, 영어권 미국인에게 한국 문화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큰 교육 방향이다.  

한국어와 한국 문화 인기가 많아지면서 최근에는 학생과 학부모가 ‘한국어반 개설’을 주도하기 시작했다.

정규학교 한국어반 인기 요인은 단연 한국 대중문화다. 특히 한글은 한자를 사용하는 아시아권 언어와 달리 단 몇 시간 만에 배울 수 있어 학생들이 어려워하지 않는다.    

정규학교 한국어반 개설을 지원하는 LA한국교육원은 정규학교가 한국어반 신설 시 3년 동안 최대 3만 달러(한국어반 최소 1개 학급, 학생 20명 이상)를 지원한다. 지원 조건으로 영어권 학생들이 한국 문화를 함께 접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정규학교 내 눈에 띄는 변화는 한국어반을 개설한 학교 내 한국어반 학급수 증가다. LA한국교육원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네바다, 뉴멕시코 지역 초·중·고 정규학교 한국어반은 82개 학교로 학생은 총 8785명이다. 미전역에서는 2023년 기준 217개 정규학교에서 총 2만5000명 이상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강전훈 교육원장은 “한인 청소년이 모국어와 영어를 함께 배우면 창의력, 사고력 등 전반적인 학습 능력이 향상된다는 연구결과가 많다”며 “이제 한인 청소년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일은 필수가 됐다. 한인 차세대들이 대한민국의 역사와 전통, 문화, 한국인의 지혜를 더 많이 배우도록 힘써 달라”고 강조했다.

[JSR] A+ Habits for a Thriving School Experience (1/2/2025)

0

매주 목요일자 중앙일보 본국판 신문에 게재되는 기사는 www.KoreaDailyUS.com (중앙일보 영어 사이트)에도 동시 게재됩니다.

Newspaper PDF Download


Hosting Chantilly High School’s First Winter Home Meet (by Kaylyn Yu)


Top 5 Things To Do in Seoul, Korea (by Jenna Kim)


The Impact of Music on the Brain (by Chloe Je)


A+ Habits for a Thriving School Experience (by Erin Lee)


Why Koreans Whitewash Idols: Origins of Beauty Standards (by Sujin Kang)


Too Much, Too Soon: The Stress of Early Study in Korea (by Seo Yun Lee)


쿼터 사이즈의 ‘매운 연주’ 최연소 수상…8세 박제이 양

0

아메리칸 프로티지 국제콩쿨
바이올린 부문 최연소 수상

아메리칸 프로티지 국제콩쿨에서 바이올린 부문 최연소 수상자인 박제이양이 지난 15일 카네기홀에서 비발디를 연주하고 있다. [박제이양 가족 제공]

올해 8살 한인 학생이 아메리칸 프로티지 국제콩쿨대회(American Protege Music Competitions) 바이올린 학생 부문에 최연소 수상을 해 화제다.

주인공은 LA에 거주하는 박제이(8세·원더랜드초등학교 3학년)양.  

박양은 바이올린을 시작한 지 2년 만에 처음 대회에 출전해 수상하는 기염을 토했다.    

박양은 올해 2월 온라인으로 열린 대회에서 비발디 바이올린 협주곡 6번 가단조 1악장을 연주했다. 연주에 이어 지난 12월 15일 열린 시상식과 함께 뉴욕 카네기홀에서 열린 리사이틀 연주도 성공적으로 마쳤다.  

박양은 “열심히 연습해 좋은 결과가 나와 기쁘고 고맙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날 연주회에서 박양은 바이올린 부문 최연소로 쿼터 사이즈 악기임에도 풍성한 음색을 자랑해 주변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박양의 아버지는 “아이가 다양한 경험을 하며 성장하길 바라며 선생님의 권유로 대회에도 도전하게 되었는데 값진 경험과 더불어 수상까지 하게돼 감사하다”며 “딸이 바이올린과 마음을 나누는 좋은 친구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최인성 기자 ichoi@koreadaily.com

트럼프 ‘미국대학 졸업생에 영주권’ 발언 재조명

0

[뉴욕 중앙일보]

CNN “트럼프, 대선 캠페인 중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공약”
연방의회 지지 얻기는 어려울 듯…공화당도 반발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이 3주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이번엔 트럼프 당선인이 미국에서 대학을 졸업한 외국인들에게 영주권을 부여하겠다고 했던 과거 발언에 재차 관심이 쏠리고 있다. 취임 첫날부터 불법체류자에 대한 대대적 추방을 약속한 트럼프 당선인이 전문직과 고급 인력에 대한 합법 이민은 적극적으로 장려할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CNN 방송은 최근 “트럼프 당선인이 지난 6월 선거 캠페인 중 한 팟캐스트 방송에 출연, 외국인 유학생들이 미국을 떠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발언한 지 5개월이 지났다”며 “공약을 지킬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해 6월 ‘The All-In Podcast’ 인터뷰에서 “제가 하고 싶은 일, 그리고 앞으로 제가 할 일은 미국에서 대학을 졸업하면 졸업장의 일부로 자동으로 영주권을 받고, 이 영주권으로 미국에 머물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교육연구소(IIE)에 따르면 2023~2024학년도 기준 미국에 등록한 유학생은 110만명으로, 역대 최다 수준이다. 이들은 미국에서 공부할 수 있는 비이민 비자를 갖고 있지만 이후 합법적 이민 경로를 찾긴 쉽지 않다. 따라서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대로 대학 졸업과 동시에 영주권을 받게 된다면 한인 유학생을 비롯한 유학생들의 취업과 이민 문호가 크게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당시 팟캐스트에서 대학원 과정을 끝내도 미국에 머물 수 있게 하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백악관 대변인으로 발탁된 캐롤라인 레빗은 CNN에 “미국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고, 철저히 심사된 대학 졸업생이면서, 미국인의 임금이나 근로 기회를 깎아내리지 않아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트럼프 당선인이 실제로 이를 추진한다 하더라도, 연방의회의 지지를 얻을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트럼프를 지지하는 공화당 의원들조차도 강경 이민정책과 상반되는 것이기 때문에 반대할 가능성이 크다. 커뮤니티칼리지 등 대학이 우후죽순으로 늘고, 영주권 공장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민 전문가들은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은 ‘미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기술이 있는 우수 인력의 영주권이나 취업비자 취득이 더 쉬워질 것’이라는 뜻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봤다. 추첨에만 의존하는 전문직 취업비자(H-1B)보다는, 미 대학을 졸업할 경우 취업비자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을 더 쉽게 만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 

법원, 이유 없는 시카고 교육청장 해고 불가

0
[WTTW]

쿡 카운티 판사가 페드로 마르티네즈 시카고 교육청장의 손을 들어줬다.  

지난 24일 쿡 카운티 법원은 마르티네즈가 제기한 소송과 관련, 시카고 교육청(CPS) 교육위원회가 마르티네즈를 아무런 이유 없이 해고할 수 없고, 마르티네즈의 동의 없이 시카고 교사노조(CTU)와의 협상도 할 수 없다고 결정했다.  

앞서 브랜든 존슨 시카고 시장이 구성한 교육위원회는 지난 20일 만장일치로 마르티네즈의 해고를 결정했지만, 이날 판결로 마르티네즈는 최소 6개월동안 교육청장 자리를 지킬 수 있게 됐다.  

마르티네즈는 “내가 바라는 건 특별한 것이 아니다”며 “내게 주어진 일을 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인데, 많은 세력들이 자신들의 이익과 정치를 하고 있다. 그들의 말을 들어주지 않자 자리에서 물러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CTU 출신인 존슨 시장은 교사 노조와의 새로운 계약을 위해 마르티네즈에게 단기 고금리 대출을 제안했지만, 마르티네즈가 이를 거부한 이후 다양한 방법으로 해고 압력을 시도하고 있다.  

마르티네즈는 “학생과 학부모, 어린이와 성인, 교사와 직원 등이 지켜보고 있다”며 “어른답게 모두에게 최선인 결과와 계약을 찾아내고 서로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카고 교육위원회는 내년 1월 9일 다시 한번 청문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Kevin Rho기자

[ASK 교육] 대학들의 재정보조 확대 경쟁

0

▶문= 대학 학비가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일부 대학은 학생 유치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어떤 액션을 취하고 있는가?

▶답= 일부 명문대는 재정보조 프로그램 확대를 내세우며 우수학생 유치에 나서고 있다.  

MIT는 2025년 가을학기부터 연소득 20만달러 미만 가정 학생들에 최소한 학비 전액을 면제해주는 혜택을 제공한다. 연소득 10만달러 미만 가정 출신 학생들의 경우 풀라이드(학비+수수료+룸+보드)를 제공받는다. 학비를 면제받는 것은 7만달러 상당의 그랜트를 받는 것과 마찬가지다. 유펜은 연소득 14만달러~20만달러 가정 출신 학생들에게 학비를 100% 면제해주며, 연소득 7만5000달러 미만 가정의 학생인 경우 풀라이드를 제공한다. 카네기멜론 대학, 브랜다이스 대학, 텍사스 대학(U of Texas) 등도 지난 11월 인컴 자격을 갖춘 학생들에게 재정보조 혜택 확대를 발표했다.  

어떤 대학은 재정보조 확대 대신 학비 동결조치를 취했다. 코네티컷주 내 공립대학들은 2025~2026학년도에 학비를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애리조나 대학(U of Arizona)도 2025~2026학년도 학비와 수수료를 2025~2025학년도와 같은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했다.  

애플 공동창업자 스티브 잡스가 한 때 공부한 학교로 유명한 오리건주 리드 칼리지는 오리건주와 워싱턴주 출신으로 연소득 10만달러 미만 부모를 둔 학생들에게 학비 전액을 면제해주기로 결정했다. 이 혜택은 편입생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매사추세츠 다트머스 대학은 2025년 가을학기부터 연소득 7만5000달러 미만 가정 출신 학생에게 최대 4년간 학비와 수수료를 면제해주는 정책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학들은 고교졸업생 감소 추세로 앞으로 등록생이 줄어들 위기에 처해 있다. 고교졸업생들이 대학지원자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풍족한 기금을 보유한 대학들을 중심으로 재정보조 프로그램 확대 붐이 일고 있는 것도 이런 위기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오는 2041년에는 고교졸업생수가 지금보다 13%나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인들이 선호하는 탑20사립대의 경우 2025~2026학년도 총비용이 학비, 수수료, 식비, 기숙사비, 교과서비, 교통비, 용돈 등을 모두 포함해 10만달러에 육박한다. 연 수십만달러를 벌어도 자녀 일인당 10만달러를 교육비용으로 조달하기는 쉽지 않다. 대학입시 본게임을 치르기 전에 관심 있는 대학 별로 어느 수준의 재정보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꼼꼼한 리서치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문의: (855)466-2783 / www.TheAdmissionMasters.com
지나 김 대표

교육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