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Blog Page 33

뉴저지 유아원 프로그램 확대

0

연방 보조금 4200만불
팰팍 등 22개 학군 투입
프로그램 정원 1493석 추가

뉴저지주 유아원 프로그램이 확대된다.  

지난 4일 뉴저지주 교육국은 “4200만 달러 연방 보조금을 뉴저지 22개 학군의 유아원 프로그램 확장에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22개 학군은 유아원 프로그램에 정원 1493석을 추가로 마련할 수 있게 됐다. 이외에도 해당 자금은 ▶유아원 교실 건설 및 보수 공사 ▶종일 보육 프로그램 확대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유아원 추가 지원금이 투입되는 학군에는 한인밀집지역인 버겐카운티 팰리세이즈파크(204만61달러)도 포함됐다.  

필 머피 뉴저지주지사는 “양질의 유아원은 한 아동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 접근성을 확대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문제”라며 “이 보조금은 우리 아이들의 미래에 대한 투자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케빈 데머 뉴저지 교육감 대행은 “그동안 뉴저지의 많은 가족과 교육자들이 양질의 유아원 프로그램을 원했으나,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는 적절한 시설이 부족하다는 장애물에 직면해왔다”며 “이번 자금 지원을 통해 고품질 유아원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윤지혜 기자

[ASK 교육] 입시준비, 중학생 때 시동 걸어라

0

▶문= 명문대 진학이 목표라면 중학생 때부터 준비해야 한다는 말이 있다. 정말 그런가?

▶답= 대학입시라면 11학년생과 고교졸업반 학생들이 레주메를 가다듬고, 에세이를 쓰고, SAT*ACT 등 표준시험을 치르고, 교사에게 추천서를 부탁하고, 입학원서를 작성하는 등의 행동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을 것 같다. 하지만 성공적인 입시를 위해서는 고등학교 11학년이나 12학년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 해를 거듭할수록 명문대 입시경쟁은 상상을 초월한다.

중학생 때가 입시준비 시동을 걸기에 가장 이상적인 타이밍이라고 본다. 어릴 적부터 읽고 쓰는 능력과 산술 능력을 키우는 것은 성공의 든든한 파운데이션이 된다. 부모가 집에서 안정적인 공부환경을 만들어주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책을 많이 읽고 독해력을 키우며 최대한 많은 글을 쓰는 연습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과종에서 비판적 사고력을 발전시키는데 중점을 둔다.  

7학년이나 8학년 때 자녀가 다양한 교내 과외활동을 경험하도록 돕는 것을 권장한다. 이런 활동을 통해 아이의 지적 호기심이 자극된다. 과외활동은 학업성적과 개인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조사 결과도 나와 있다. 스포츠, 음악, 미술, 연극, 코딩, 자원봉사 등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은 얼마든지 존재한다. 다양한 액티비티에 참여하며 자신감을 키우고, 팀워크의 중요성을 배우며 리더십 스킬도 취득할 수 있다.  

시간 관리, 목표 설정, 태스크 개시 등도 성공을 위해 필요한 스킬들이다. 중학생 때 본인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데일리 스케줄을 짜고, 단기적*장기적 목표를 세우고, 하나씩 실천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지원한다. 특히 학교 공부, 각종 과제물, 과외활동에 적절한 시간을 배분해 중심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신경 쓴다.  

우리는 완벽한 GPA와 시험점수만으로는 드림스쿨 진학이 불가능한 시대를 살고 있다. 명문대 입학사정관들은 단기적으로 캠퍼스 커뮤니티, 장기적으로는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찾는다. 중학생 때부터 다양한 활동을 통해 리더십과 인성을 갖추도록 노력한다.  아무리 규모가 작고, 기간이 짧은 활동이라도 자녀가 리더십 포지션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현명하다.  

▶문의: (855)466-2783 / www.TheAdmissionMasters.com
지나 김 대표

LACC, 한국어 수업 워크숍…한국어·한국 문화·K팝 등 안내

0

LA시티칼리지(LACC)가 중등학교 등 한국어반 교육자를 위한 ‘수업 교육자원 공개 워크숍’을 개최한다.

한국어 교육자원 공개 워크숍은 14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 LACC 학생회관 3층(Student Union 3F)에서 진행한다.

워크숍은 총 1부 환영사, 2부 한국어 수업 및 K팝 교육, 3부 한국 역사와 문화, 4부 한국어 이중언어 프로그램 등록방법, 대학 한국어 프로그램 정보 등을 안내한다.

LACC 한국어 프로그램 디렉터 미키 홍 교수는 “남가주 지역에서 한국어 수업을 맡은 중고등학교 교사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워크숍을 통해 효과적인 한국어 수업 정보와 교육자료 등을 공유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워크숍 신청 등 자세한 정보는 QR코드로 안내한다.

▶문의: (323)578-2052  

김형재 기자

시더스 사이나이·UCLA 2년 연속 최우수 병원…US뉴스 선정

0

US뉴스&월드리포트 평가 공개
소화기내과·정형외과 등 우수
USC·UC데이비스메디컬센터도

시더스 사이나이 병원과 UCLA 메디컬센터가 2년 연속 남가주 최우수 병원에 이름을 올렸다. 두 병원은 주요 진료과목에서 전국 10위권을 차지했다.  

지난 10일 US뉴스&월드리포트는 ‘2024~2025 전국 병원평가’를 발표했다. 이 매체는 전국 418개 종합병원을 평가한 결과 남가주에서는 ‘시더스 사이나이 병원·UCLA메디컬센터·UC샌디에이고 병원’이 가주 최우수 병원(Best Hospitals in California) 종합 1위를 차지했다고 전했다.  

가주에서는 남가주 최우수 병원 3곳과 스탠퍼드 헬스케어, UCSF메디컬센터가 공동 종합 1위에 선정됐다.〈표 참조〉

US뉴스&월드리포트의 전국 병원 평가 기준은 ‘환자 치료성과, 환자 안전, 의학기술 및 평판, 위험관리 수준, 재입원 비율, 간호 수준’ 등이다.

시더스 사이나이 병원은 소화기내과, 암치료, 산부인과, 정형외과 등 11개 진료분야가 전국 우수(Nationally Ranked) 평가를 받았다. UCLA메디컬 센터는 정형외과, 노인병, 이비인후과, 당뇨&내분비 등 14개 진료분야에서 실력을 인정받았다. UC샌디에이고 병원도 호흡기내과, 산부인과, 노인병 등 11개 진료분야가 전국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켁(Keck)메디컬센터-USC, 스크립라호야병원, UC데이비스 메디컬 센터, 토런스 메디컬센터, 호아그 메모리얼 병원이 남가주 최우수 병원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인이 자주 찾는 할리우드 차병원은 소화기내과, 노인병, 신경외과, 정형외과 등 7개 진료분야에서 우수(High Performing) 평가를 받았다. PIH굿사마리탄병원은 심혈관, 당뇨&내분비, 노인병, 신경외과, 정형외과 등 6개 진료분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병원평가 보고서는 내용은 웹사이트(health.usnews.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형재 기자 kim.ian@koreadaily.com

[JSR] First Time Experiencing an Economic Forum (12/12)

0

매주 목요일자 중앙일보 본국판 신문에 게재되는 기사는 www.KoreaDailyUS.com (중앙일보 영어 사이트)에도 동시 게재됩니다.

Newspaper PDF Download


Building Bonds Through the House Cup (by Sujin Kang)


LAUSD 2025 Cell Phone Ban (by Jiyeon Hwang)


Turkey Bowl: Thanksgiving Korean Church Recreation (by Kaylyn Yu)


First Time Experiencing an Economic Forum (by Hajoon Song)


Breaking Free: How to Get Rid of Unwanted Habits (by Chloe Je)


The Impact of Genetic Modification (by Yejoon Choi)


유학생들 이중고…트럼프, 환율에 긴장

0

한국 비상계엄 여파로 달러 급등
환차손에 학비 수백만원 늘어
대학들, 유학생 조기 복귀 권고
“구금되면 로스쿨 클리닉 이용”

한인 등 유학생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강력한 이민 정책 예고부터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환율 급등 등 최근 연달아 발생한 악재를 두고 한국인 유학생들 사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학생 비자 유효 기간 감소, 비자 발급 지연, 환율 급등으로 인한 학비 인상 등의 악영향이 앞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먼저 지난 3일 한국의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원·달러 환율은 장중 한때 1446.5원까지 치솟았다. 15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환율은 계속해서 1410원 이상을 유지 중이다. 한국인 유학생 대부분 한국에 있는 부모를 통해 학비를 납입하는 만큼 이들은 환율에 민감하다. 수만 달러의 거액이 학비로 지출되기 때문에 미세한 등락에도 몇백만 원의 차익이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USC의 경우, 2024-25학년도 봄 학기 학부생 기본 학비는 수업료, 교통비, 학생회비 등을 모두 포함해 3만5529달러다. 만약 한국에 있는 학부모가 비상계엄 선포 전인 지난달 27일 자녀의 다음 학기 학비를 납입했다면, 이날 환율(1393원) 기준 4913만6607원을 학비로 지불했다. 반면, 학부모가 비상계엄 선포 이후인 10일 다음 학기 학비를 냈다면, 이날 환율(1435.20원) 기준 5099만1220.8원이 학비로 나갔다. 환율 급등으로 인해 같은 액수의 학비를 두고 불과 2주 사이 원화로 200만 원에 가까운 차익이 발생한 셈이다.

USC에 재학 중인 홍기호(1학년·사회학)씨는 “환율 급등은 부모님께 큰 부담이 된다”며 “유학생 대부분이 학비를 비롯해 아파트 렌트비, 생활비 등을 모두 달러로 받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친형도 현재 미국에서 공부 중인 만큼 부모님의 부담이 가중되는 것 같아 죄송한 마음이 크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유학생들은 트럼프 2기 정부가 예고한 강화된 이민 정책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미시간대, 코넬대, 예일대, MIT, 매사추세츠대학, USC 등 유수의 대학은 겨울방학을 맞아 유학생에게 해외 출국을 삼가거나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취임식 이전에 미국에 입국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미시간대 국제처는 지난달 27일 트럼프 2기 정부를 앞두고 비자 갱신, 해외 출입국 계획 수립 등 유학생들이 유의해야 할 점을 이메일로 안내했다. 차기 정부의 이민 정책 조정으로 학생 비자 유효 기간 등 일부 조건이 달라질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미시간대 재학 중인 신승민(3학년·통계학)씨는 “최근 학교 어드바이저를 만났는데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취임식 이전에 학교로 돌아올 것을 권고했다”며 “학교 측에서 유학생들을 많이 걱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급기야 USC는 지난 3일 겨울방학 동안 해외로 나가는 유학생들에게 개강일인 내년 1월 13일 이전에 학교로 복귀할 것을 권고했다. 또 LA국제공항에서 구금될 경우, 학교 로스쿨 클리닉의 법률 자문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것을 당부했다.

USC 대학원에 다니는 샘 전씨는 “학교에서 조기 입국 권고 메시지가 통보된 이후 많은 유학생이 당황해했다”며 “교내 학생 게시판에는 트럼프 2기 정부의 정책에 대해 우려하고 이를 성토하는 의견들이 쏟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김경준 기자

수학 경시대회 (AMC & AIME), 대학 입시에 정말 도움이 될까?

0
(사진=American Mathematics Competition 홈페이지 캡처)

대입을 준비하는 그 누구나 아는 사실은, 내신관리 가장 중요하고, 뒤를 따라 SAT/ACT 점수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SAT/ACT 점수의 경우도 현재는 test-blind & test-optional 정책을 시행하는 대학들이 많으나, 명문 대학들을 필두로 점차 test-required로 바뀌는 트렌드에 따라 많은 학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는 추세이다. 내신관리, 표준 시험 점수와 함께 중요한 것이 특별활동 이력인데, 이 특별활동 이력에서 무엇을 충족시켜야 하는지 갈피를 못 잡는 학부모와 학생들이 많다.

그러므로 많은 학부모와 학생들은 학교에서 진행하거나 대중적으로 이름을 알린 경시대회, 프로그램을 자연스레 찾게 되는데, 그중 많은 문의를 받는 것이 정말 AMC와 그 상위 대회 AIME, USAMO에 참여해서 좋은 성적을 받는 것이 대입에 있어 큰 도움이 되냐는 것이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정답은 “큰 도움이 된다” 이다. 오늘 칼럼에서는 AMC과 그 상위 대회들에 대해 알아보고, 대입에 있어 어떻게, 왜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AMC란?

AMC는 American Mathematics Competition의 약자로, 미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대표적인 수학 경시대회이다. MIT, Cal Tech, Stanford, UC Berkeley 등 최상위권 STEM 대학에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은 한 번쯤은 준비를 해봤을 정도로 필수가 되는 시험이다.

일반적으로 AMC는 AMC8/10/12를 뜻하며, 시험명 뒤에 따라오는 숫자는 각 숫자에 적힌 학년까지만 응시 가능한 것을 표기한다 (예를 들어, AMC10은 10학년까지만 응시 가능). 가장 기본이 되는 AMC 시험을 통과한 학생들은 더 높은 레벨의 수학 경시대회에 응시 조건을 충족하게 되며,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한 단계를 나타내보겠다.

  • AMC 8 → 상위 단계 없음
  • AMC 10 → AIME → USAJMO → MOP → IMO
  • AMC 12 → AIME → USAMO → MOP → IMO

AMC, 그리고 이어지는 AIME까지는 전세계 학생들이 참여가 가능하나, 이후 USAJMO/USAMO 부터는 미국 대표 선발을 위해 미국 시민권&영주권을 가진 학생들만 응시 가능한점을 주의하자.

왜 STEM 대학들은 AMC 점수를 볼까?

우선적으로 STEM 계열 전공에 지원한다는 것은, 다양한 기본기가 얼마나 되느냐가 중요한 관건인데, 그 기본기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기틀은 수학이다. 이 기반이 되는 수학 심화 문제들을 다른 학생들보다 얼마나 더 능동적으로,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지고 풀 수 있는지는 결국 한 학생이 추후 전공과목 공부뿐만 아니라 본인이 관심있어 하는 주제를 연구함에 있어서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많은 명문대에서 주의 깊게 보게 된다. 또한 학생들이 대학 입학 후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STEM 쪽에 있어 희망하는 연구나 일이 있다면, 수학은 늘 그 기본이 되기에 추후 보여줄 퍼포먼스를 어느 정도 입증하는 장치이기도 하다.

두번째는 실리적인 이유인데, MIT, Cal Tech, Carnegie Mellon등의 최상위권 대학들은 직접적으로 AMC 점수를 물어보는란이 지원서에 기재되어 있으며, 다른 명문대학들도 직접적으로 물어보지는 않더라도 기입을 할 수 있는 있는데, 이는 명문대에 지원하는 학생들이 대부분 가지고 있는 고득점의 SAT/ACT 수학 점수 &  AP 수학 시험 점수보다 더 확실하게 실력 증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언제부터 준비해야 할까?

AMC 대회는 그 규모와 어려움을 자랑하는 만큼 어릴 때부터 준비하는 것이 유리한데, 특히 본인의 자녀가 학년보다 2학년 앞선 선행학습을 준비 중이라면 최소 조건의 하나는 충족된 셈이다 (예를 들어, 8학년 학생이 Pre-Calculus를 공부 중이거나, 7학년 학생이 Algebra 2 / Geometry 공부 중일때). 또한 AMC는 대회 특성상 교과서적인 풀이보다는 푸는 이의 통찰과 직관이 크게 작용하기에, 경험이 있는 전문교사와 함께 문제 풀이 능력을 7-8학년부터 수학의 기본기와 같이 다져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Spontaneous한 AMC의 환경을 단시간에 대응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여러 토픽들의 수학 문제들을 다양한 유형으로 학습하기보다, 오랫동안 낯선 유형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에 집중하여 공부하고 시행착오를 겪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들어 상향 평준화된 수학 실력에 따라 아시안 계열의 학생들이 AMC 8/10/12에서 높은 결과를 받고 있는데, 단순하게 AMC 10 & 12를 통과하는 것뿐만아니라 AIME까지 진출하여 어느 정도 성과까지 낸다면, 대입에 있어 주목을 받는 큰 포인트를 얻게 되겠다.

그레이스 김 대표원장 / 아이앤트 에듀케이션
▶문의:(323)413-2977
www.iantedu.com

아트 ‘Major와 Supplement’ 차이점은 바로 이것

0

미국 대학 입학 과정에서 “아트 메이저(Art Major)“와 “아트 서플리먼트(Art Supplement)“는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다음은 이 둘의 차이에 대한 설명입니다.

아트 메이저(Art Major)

   •   정의: 아트 메이저는 대학 입학 후 전공으로 시각예술(예: 회화, 조각, 그래픽 디자인, 사진, 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대상: 예술을 학문적으로 깊이 배우고, 졸업 후 예술 관련 경력을 쌓으려는 학생들을 위한 전공입니다.

   •   포트폴리오 필요: 예술 관련 학과에 입학을 원한다면, 포트폴리오 제출이 일반적으로 필수입니다. 포트폴리오는 학생의 예술적 기술과 창의성을 보여주는 작품집으로, 입학 심사 과정에서 중요한 평가 요소로 작용합니다.

   •   지원 프로세스: 일반 입학 절차 외에도 예술 전공을 희망하는 경우, 별도의 포트폴리오 제출, 인터뷰, 또는 오디션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   학업 내용: 예술 창작, 이론, 미술사, 디자인 기술 등을 배우며, 특정 매체나 스타일에 대해 전문적인 교육을 받습니다.

▶아트 서플리먼트(Art Supplement)

   •   정의: 아트 서플리먼트는 비예술 전공을 선택했더라도, 지원자가 자신의 예술적 능력을 추가로 보여주기 위해 제출하는 자료입니다.

   •   대상: 아트 전공에 진학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예술적 재능(음악, 미술, 연극 등)을 입학 사정관에게 강조하고 싶은 학생들을 위한 옵션입니다.

   •   목적: 입학 심사에서 추가적인 강점을 보여주기 위한 선택적 자료입니다. 예를 들어, STEM 전공을 희망하지만 미술이나 디자인에도 재능이 있다면, 이를 서플리먼트를 통해 부각할 수 있습니다.

   •   포트폴리오 요구사항: 전공 지원용 포트폴리오보다는 간단한 형태의 작품집을 제출하며, 모든 대학이 이를 요구하거나 평가하지는 않습니다.

   •   학문적 영향: 아트 서플리먼트를 제출한다고 해서 반드시 예술 전공으로 진학할 필요는 없으며, 예술적 재능은 입학 사정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 요약

지원하는 대학의 요구 사항을 반드시 확인한 후, 본인의 학업 및 경력 목표에 맞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엘리 배 원장/ 인아트 스쿨
323-889-9900
www.inarteducation.com

육사 동문과 생도들 만난다…생도·진학 예정자들 한자리에

0

22일 남가주한인학부모회 개최

육군사관학교 남가주 한인 학부모회(WPKPC)가 연말을 맞아 ‘2024년 크리스마스 갈라’를 개최한다.  

행사는 오는 22일 오후 5시 부에나파크에 위치한 로스코요테스컨트리클럽(8888 Los Coyotes Dr.)에서 진행된다.  

이번 갈라는 한 해를 마무리하며 화합과 교류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20여명의 한인 생도를 비롯해 학부모, 졸업생 등과 육군사관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 및 학부모도 갈라에 참석한다.  

올해 갈라에는 지난 1997년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현재 연방수사국(FBI)에서 근무 중인 한인 동문 마이클 손이 초청 연사로 나선다. 그는 사관학교에서 겪은 다채로운 경험을 공유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번 갈라는 생도들의 유니폼 패션쇼, 장기자랑, 게임, 경품 추첨 등 참석자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여러 프로그램이 준비됐고 만찬도 진행될 계획이다.  

WPKPC 관계자는 “한 해 동안 학부모와 학생들이 보여준 노고에 감사를 표하며, 모두가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시간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갈라는 사전 예약이 필요하며 참가비는 100달러다. 생도와 사관학교 진학 희망생은 무료이다.  

▶문의 : (949)535-1558  

김경준 기자

학교 성적 좋은데 SAT점수 낮은 경우 많아…표준시험 중요성 다시 부각

0

학교 성적은 나무랄 데 없이 좋은데 SAT나 ACT 점수가 기대한 만큼 안 나오는 학생들이 적지 않다.  

두말할 필요도 없이 명문대 입시에서 가장 기본이 되고, 중요한 것은 학교 성적이다. 최고의 성적을 유지하면서 표준시험 점수도, 과외활동도, 추천서도 신경 써야 하는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수많은 대학들이 SAT와 ACT 점수 제출을 의무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변경하면서 명문대 입시에서 표준시험 점수의 중요성이 줄어든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지난 1~2년새 하버드, MIT, 스탠퍼드, 예일, 브라운  등10개 남짓한 명문대들이 SAT·ACT 등 표준시험 점수 제출을 다시 의무화하기로 결정, 이들 시험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최근 많은 전문가들이 리서치를 통해 학생들의 성적과 SAT·ACT 점수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해 주목을 받고 있다. ACT가 시행한 한 연구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전국 고교생들의 평균 ACT 점수는 22.51점에서 21.90점으로 하락했다. 만점은 36점이다.  

반면 같은 기간 ACT를 치른 학생들의 평균 GPA는 3.48에서 3.59로 상승했다.  

AP시험과 다른 종류의 표준시험에서도 학생들의 점수와 GPA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많은 경우 학생들의 성적은 뛰어난데 시험점수는 낮은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는 학교성적이 학생들의 아카데믹 퍼포먼스를 정확히 측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어서 우려를 낳고 있다.  

우선 교사에 따라 성적을 매기는 방식이 다르며 학교마다 재학생들의 학력 수준이 차이가 난다. 어떤 학교 또는 교사는 A 학점을 받기가 쉽지만 어떤 학교는 그 반대이다. 칼리지보드와 ACT는 입학 사정 과정에서 대학들에게 성적과 시험점수를 모두 고려할 것을 권한다. 일부 고등교육 전문가들은 성적을 매기는 것과 관련, 고등학교 교사들이 새로운 트레이닝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사가 되는 과정에서 성적을 매기는 것에 대한 교육이 부족했다는 이유 때문이다.  

ACT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인스테이트 공립대에 진학한 공립고 학생들이 대입원서에 기입한 성적과 ACT 점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대학 신입생 때 GPA를 예측하는 데 ACT 점수가 더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칼리지보드는 2024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의 평균 SAT 점수가 1024점이라며 이는 1년 전의 1028점보다 4점 하락한 것이라고 발표했다. 칼리지보드 역시 고등학교 GPA보다는 SAT 점수가 학생들이 대학에서 보여줄 아카데믹 퍼포먼스를 더 정확하게 예측하는 지표라고 강조했다.

한 입시 전문가는 “뛰어난 성적을 보유한 학생들이 SAT 수학에 약한 경우를 많이 경험했다”며 “이는 기본적인 수학 개념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고등학교에서 가장 높은 수학인 AP캘큘러스까지 수강하고, 이 과목에서 A를 받지만 SAT 수학 점수를 올리는 데 애를 먹는다.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알지브라1 다음에 택하는 지오메트리를 1년 동안 온라인으로 들은 학생 중 일부가 SAT 수학에 약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표준시험 점수가 이상적인 지표는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부모 교육수준이나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학생의 표준시험 점수는 높게 나온다.  

그래서 대학들은 성적은 뛰어난데 시험점수가 받쳐주지 못하는 학생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한 연구기관에 따르면 ACT를 치른 학생의 60%는 시험점수와 성적 간 차이가 컸다. 학생들의 성적 중 66%는 그레이드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몇 년 전과 비교해서 SAT와 ACT의 중요성이 커진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입시를 치르는 학생 입장에서 표준시험을 무시할 수 없는 현실이 닥친 것이다. 10개 명문대를 제외한 나머지 대학들이 테스트 옵셔널 정책을 계속 시행한다고는 하지만 점수를 내지 않으면 왠지 불리할 것 같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올 A를 받는다고 SAT나 ACT 점수가 최상급으로 나올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큰 실수다.  

방심하지 말고 넉넉한 시간을 두고, 체계적으로 표준시험을 준비해야 한다.


빈센트 김 카운슬러 / 어드미션 매스터즈
▶문의:(855)466-2783
www.theadmissionmasters.com

교육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