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Blog Page 59

[ASK교육] 표준시험 부활 움직임에 동참한 스탠퍼드

0

▶문= 하버드대와 쌍벽을 이루는 명문 스탠퍼드대가 지원자를 대상으로 SAT, ACT 등 표준시험 점수 제출을 의무화한다고 최근 발표했는데…

▶답= 스탠퍼드대는 지난 7일 지원자를 대상으로  SAT, ACT 시험점수를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표준시험 의무화 정책을 다시 채택한 명문대는 스탠퍼드대, 하버드대, 예일대, 브라운대, MIT, 칼텍, 코넬대, 다트머스 칼리지, 조지타운대 등 9개로 늘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SAT, ACT에 힘이 실리는 형국이다.  

스탠퍼드대는 코넬대와 마찬가지로 2025년 가을학기 입시에서는 표준시험 점수 제출 의무화를 스킵한 후 2026년 가을학기부터 재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스탠퍼드대는 2020년 가을학기부터 표준시험을 선택사항(optional)으로 전환했지만 5년도 채 버티지 못하고 하버드대, 예일대가 먼저 탑승한 차량에 몸을 실었다. 하버드대, 예일대, 브라운대, 다트머스 칼리지, 칼텍은 2025년 가을학기 입시부터 지원자들이 시험점수를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한다. MIT는 2022년, 조지타운대는 2021년 각각 시험점수 제출을 의무화했다. 예일대의 경우 표준시험을 다시 의무화한 다른 명문대와는 달리 SAT, ACT 외에 AP 또는 IB시험 점수를 제출하는 옵션을 제공한다.  

스탠퍼드대도 표준시험 의무화 정책을 재도입한 다른 명문대들과 같은 이유를 댔다. 자체적 연구조사를 실시한 결과 SAT, ACT점수가 대학에서 학생들의 성공 가능성을 정확하게 예측한다는 결론을 얻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입시는 종합평가(holistic review)이기 때문에 시험점수는 고려되는 여러 요소 중 하나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올 들 나타난 일부 명문 사립대의 표준시험 의무화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대학들은 여전히 표준시험 옵셔널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UC와 칼스테이트 대학(CSU)은 입사과정에서 시험점수를 아예 보지 않는 ‘테스트 블라인드’(test- blind) 정책을 영구적으로 도입했고, 프린스턴대, 유펜, 컬럼비아대, 시카고대, 노스웨스턴대, 밴더빌트대, 라이스대 등 대부분 명문 사립대들은 현재 테스트 옵셔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올 들어 SAT, ACT를 의무화하는 명문대가 계속 늘어나자 전국적으로 표준시험 등록생이 크게 증가했다. 오는 8월24일 실시되는 SAT의 경우 아직 등록하지 못한 학생들이 집에서 10마일 이내의 테스트센터를 잡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많은 학생들은 시험을 보기 위해 왕복 100마일 이상 자동차로 이동해야  할 상황에 처했다. SAT와 ACT가 화려하게 부활하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지나 김 대표
▶문의:(855)466-2783

Z세대,부모에 취업 의존…면접도 동행

0

25% “입사 면접 함께 봤다”
70%가 구직 활동 도움 받아
10명 중 1명은 이력서 대필
전문가들 지나친 개입 우려

Z세대(1990년 중.후반~2010년 초 출생) 일부가 취업 활동을 부모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력서 작성 전문 사이트 레주메템플리츠닷컴의 최근 조사 자료에 따르면 Z세대의 70%가 구직을 부모 도움에 의존하고 있으며 심지어 25%는 면접에 부모를 대동하고 있다고 폭스비즈니스가 12일 보도했다.

10명 중 1명은 이력서를 부모가 대신 작성해 주는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응답자 83%는 취업에 부모의 조언이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Z세대들의 이 같은 부모 의존은 각 가정의 생활 및 양육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지난 수년간 팬데믹과 경제 상황 등이 부모의 그림자를 커지게 부채질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구직 활동에 부모가 지나치게 개입하는 것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력서나 자기소개서를 부모가 교정해 주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구직 면접에까지 부모의 역할을 요청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전문 고용주 조직인 인스퍼리티의 초기인재개발담당 질 채프먼 디렉터는 “부모는 자녀와 함께 취업 면접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 부모가 근처 커피숍이나 주차장에서 기다리는 것은 별개이나 채용 면접관과의 면접에 부모가 참석하는 것은 부모의 개입이 과도한 것”이라면서 “부모의 발언으로 자녀에 대한 필요 이상의 정보가 노출돼 오히려 불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인사관리전문업체 피플 매니징 피플의 채용 담당 데이비드 라이스도 “직업을 찾고 직장에 다니는 것은 인생의 중요한 여정으로 자녀가 성인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과정이지 부모가 손을 잡고 도와줘야 할 일이 아니다”고 못 박았다.

이어 “내가 채용 관리자라면 부모와 함께 면접에 온 사람이 도움 없이 일하고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는지, 얼마나 쉽게 실수할 수 있는지 걱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부모가 자녀의 취업 활동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고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들이 있다고 강조했다.

심리치료사이자 저자인 에이미 모린은 “스마트폰 끄기와 같은 기본적인 사회생활 요령은 물론 건강보험과 같은 혜택에 대해 질문하는 방법 등 부모가 자녀들에게 면접 복장과 행동, 어떤 것을 기대해야 할지 등에 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모의 면접을 진행하면서 어려운 질문에 답하는 방법 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 밖에 부모의 취업 경험 등을 자녀와 공유하는 것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낙희 기자 naki@koreadaily.com

USC 미술학 석사과정 가을학기부터 학비 면제

0

 USC가 올 가을학기부터 예술가 지망생들의 학비를 면제한다고 12일 발표했다.  

해당자는 3년 과정의 미술학 석사과정(MFA) 학생들로, 미술 외에 연기와 극작 전공생도 해당한다.  

학교 측은 기부자들의 꾸준한 기부금 외에도 동문 및 지역사회 지도자들로 구성된 이사회의 리더십 덕분에 학비를 면제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학비로 인한 빚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어지게 돼 학교도 재능이 뛰어난 예술가 지망생들을 유입하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USC에 따르면 지난해 연기, 극작 프로그램 석사과정에 지급하는 학비는 5만8234달러다. USC MFA 과정에는 현재 35명의 학생이 등록해 공부하고 있으며, 학생 전원은 그랜트나 장학금 등의 명목으로 학비를 지원받고 있다.

장연화 기자 chang.nicole@koreadaily.com

[JSR] Korean American Youth Artists of Texas (06/13)

0

매주 목요일자 중앙일보 본국판 신문에 게재되는 기사는 www.KoreaDailyUS.com (중앙일보 영어 사이트)에도 동시 게재됩니다.

Newspaper PDF Download


School Lunches in America Vs. Other Countries (by Erin Lee)


Not Much To Do This Summer? Go For A Run! (by James Lim)


Korean American Youth Artists of Texas (by Justin Kim)


Harvard-Westlake’s Multicultural Fair (by Erin Ryu)


Are We Finally Done Yet? (by Reanna Lee)


Guiding Lights: Crucial Role of a Role Model (by Kaylyn Wee)


스탠퍼드대 SAT 점수 제출 의무화

0

2026년 가을학기 지원자부터  
“대학 성공 가능성 예측 지표” 

(사진=Stanford University Website 캡처)

스탠퍼드대가 대학입학자격시험(SAT) 등 표준화 시험 성적 제출을 다시 의무화한다.  

7일 스탠퍼드대는 “2026년 가을학기 입학 지원자들부터 SAT·ACT 등 표준화 시험 성적을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스탠퍼드대는 2020년 입학전형에서 점수 제출을 선택 사항으로 바꿨다.  

코로나19 팬데믹 때 표준화 시험 성적 제출을 선택 사항으로 바꿨다가 다시 의무화한 다른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스탠퍼드 역시 “시험 점수가 학생들의 대학 성적과 졸업 가능성, 졸업 후 성공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인용했다. 앞서 다트머스와 예일, 브라운과 하버드·MIT 등 대학이 표준화 시험 성적 제출을 다시 의무화한다고 밝힌 바 있다.  

윤지혜 기자

고교 졸업생, 대학 입학까지 알찬 계획 세우기

0

이제 막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대학 입학을 앞두고 자신만의 계획을 세워볼 좋은 기회로 여름방학을 보내면 좋겠다. 입시의 긴장감을 풀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좋아하는 취미 활동을 하거나 여가 시간을 즐기며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모두 챙기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그동안 입시 준비로 인해 자기 계발에 소홀했던 시간을 잘 활용하여 대학 입학 전까지 알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여행을 계획하든 배우는 것에 집중하든 새로운 시작을 하기 위한 마침표를 잘 찍을 시기이며 어떤 것들을 염두에 두어야 할지 알아보자.

1. 자기 계발 계획 세우기

대학 입학 전에 전공을 바꿀 계획이 있는 학생들은 미리 전공에 관련된 수업을 듣거나  혹은 컴퓨터 코딩을 배운다든지 등 자신이 필요한 혹은 부족한 과목들을 미리 배워서 준비하는 것이 현명하겠고 전공이 불확정한 학생이나 이미 전공이 정해진 학생 모두에게 아카데믹에 대한 계획은 중요하다.  

2. 여행 및 경험 쌓기

대부분 고등학교를 졸업한 한인 학생들은 여름방학을 맞아 한국을 여행하는 학생들이 많다. 모국을 방문하고 친지들을 만나는 것도 좋은 계획이지만 다른 나라에 여행을 계획하는 것도 새로운 환경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경험을 쌓는 것은 대학 생활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여행을 통하여 얻은 경험은 자기소개서나 면접에서 좋은 이야깃거리가 될 수 있으며 신입생들이 친구를 사귀는데도 좋은 대화거리가 되어 어색함을 떨칠 수 있다.

3. 대학 생활 준비

입학할 대학의 선배가 있다면 조언을 받아서 대학에 대하여 미리 알아보는 것도 중요하다. 학과 커리큘럼, 교수진, 동아리 활동 등을 미리 파악하고 자신이 참여하고 싶은 활동에 대하여 의논해 볼 수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대학 생활에 필요한 물품들을 미리 준비하는 것도 좋겠다. 어떤 기숙사에 따라선 필요한 것이 더 많을 수 있고 함께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이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 있었다.

4. 학업 리소스

기숙사 생활이 시작되면 부모를 떠나서 모든 것을 혼자 결정하고 이행하는 것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신입생들이 들어야 하는 과목 선정이나 전공 또는 학위 요건에 관련된 상담이 필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카데믹에 관련 상담뿐만 아니라 정신적 심리 상담 등 다양한 고민거리들을 기숙사에 배치된 카운슬러들을 통해 상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신 건강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알아 두면 도움이 될 것이다.  

5. 온라인 학습 플랫폼

Blackboard나 Canvas와 같은 대학의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LMS)에 익숙해져야 한다. 이런 플랫폼을 통하여 수업 자료에 접근하고 과제를 제출하고 교수와 급우와 소통하는 데 필수적이다.

6. 인턴십 프로그램

여름방학 인턴십은 매우 중요하며 신입생 첫 여름 인턴십부터 좋은 경험으로 인해 다음 해 더 좋은 인턴십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첫해 여름 인턴십 준비를 겨울방학부터 준비해야 한다. 많은 대학에서 지역 기업 및 조직과 협력하여 학생들에게 인턴십의 기회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동문 네트워크, 인맥, 교수 추천 등을 잘 활용하여야 한다.  

7. 금융 관리

대학 생활의 재정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용돈이나 아르바이트 수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출 계획을 세우고 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 등을 미리 파악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수 변 원장 / 보스턴 에듀케이션
▶문의:(323)933-0909
www.Thebostoneducation.com

갈수록 경쟁 치열한 아이비리그 입학…불합격 이유는

0

아이비리그 예일대 역사상 올 가을학기 입시는 가장 경쟁이 치열했다.  

지난 3월 28일 ‘아이비리그 데이’에 1365명의 학생이 예일대에 신입생으로 합격했고, 합격률은 역사상 최저치인 3.73%를 기록했다. 지난해의 4.35%보다 하락한 수치다.  

전국에서 예일대에 원서를 넣은 학생들과 주위 사람들은 예일대의 결과 발표와 더불어 충격을 받았다. 매우 재능이 뛰어나고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은 학생들이 불합격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고등학교에서 이름을 날렸던 선배들이 고배를 마신 것을 보면서 11학년 및 10학년 학생들은 사기가 떨어지기도 한다. 아무리 스펙이 뛰어나도 합격하지 못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훌륭한 지원자들이 아이비리그 대학에 붙지 못하는 이유는 대략 3가지가 있다.  

첫째,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아이비리그 입시가 능력 위주가 아니라는 점이다.

탑 대학이 최고의 능력을 가진 학생만 뽑는다는 미신을 버려야 한다. 학업 능력이 우수하거나 과외활동의 성취가 높은 것 외에 다른 요소로 아이비리그에 합격한 학생들의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자료가 적지 않다.  

레거시 제도를 철폐해야 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는데도 불구하고 엘리트 대학 중 실제로 레거시를 폐지한 곳은 극소수다. 예일대의 2023년 가을학기 신입생 중 11%는 레거시와 관련이 있었다. 3년 전의 8%보다 3%포인트 늘었다.  

같은 시기 하버드대 신입생 가운데 약 3분의 1은 일종의 레거시 커넥션을 가지고 있었다. 2023년 연구조사에 따르면 레거시 학생들은 아이비리그와 다른 탑 대학에 합격할 확률이 비레거시 학생보다 약 4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훌륭한 자격을 갖춘 지원자가 비슷한 스펙을 갖춘 레거시 학생과 경쟁한다면 비레거시 학생은 고배를 마실 것이다. 이 경우 원서의 내용과 다른 이유로 불합격되는 것이다.  

둘째, 열정에 기반한 강력한 스토리가 없다면 최고의 성적만으론 깊은 인상을 주기 어렵다. 아이비리그 입시에서 최고의 성적과 표준시험 점수는 거의 기본이라고 봐야 한다.  

그러나 성적과 점수는 탑 대학이 찾는 ‘유일한’ 요소가 아니다.  

아이비리그 대학들은 매년 수천, 수만 개의 원서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예를 들어 하버드대는 각 지원자가 가진 배경과 경험의 모든 면을 폭넓게 심사한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탑 대학에 접수되는 원서가 5만개를 넘는 상황에서 어떻게 개인에 초점을 맞춰 일일이 원서를 심사할 수 있을지 많은 사람들은 합리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이런 상황에서 입학 사정관의 눈길을 사로잡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지원자가 주도해서 열정을 가지고 이뤄낸 스토리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연성이 있고 강력한 서사 말이다. 학생들은 GPA와 표준시험 점수를 최고로 유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과외활동과 수업 선택에도 신경 써야 한다. 자신의 핵심적인 관심을 반영하도록 해야 한다. 원서를 쓸 때가 다가오면 학생들은 대학 캠퍼스에서 생활할 학생의 모습을 원서에 그려내야 한다. 자신이 해온 과외활동의 리스트, 추천서, 에세이 등을 통해서 연결되는 이야기를 써야 한다. 학업적으로 경쟁력을 갖추었으나 자신이 대학 캠퍼스에 가져올 독특한 가치를 증명할 수 없는 학생이라면, 탑 대학의 입시에서 탈락할 수 있다.  

셋째, 좁은 시각을 가지면 성공하기 어렵다.  

탑 대학에 지원하는 학생들은 자신의 드림스쿨을 오로지 아이비리그 및 아이비 플러스 대학으로 정하고, 모든 시간과 에너지를 이들 대학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많다. 지원할 대학 리스트도 거의 이들 대학으로 채운 다음 탑 대학의 입시에 더 인상적으로 보일 것이라고 스스로 가정한 과외활동에만 포커스를 맞춘다. 자신이 실제로 즐기는 활동 대신 말이다.  

그러나 탑 대학 입학사정관들은 진짜 자신의 모습이 아닌 레주메로 점철된 원서를 가려내는데 탁월하다. 학생이 정말 자신의 관심을 추구해온 것이 아니라면 원서에 드러난다.  

학생들은 구체적인 관심사를 통해 무엇이 자신을 특별하고 독특하게 만들어왔는지 원서를 통해 보여줘야 한다.  

빈센트 김 카운슬러 / 어드미션 매스터즈
▶문의:(855)466-2783
www.theadmissionmasters.com

해외 유학의 진짜 효과…창의적인 사고 키워져 ‘성공’

0

미국도 많은 학생이 더 넓은 세상을 경험하기 위해 해외 유학을 떠난다. 그런데 이들이 사용하는 큰 유학 비용을 해외 유학이 가치 있는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발표됐다.  

최근 발표된 몇 건의 연구 결과는 이러한 질문에 긍정적이다. 연구는 타국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매우 복잡하고 유연하며 창의적인 사고에 능하며 그 결과 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둘 가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프랑스 인시아드 경영대학원의 윌리엄 매덕스 교수는 MBA 프로그램에 재학 중인 해외 유학생을 대상으로 타국에서의 유학생활이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에서 매덕스 교수는 다문화 활동에 더욱 활발하게 참여하는 유학생일수록 복잡한 정보를 종합하는 사고력에서 더욱 두각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다시 말해서 외국 문화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지닌 유학생이 개별 생각을 더욱 능숙하게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매덕스 교수는 다양하게 국제 경험을 쌓은 학생이 상대적으로 더 뛰어난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성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우수한 능력이 졸업 후 인생에도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밝혔다. 또 그는 이들이 다른 일반 학생들에 비해 MBA 프로그램 졸업 후 훨씬 많은 숫자의 기업체로부터 일자리 제의를 받고 있으며 더욱 활발하게 창업 활동을 준비하고 일터에서도 빠른 속도로 승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싱가포르 경영대학의 안젤라 룽 교수 역시 매덕스 교수와 비슷한 결론을 내렸다. 룽 교수는 해외 거주의 심리적 효과를 분석한 연구에서 해외 거주 경험이 있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보다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여러 가지 개념을 연결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보고했다. 그는 다만 이러한 능력이 해외에서 거주했다는 사실만으로 저절로 배양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또 그는 오히려 이러한 능력은 이질적인 타국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부산물에 가깝다며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앞선 두 연구 결과가 이미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하는 학생들이기 때문에 해외 유학을 떠났을 수도 있다는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의문을 가진 플로리다 대학의 데이비드 교수는 세 그룹의 학생 집단을 조직하고 이들의 창의력을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는 첫 번째 그룹은 실제로 해외 유학을 경험한 사람으로, 두번째는 유학할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아직 다녀오지 않은 사람으로, 마지막 그룹은 유학할 계획을 세우지도 않고 유학을 다녀온 적도 없는 사람으로 채웠다. 그리고 이 세 그룹의 창의력을 측정한 결과, 첫 번째 그룹이 다른 두 그룹 보다 훨씬 나은 결과를 낸 사실을 발견했다. 유학의 효용이 실제로 증명된 것이다. 외래 문화를 기꺼이 배우고 수용하려는 자세를 견지하는 한 타국에서의 유학이나 해외 근무 경험은 당신의 사고력을 배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장병희 기자

뉴욕주 리전트<고교 졸업자격 시험> 시험 폐지 가능성

0

주 교육국, 졸업 요건 수정 권장사항 발표
“21세기에 맞는 다양한 역량 키울 수 있도록”

뉴욕주 고교 졸업자격 시험인 리전트 시험이 졸업 요건에서 폐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10일 주 교육국(NYSED)은 뉴욕주 고등학교 졸업 요건 수정 권장사항 4가지를 제시했다.  

먼저 리전트 시험을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권고안이 제시됐다. 본래 뉴욕주 고등학생은 영어·수학·과학 등 총 5과목에서 65점 이상을 받아야 고등학교 졸업 자격이 부여되며, 교육국은 팬데믹 기간 리전트 시험을 중단하기도 했다. 주 교육국은 “리전트 시험이 아닌 다른 여러 가지 척도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수준을 평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외에도 ▶학생이 지역사회 봉사, 공연 또는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문해력과 사회·정서적 역량, 의사소통 역량, 문제 해결 역량 등을 입증하는 안 ▶고등학교 학점을 시간 기반이 아닌 숙련도에 따라 주는 안 ▶지역 졸업장을 없애고 고등학교 졸업장을 학군 인장이 찍힌 하나의 졸업장으로 통합하는 안 등이 제시됐다.

주 교육국은 “고등학생들이 21세기에 맞는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졸업장을 취득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권고안은 올 가을까지 공청회를 거칠 예정이다.

윤지혜 기자

‘엄마의 마음’ 장학금 준다…10명에 1인당 1000달러

0

[Los Angeles] 수정 2024.06.09 19:29

한 부모 가정 자녀 우대
내달 6일까지 신청 접수

지난 1일 UBM 교회에서 열린 후원의 밤 행사 직후 엄마의 마음 장학회 관계자, 후원자들이 함께 자리했다. [장학회 제공]

엄마의 마음 장학회(이하 장학회, 대표 김명숙)가 장학생을 선발한다.

장학회는 올해 10번째 장학금을 수여한다. 지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9년 동안 108명의 학생에게 약 1000달러씩, 총 11만1000달러를 지급한 장학회는 올해도 약 10명의 장학생을 선정할 예정이다.

현재 대학 또는 대학원 풀타임 재학생이거나 입학 허가를 받은 미국 거주 학생은 누구나 장학금을 신청할 수 있다. 박사 과정 학생은 응모할 수 없다.

장학금은 ▶한 부모 자녀 장학금 ▶선교사 자녀 장학금 ▶목회자 자녀 장학금 ▶신학생 장학금 ▶일반 장학금 등 4종류다. 김명숙 대표는 “장학생을 선정할 때, 되도록 한 부모 가정 자녀에게 우선권을 주려고 한다”고 말했다.

제출 서류는 장학금 신청서, 재정 확인서, 에세이, 추천서, 성적 증명서, 세금보고 서류 등이다. 신청 서류는 장학회 홈페이지( mmhsf.org)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신청 서류는 우편(P.O. Box 6214, Buena Park, CA, 90622)으로만 접수한다. 신청 마감일은 내달 6일이다. 마감일 당일 우체국 소인이 찍힌 신청서도 유효하다.

장학회 측은 올해도 장학금 수여식은 따로 열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장학금을 받는 학생은 감사 편지를 보내면 된다”고 말했다.

자세한 문의는 전화(714-402-6482) 또는 이메일(info@mmhsf.org)로 하면 된다.

장학회는 지난 1일 풀러턴의 UBM 교회에서 기도 후원의 밤 행사를 가졌다. 이 행사엔 2019년 장학생 김민휘씨가 초청 연사로 나와 장학금을 받은 이후 변화와 성장을 이룬 경험을 공유했다.

임상환 기자

교육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