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Blog Page 62

[7일 마감] 중앙 Python with DS Project 여름캠프 모집…DS 인턴 기회 제공

0

현재 7학년 이상 전미주 학생
파이선 강의, 데이터 분석 실습
중급 이상 실력 보유 학생 대상
접수 시작, 선착순 마감

중앙일보와 데이터 분석 전문 비영리 단체인 소다비 (SoDAVi,  sodavi.org, 회장 김선호 USC 교수)와 공동 진행하는 ‘제3회 Python with Data Science Project’ 여름방학 캠프를 오는 6월 11일부터 총 7주 동안 온라인으로 개최합니다.

여름방학 캠프는 한인 2세와 한인 언론사 간 공조 프로젝트로 커뮤니티 내 이슈를 선정, 파이썬 코딩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결과물을 한인 커뮤니티 발전에 활용하는 한인 언론사 최초 프로젝트입니다.

USC 김선호 교수

이번 캠프 주요 프로그램은
▶섹션 ①: Python 코딩 심화 과정 (2주)
▶섹션 ②: Python with Data Science Project 과정 (4주)
▶ Meet the Leaders 초청 강연으로 구성했습니다.

파이썬 심화 강의는 USC 출신 전문 강사가 담당하고 데이터 사이언스 프로젝트는 소다비 회원인 데이터 분석 전문가가 멘토 역할을 담당해 결과물을 도출하게 됩니다. (▶2023년 프로젝트 결과물 보기)

모든 참가자에게는 중앙일보와 소다비 명의의 수료증이 발급되며, 과정 이수 우수 학생을 선발해 중앙일보 데이터 분석 인턴기자 및 소다비 예비회원 자격을 부여합니다. (▶2023년 인턴기자 프로젝트 결과물 보기)

모집 대상은 전 미주 7학년(현재 학년) 이상 프로그래밍 언어 경험자로 파이썬(Python) 중급 수준 실력을 보유한 학생입니다. KD Python with DS 초급과정 이수 학생, 중앙일보 학생기자(JSR) 프로그램 참가 학생은 참가비 할인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니 참가 신청 전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 온라인 접수: https://bit.ly/2024KDPython

▶ 기간: 6월11일 ~ 7월 25일 (총 35시간)
▶ 참가 대상: 전 미주 7학년 이상 학생 (현재 학년 기준)

  • 프로그래밍 언어 경험자로 파이썬 중급 이상 실력 학생

※ This course provides Python programming skills for data science through team project. It is for the students who already have a basic understanding of Python programming language. Students are expected to know core programming concepts like data structures, conditionals, loops, variables, functions, and file I/O in Python. If you know Python but are not quite comfortable with the above concept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finish one of the courses in the list (www.freecodecamp.org/news/learn-python-free-python-courses-for-beginners/) before joining this course.

▶ 참가비: 800달러 (중앙일보 학생기자 50불 할인, Python with DS 초급과정 이수자 100불 할인)
▶ 주최: 중앙일보, SoDAVi
▶ 문의: 중앙일보 교육연구소 (213) 368-2577

[방학특집] K~12 학년별 여름방학 계획 가이드

0

K~5학년, 가족여행·서머캠프와 학습 병행
중학생은 독서 많이 해야 고교 수업에 도움
12학년, 전공 관련 서머캠프·인턴십 중요

긴 여름방학은 여행, 서머캠프 등을 통해 다양한 경험뿐만 아니라 관심과 열정이 있는 분야를 깊게 탐구할 수 있는 기회다.

곧 여름방학이 시작된다. 2~3개월 동안 긴 여름방학 계획을 잘 세우면 자녀들이 좋아하는 일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더욱 깊어지고 부족한 학습도 보충할 수 있다. 여름방학이 자녀의 재충전과 성장의 기회가 되도록 학년별 여름방학에 할 일을 소개한다.  

K~5학년

초등학교 여름방학은 가족 여행, 자연 속 야외활동, 박물관 방문, 다양한 스포츠 활동, 서머캠프 등 다양하고 재미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좋아하는 액티비티를 찾으면서 2~3개월 동안 학습도 꾸준히 병행해야 한다. 여름방학에 독서와 수학을 공부하지 않으면 읽기 및 수학 학습 능력이 손실된다. 여름방학 동안 학업 능력 상실은 향후 고등학교에 진학해 학생 간 학업 성취 격차를 초래하는 원인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은 생활 속에서 영어 단어를 익히고 수학 개념도 이해하면 효과적이다. 만화책이나 그래픽 소설 등 재미있는 독서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지도에서 도시나 명소 이름을 찾도록 하거나 운전할 때 우회도로, 속도 제한 등 일반적인 단어를 얘기하는 등 교과서에 없는 다양한 생활 단어를 접하도록 한다. 마켓에서 물건 사기, 가족여행 예산 세우기 등으로 수학을 현실 세계에 적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초등학교 때부터 타임 매니지먼트를 위한 좋은 습관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긴 방학동안 계획을 세워 타임 매니지먼트 습관을 들이는 기회로 삼아도 좋다. 고등학교에서 학습과 과외활동, 클럽 등으로 바쁠 때 혼자 시간 관리를 잘할 수 있는 초석이 된다.  

지난해 학교 활동과 방과 후 활동을 함께 검토하고 좀 더 시간을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이야기해본다. 또 학교 스포츠팀 등록일, 시험일, 학교 행사일 등 부모가 아닌 아이 주도로 연간 스케줄을 한 번 검토해보는 것도 좋다.  

지난해 성적을 살펴보고 부족한 과목은 반드시 보충한다. 다음 학년을 준비하는 영어, 수학 학습지를 풀어보는 것도 학습 손실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다.  

새 학기 학용품은 학교에서 목록을 제공하면 개학 때까지 미루지 말고 세일할 때마다 미리 사둔다.  

6~8학년

중학교 여름방학 동안 어려운 과목 공부를 보충하고 독서를 최대한 많이 해두면 향후 고등학교 수업에 큰 도움이 된다.  

클럽, 봉사, 서머캠프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학교 교과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다양한 관심 분야를 탐구할 기회를 제공한다. 또 고등학교에서 학교 클럽, 커뮤니티 봉사, 스포츠, 악기, 서머캠프, 인턴십 등을 선택할 때 중요한 기반이 된다.  

중학생을 위한 서머캠프는 관심, 열정을 탐구할 좋은 기회다. 서머캠프 비용은 수백 달러부터 수천 달러까지 다양하다. 일부 프로그램은 재정지원을 하기도 한다. 비용, 기간 등 캠프마다 다르므로 충분히 프로그램을 파악해야 한다.  

포브스가 추천하는 중학교 서머프로그램은 라이징 리서처스(Rising Researchers), 인터미디에이트 마린 사이언스 캠프 프로그램(Intermediate Marine Science Camp Program), 트래블링 플레이어스(Traveling Players), 스쿨 오브 더 아트 인스티튜트 오브 시카고(SAIC), 존스홉킨스 CTY, 에모리대학교 미들스쿨 서머 디베이트 워크숍(Emory University: Middle School Summer Debate Workshops), MSM 스템 아카데미(Morehouse School of Medicine), 서머 디스커버리(Summer Discovery) 등이다.

▶9~12학년  

고등학교 진학을 앞둔 여름방학부터 대입 지원하는 시니어 전까지 학년별 여름방학을 최대한 잘 활용해야 한다. 9학년부터 대학지원서에 성적이 들어가고 일부 고등학교는 AP 수업도 시작돼 공부가 어려워지기 시작한다.

고등학교 진학을 앞두고 학교에서 공지하는 오리엔테이션, 수업 등록 날짜, 교과서 배부 날짜 등 주요 일정을 잘 기록해둔다.  

고등학교 4년 로드맵을 미리 짜보는 것도 좋다. 진학하는 고등학교가 요구하는 졸업 학점, 필수 이수 과목, 어떤 수업을 들을지, 몇 개 AP 수업, 아너 과목을 들을지, 학년 별 로드맵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보는 것이 좋다. 이렇게 고등학교 4년 로드맵을 짜두면 9학년 클래스 등록뿐만 아니라 학년마다 전략적으로 대입 지원을 위한 수업을 신청할 수 있다.

대부분 고등학교에서 레귤러보다 아너나 AP 과목에 가산점을 부여하므로 가능한 높은 GPA를 받을 수 있도록 수업을 선택한다.  

9학년부터 고등학교 내내 과외활동, 수상내역, 봉사활동, 클럽 활동, 리더십 등을 바로 다 기록해 레주메를 작성해 두면 대입지원서 작성 때 큰 도움이 된다.  

고등학생들이 성공적인 한 해를 준비할 수 있도록 여름방학 동안 다음 학년을 위한 체크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9학년(Freshmen)= 고등학교는 영어, 히스토리 등 3~5페이지 에세이 작성을 요구하는 과목이 많다. 9학년을 앞둔 여름방학 동안 영어 수업 필독서 혹은 관심 있는 책을 매일 50페이지 이상 책을 읽는 것을 추천한다. 스템(STEM) 쪽 과목은 9학년에 배울 교과서를 찾아보고 예습을 해두는 것도 좋다.  

학교에서 참여하고 싶은 클럽과 활동을 정리해두는 것도 좋다. 진학하는 고등학교 웹사이트에 제공되는 클럽과 활동을 미리 확인해둔다. 중학교부터 해온 과외활동 연관 봉사활동, 대회, 운동 중 고등학교 4년 동안 집중할 수 있는 과외활동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특히 고등학교 스포츠팀에 들어가려면 여름방학 때 트라이아웃을 준비해야 한다.  

◇10학년(Sophomores)= 10학년 성적이 진짜 실력이라는 말이 있다. 많은 고등학교가 10학년부터 AP 과목이 시작되므로 여름방학 때 미리 예습해 두는 것이 좋다. 또 지원 대학 리스트도 작성해두면 10학년 수업 선택과 학교 클럽, 과외활동 등을 구체적으로 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관심 있는 분야의 프로그램이 뛰어난 대학 리스트, 서머캠프 프로그램을 미리 조사해 두는 것도 좋다. 사는 인근 지역에 관심 있는 대학교가 있다면 캠퍼스를 방문해 두면 나중에 칼리지 투어 때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11학년(Juniors)= 주니어는 대학 입학을 앞두고 가장 중요한 시기다. AP 수업이 늘어나고 SAT나 ACT 등 스탠더드 테스트를 준비하고 시험을 치러야 한다. AP 수업을 듣는다면 봄에 AP 시험에 집중할 수 있도록 가능하면 8~12월에 SAT나 ACT 테스트를 마치는 것이 좋다. 또 주니어가 시작되자마자 가을에 내셔널메리트 장학금을 주는 PSAT 시험이 있으므로 방학 동안 SAT를 충실히 준비하도록 한다.  

11학년 때 바쁘므로 지원할 대학 관련 행사와 칼리지 페어 등에 참석해 대학과 전공에 대해 정보를 모아둔다. 지원할 대학교의 메일링 리스트에 조인하거나 소셜네트워크(SNS)를 팔로워 하며 학교에 관심을 표하는 것도 좋다.

◇12학년(Seniors)= 12학년을 앞둔 여름방학 활동은 대학 입학 심사에서 눈여겨본다. 관심 분야나 지원하는 전공 관련 서머캠프를 가거나 파트타임을 하거나 인턴십을 하는 등 알차게 보내야 한다.  

사립학교 지원서인 커먼 앱은 공식적으로 8월 1일 열린다. 지원할 대학의 에세이를 미리 살펴보고 메인 에세이는 되도록 여름방학에 마치도록 한다. 12학년에 AP 수업이 늘어나므로 GPA를 끝까지 잘 유지하기 위해 어려운 과목은 미리 예습을 해두는 것이 좋다.

[방학특집] 명문대 입시 필수조건, 특별활동의 모든 것

0

처음부터 나만의 스토리 생각하고 시작해야

대학은 독립적 기회 만드는 잠재력 파악 원해
자기중심·커뮤니티 활동이 조화를 이루게 해야

특별활동은 대학 입학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처음부터 나만의 스토리를 생각하고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태권도를 배우는 학생들. 김상진 기자

특별활동(Extracurricula)은 학생 개인적 성장과 혜택을 제공함과 동시에 대학 합격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대학 입시기준은 더 이상 GPA나 시험 점수와 같은 학업적 성취도에만 비중을 두지 않는다.

주변 커뮤니티와의 교류, 성장 발자취와 이력 등을 통해 대학이 지향하는 목표에 충분히 유의미한 기여를 할 수 있는 인재인지를 평가한다. 다시 말해 대학은 지원자가 대학 캠퍼스 생활과 커리큘럼 발전에 기여를 할 수 있는지, 짜인 커리큘럼 밖에서 독립적인 학습동기, 포부, 자질이 있는지, 그리고 그 학습을 통해 무엇을 이루고 싶어 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확인한다.

▶특별활동이란

정규 교육과정 외에 추가로 이루어지는 활동을 특별활동이라고 한다. 특별활동은 나의 헌신, 사회적 기술 또는 주도성을 요구하고 나의 우선순위 분배와 시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이 강조될 때 입시에서 더 큰 가치를 지니게 된다.

대표적으로 학교 클럽, 디베이트, 스포츠, 오케스트라 활동 등을 떠올리지만, 특별활동은 매우 광범위하게 정의된다. 개인적인 취미활동 또는 아르바이트도 전체적인 입시 맥락에서 나의 배경에 따라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여름방학 대학 수업 이수, 인턴십, 각종 경시대회 준비 및 해외 유학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대학 입학사정관(특히 명문대)은 학교 밖에서 지원자가 얼마나 주도적, 그리고 계획적으로 관심분야를 개발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특별활동들의 연속성과 깊이를 눈여겨본다. 독립적으로 자신만의 기회를 만들어 내는 잠재능력까지도 보기를 원한다.

그러므로 지원하고자 하는 전공과 연결이 되며 깊이 있는 특별활동 이력을 쌓아 나만의 고유한 ‘hook’이 있는 스토리가 어떻게 만들어질지를 염두에 두고 특별활동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학 지원서에 서술하게 될 특별활동들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대입 계획을 설립할 필요가 있다.

하나는 자기 중심적 활동이고 하나는 주변 커뮤니티가 중심적 활동이다.

목표 대학 입학사정 기준과 희망 전공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의 특별활동을 균형 있게 쌓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먼저 알아두자.

▶자기중심·커뮤니티 중심 활동

레주메와 입시 스토리를 지원 대학에 맞도록 구상하기 위해서는 그에 필요한 균형 잡힌 업적들과 자신만의 해석을 녹인 인사이트가 필요하다.

자기중심적 특별활동은 한 분야 안에서 심층 있고 동급생들에 비해 더 난이도가 높은 기술 또는 교과과정을 이수 및 취득해 나의 학문적 발전에 중심을 두는 활동들을 가리킨다.

반면, 커뮤니티 중심적 특별활동은 창의적으로 자신의 재능과 자원을 활용해 나의 성장뿐만이 아니라 자신이 속한 여러 커뮤니티의 발전과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것에 중심을 두는 활동을 가리킨다.

앞서 서술했듯이, 두 가지 유형의 활동들을 나의 배경과 목표에 맞도록 균형 있게 이루어내는 것이 핵심이며 한쪽으로만 치우쳐지는 것을 막기 위해 조기 계획이 필요하다.

특별활동의 선택은 중요하다. 이상적으로는 많은 사람이 가지 않은 활동을 발굴해 수행하는 새로운 길을 개척해 볼 것을 조언한다. 명문 대학들은 지원자가 실제 생활에 적용 가능한 기술과 이론들을 배우고 개인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의도한 전공 분야를 뛰어넘길 기대한다. 내 주변에 변화를 만들었는지, 실패한 경험으로부터 발전을 했는지, 자신의 컴포트 존(Comfort Zone)을 벗어났는지, 또는 지역사회 봉사에 대한 열정적인 헌신을 보여주었는지 등을 확인하고 싶어한다.

예를 들어, 화학을 전공하고 싶다면 화학 클럽에 가입 또는 창설을 하고, 로컬 대학에서 화학 과목을 추가로 수강하고, 연구소에서 봉사 또는 인턴 활동을 한다면 내 개인적인 학업적 역량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재능을 미래에 어떻게 활용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모습도 비추어줄 수 있으므로 명문 대학에서 원하는 인재상으로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다.

명문대에서 법학 예비 과정(Pre-Law Track)을 밟고 싶다면 법률 리서치 프로젝트와 글쓰기, 법률 사무소나 법률 클리닉에서 인턴십을 통해 특화된 특별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다음 단계로 나아갈 때 필요한 준비성과 동기를 부여하는 실무 기술과 경험을 쌓는 활동으로 나만의 특별활동 레주메를 구상하는 방법이 또 다른 예이다.

많은 것을 성취해야 하는 것처럼 들릴 수 있지만, 특별활동은 다각적 입시 과정에서 강력한 원서와 명문대가 요구하는 인상적인 프로필을 개발하는 데 필수이다. 실제로 아이비리그를 포함한 일부 명문 대학에서는 특별활동과 리더십 경험이 GPA 및 SAT 점수와 같은 다른 주요 입학 기준과 동일한 큰 비중을 차지하기도 한다.

더불어 대부분 우수 학교의 입학사정관은 내가 처한 환경에서 필수적인 활동(아르바이트 또는 부모님을 대신해 가사 도움)을 성실히 이행하는 학생의 가치를 존중하는 경향도 있음을 참고하자.

명문대를 포함한 많은 대학들은 지원자가 한 가지 열정에만 한정되거나 학업적 심화에만 관심을 두는 것을 원치 않는다.

예를 들어, 과학에 깊은 관심이 있는 동시에 영화 제작 및 감상을 좋아한다면 각본, 연출, 국제 영화 경연대회, 환경 과학 기금 마련을 위한 나만의 창의적인 프로젝트를 구상해 볼 수 있다. ‘나’라는 사람을 입체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활동 또한 큰 가치가 있는 활동으로 대학은 평가한다.  

대학 입학사정관은 지원자가 이룬 특별활동을 의미 있는 개인적 성장과 전문 능력 구축의 관점에서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마지막으로 특별활동을 결정할 때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지침을 소개한다.

◇지속성=테마 간의 연결고리가 없는 여러 가지 활동들을 산발적으로 시작하고 쉽게 그만두는 대신, 한 가지 유형의 활동을 고수하도록 하자.

◇열정=단순히 대학 진학을 위해 특별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진심으로 관심을 가지고 추구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관심도에 따른 결과물을 토대로 나의 동기, 포부 또는 캐릭터가 반영되고 드러나기 때문이다.

◇리더십 및 주도성=활동과 커뮤니티 내에서 리더의 자질을 계발하자. 다른 리더, 공동 리더 및 구성원들과 함께 일하는 참여자로서 능동적으로 활동을 하도록 하자.

▶문의:(323)413-2977, www.iantedu.com

그레이스 김 대표원장 / 아이앤트 에듀케이션

11세에 어바인밸리칼리지 졸업…어테나 엘링, 최연소 기록 수립

0
어테나 엘링

11세 소녀 어테나 엘링(샌후안캐피스트라노·사진)이 23일 어바인밸리칼리지 사상 최연소 졸업 기록을 수립했다. 이날 11세 6개월에 졸업한 엘링은 지난해 오빠 타이코가 세운 기록을 갈아치웠다. 타이코는 지난해 12세가 되기 불과 1주일 전 어바인밸리칼리지를 졸업했다. 엘링은 “오빠를 이겨 기분이 좋다”고 말했다.

어테나와 타이코는 모두 우등생으로 졸업했다. 남매는 온라인 차터 스쿨을 거쳐 대학에 진학했다.

남매의 어머니 크리스티나 차우는 고등학교 화학 교사 출신이며 현재 동화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차우는 어릴 적부터 공부를 잘한 남매를 위해 홈 스쿨링을 시도했다가 포기하고 온라인 차터 스쿨을 선택했다고 밝혔다.

타이코는 현재 UC어바인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있다. 리버럴 아츠 준학사 학위를 받은 어테나는 어바인밸리칼리지에서 음악 또는 심리학 분야 학위를 취득할 계획이다.

국적·병역 설명회 입장 차이만 확인

0

한국정부 “법, 어쩔 수 없어”
한인들 “이탈·연기 어려워”

“미국에서 태어난 선천적 복수국적자로, 만 18세가 되는 해에 국적이탈 신고 기간을 놓친 한인 남성이 있습니다. 병역 문제 때문에 한국에 방문하려면 한국 병무청을 통해 국외여행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문제는 한국 정부에 출생신고부터 해야 한다는 점인데, 부모가 이혼해 출생신고조차 어렵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김광석 뉴욕한인회장)  

“가족관계등록은 법원행정처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합니다. 가족관계등록법에 의해 법적 근거가 되는 출생신고 기록은 있어야 합니다.”(이은영 재외동포청 행정사무관)

22일 주뉴욕총영사관이 재외동포청과 함께 뉴욕 일원 한인들을 대상으로 ‘국적·병역설명회’를 개최했다. 한인들은 미국에서 태어난 ‘선천적 복수국적자’가 국적을 이탈하고, 국적이탈 기한을 놓치면 병역을 연기하거나 예외적 국적이탈을 하는 절차가 너무 어렵다고 토로했지만, 한국정부 측에서는 ‘정해진 법’이기 때문에 따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었다.

이날 재외동포청·법무부·병무청 등 한국 관계부처 사무관들은 ▶선천적 복수국적자 정의 ▶국적이탈 신고 기한 ▶국외여행허가를 통한 병역 연기 ▶예외적 국적이탈 허가 등 한인들이 관심 있는 내용을 설명했다.  

올해 37세가 된 아들을 둔 한인 여성 김 모(65)씨는 “한국 출생신고를 놓쳤고, 선천적 복수국적자로 아무 조치도 못 해 아들이 한국에 한 번도 갈 수 없었다”며 “38세가 되는 내년부터 한국에 방문하더라도 병역 의무가 없는지 확인하고 싶어 참석했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에 출생신고를 하지 않은 선천적 복수국적자라면, 병적에 올라가진 않은 상태지만 많은 한인은 한국에 방문했다 갑자기 군대에 가야 할까 봐 아예 한국 방문을 꺼리고 있다.

법무부와 병무청 관계자조차도 “(출생신고를 하지 않았다면, 한국 정부가 이 내용을) 알 수도 있고 모를 수도 있다”는 모호한 답변을 했다. 김씨는 “여기서 태어난 한인들은 미국인인데 선천적 복수국적을 부여하는 것 자체가 불합리하게 느낀다”고 말했다.

국적이탈이나 병역연기를 위해 국외여행신고를 하려 해도, 절차가 까다롭다는 지적도 있다. 김광석 뉴욕한인회장은 “질문을 하면 법무부·병무청 등이 서로 떠넘기며 자기 일이 아니라는 답변만 해 답답하다”며 “한인 동포들은 여기서 나고 자란 아이들이 권리를 찾을 수 있게 하고 싶은데, 한국 정부는 현재 법을 고수하려다 보니 현실 반영이 안 되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장경호 재외동포청 행정사무관은 “한인 동포들의 애로사항을 알고는 있지만, 법과 헌법재판소 판결에 따라 이뤄지는 것”이라고 전했다. 김연우 재외동포청 출입국관리사무관은 “미주 한인들은 국적자동상실제 부활을 요구하시지만, 다른 국가 동포들은 한국 국적이 동시에 부여되는 것을 원하기도 해 법을 바꾸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원정출산과 병역기피를 막기 위해 2005년 제정된 ‘선천적 복수국적법(홍준표법)’ 시행 이후 많은 한인 2세들은 피해를 받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많은 한인이 미 사관학교나 공직, 정계 진출에 발목이 잡히고 있다는 것이다. 뉴욕 일원 한인단체들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국적법 개정을 청원하고 나섰으며, ‘국적자동상실제 부활’을 촉구하고 있다. 국적이탈 시기를 놓친 18세 이상 군미필 선천적 복수국적자가 한국 국적을 포기할 수 있는 ‘예외적 국적이탈허가’ 제도가 2022년부터 시행되긴 했지만, 한인 동포들은 여전히 제도가 너무 복잡하다는 입장이다.

김은별 기자

“대학 컴사 취업 따논 당상 옛말”

0

테크 업계 취업문 더 좁아져
일자리 작년보다 30% 감소
5년만에전공자수 40% 늘어

컴사 전공자들의 수는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테크 업계의 일자리는 줄고 있다. 사진은 페이스북 모기업 메타의 본사. [로이터]

대학에서 ‘컴퓨터사이언스’(컴사) 전공이 어느 때보다 인기가 높지만, 이 전공자들은 예전과 달리 테크업계 취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 (WSJ)이 최근 보도했다. 몇 년 전만 해도 공격적으로 인원을 늘리던 빅테크가 더 이상 신입 사원 채용에 대한 필요성이 적어지거나 일자리를 줄이고 있는 데 반해 전공자들은 크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WSJ은 분석했다.

구인·구직 웹사이트 인디드(Indeed)에서 컴퓨터사이언스를 대표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직무의 채용 공고는 코로나19 이전 수준보다 30% 감소했다. 학생 채용 플랫폼인 핸드셰이크(Handshake)에서도 최근 테크 기업의 정규직 채용 공고 수는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0% 감소했다.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18개월
동안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포함하는 고용주 그룹인 소프트웨어 퍼블리셔의 일자리 증가율은 변함이 없었다.

반면, 이들 부문의 전공자들은 크게 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컴퓨터와 정보 과학을 전공하는 학생 수는 2023년 현재 60만 명을 넘어섰다. 이는 5년 만에
40% 증가한 수치다. 이 전공의 학사학위 취득자는 2021년 10만 명을 넘어서며 10년 전보다 140% 증가했다.

전국대학생정보연구센터 (National Student Clearinghouse Research Center)에 따르면 컴퓨터 및 정보 과학은 4년제 대학에서 네 번째로 인기 있는 전공으로, 2018년과 2023년 사이 전공자 수는 약 44만4000명에서 62만8000명으로 급증했다. 이에 올해 졸업생들의 취업 문은 더욱 좁아지고 있다. 노스캐롤라이나대 컴퓨터 사이언스의 경력 개발 책임자인 스테파니 존슨 씨는 “학생들이 평균 150개 이상의 일자리에 지원하고 있다”며 “그런데도 많은 학생이 여전히 채용 제안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가톨릭대학을 졸업한 벤리셋 씨는 “내가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다고 하면 사람들은 ‘넌 돈을 많이 벌 거야. 원하는 건 뭐든 할 수 있을 거야’라고 말한다”며 “그러나 일자리를 구하려고 하면 취업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상위권 학교의 컴퓨터 사이언스 전공자들은 여전히 일자리를 구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모두 가 페이스북이나 구글로 가는 것은 아니라고 WSJ은 전했다. IT 국제공인자격증인 콤프티아(CompTIA)의 팀 허버트 최고 연구 책임자는 “구직자들은 기대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빅테크가 AI 관련 일자리를 채용하지만, 그 일자리는 신입 졸업생보다 더 많은 경험이 필요 하다”고 말했다.

전미대학경영자협회(NACE)에 따르면 컴퓨터 사이언스 전공자 연봉은 7만5000달러로높지만, 올해 인상 폭은 2.7%에 그쳐 NACE가 검토한 8개 분야 중 가장 적은 폭이라고 WSJ은 전했다.

예비 12학년 입시전쟁 시작…이것만은 꼭 확인하자

0

이제 곧 방학이 시작됨과 동시에 12학년에 진학하는 현 11학년들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입시전쟁에 돌입해야 한다.  조기지원을 염두에 두고 있는 학생이라면 11월 1일까지 이제  5개월의 시간이 남았다.  이 기간에 입시후보로서의 자기의 등급을 한 단계, 가능하다면 두 단계, 세 단계까지 끌어올려야 한다.  어떻게 하면 자신이 지금 가지고 있는 것 보다 나은  ‘최고의 신입생 후보’가 될 수 있을까.

이에대해 그동안의 경험을 토대로 현 11학년들, 그리고 학부모들에게 몇 가지 팁을 제공하자면

올 가을 대학지원서를 쓰는 현 11학년부터는 다행인지 불행인지 SAT/ACT의 비중이 커졌다. 이는 사실 올 초3월에 대학으로부터 합격/불합격 통보를 받은 현 12학년 학생들로부터 적용됐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대학 입장에서 여전히 SAT/ACT는 필수(required) 가 아닌 선택적(optional)이었지만  실제로 뚜껑을 열고 보니 높은 SAT 점수를 제출한 학생들의 결과가 상대적으로 높았다는게 업계의 전반적인 의견이다.  하버드 등 대표적 아이비리그 대학들은 SAT/ACT 는 아니더라도 AP나 IB 점수 등에서 본인의 선택에 따라 한가지 이상은 반드시 지원서에 넣을 것을 의무화 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MIT 는 이미 지난 해부터 SAT/ACT 의무화를 시작했고 올해 들어서는 브라운, 다트머스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이는 대학에서 이런 학력평가시험을 공식으로 의무화하지 않았더라도 이미 코비드가 공식적으로 끝난 지금 이러한 학력평가시험을 응시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것으로 판단,  높은 시험 점수를 제출한 학생들에 대해서 가산점을 주는 정책이 이미 대학가에서는 지배적인 현황이다. 따라서 현 11학년 학생들 중에서 아직 SAT/ACT 점수가 없는 경우 남은 시험날짜에 대비해 올 여름 최대한 준비,  개별 최고의 점수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다음은 대입 에세이. 여전히 많은 학생들이 에세이의 비중을 낮게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대학마다 지원자 수가 높아질 수록 입학사정관들이 더 많은 에세이를 읽어야 하고,  따라서 에세이를 하나 하나 다 읽을 여유가 없다고 학생들은 예단하지만  대학마다 이러한 추측이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다.  (필자가 UC버클리 입학국장과 인터뷰에서 알아본 바에 따르면 버클리의 경우  모든 지원서를 합격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원서는 1점,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지원서는 5점으로 일단 분류를 한 후 5점 지원서는 에세이를 읽지 않은 상태에서 폐기된다고 한다) .

그러나 분명한 것은 어느 대학이든지 합격과 불합격의 경계선에 있는 후보생의 경우 잘쓴 에세이가 합격생으로 만들 수도 있고, 혹은 아주 낮은 평가의 에세이가 불합격생으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낮게 평가 받은 에세이란, 학생 본인이 아닌 어른이 쓴 것 같다는 느낌을 준다던가, 아니면 맥락이 없는 에세이를 말한다.  UC지원서에 4개, 사립대학 공통지원서인 커먼 어플리케이션에 1개, 그리고 각 대학별 에세이들까지 어떤 내용을 쓰면 학생의 장점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인가를 고민하고 또 고민해야 한다.

그렇다면 과외활동 비중은 어떨까.  여기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과외활동이나 봉사활동이 결코 학생의 부족한 학습능력 (GPA, SAT/ACT, AP 점수)을 보완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만일 GPA가 낮은 듯 하여 화려한 과외활동으로 채울 계획을 가지고 있다면 이보다는 커뮤니티 칼리지나 온라인으로 자신의 학습능력을 보완해줄 과목을 선택하는게 훨씬 유리하다. 과외활동은 학습능력을 어느정도 입증한 학생들 가운데에서 어떤 학생이 더 시간 관리를 잘했는지, 자신의 열정을 얼마나 학교클럽이나 커뮤니티 활동에 쏟았는 지를 평가하는 기준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녀들이 염두에 두고 있는 대학 리스트, 혹 학부모들도 자녀가 여기에는 꼭 지원했으면 하는 대학에는 꼭 방문해볼 것을 권한다.  학교를 직접 찾아가는 것이 영 불가능하다면 버추어 투어를 신청해서 최대한으로 학교의 이모저모를 적극적으로 찾아보도록 하자. 대학지원서에서 대다수의 사립대학들은 ‘우리학교를 방문한 적이 있는가’를 묻는다. 지원서에는 꼭 가고 싶은 대학이라고 써놓고는 한 번도 방문한 적이 없다는 학생에게 대학이 어떤 답변을 줄 지는 충분히 짐작하고도 남을 것이다. 

대학지원서를 작성하는 일은 대학에  학생 본인을 최대한 어필하는 일이다.  스스로 최고의 상품가치가 있는 학생임을 보여줄 수 있도록 남은 기간 최선을 다해보자.

김소영  교장
게이트웨이 홈스쿨 고교
(213)381-5353
www.gatewayonlineschool.com

“13명 졸업 못 한다”…하버드대 졸업생 수백명 집단퇴장, 무슨 일

0

[한국 중앙일보] 수정 2024.05.23 14:17

미국 하버드대 졸업생 수백명이 졸업식에서 집단 퇴장하는 일이 발생했다. 졸업생들의 가자지구 전쟁 반대 시위인 것으로 확인됐다.

뉴욕타임스 등 현지 매체들을 종합하면 23일(현지시간) 오전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하버드대 캠퍼스에서 열린 졸업식 행사에서 일부 학생들이 돌연 자리에서 일어나 구호를 외치며 집단 퇴장했다. 졸업식엔 졸업생과 가족 등 900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학사복위에 팔레스타인 전통 복식인 체크무늬 천(카피예)을 두르고 ‘전쟁 반대’, ‘팔레스타인 해방’ 등 구호를 외치며 줄이어 행사장에서 퇴장했다고 한다.

특히 대학 당국이 앞서 캠퍼스 내 가자전쟁 반대 텐트 농성에 참여했던 학생 13명에게 졸업장을 수여하지 않기로 한 결정에 항의하기도 했다.

항의에 참여한 학생 측 대변인은 “학부생 13명이 오늘 졸업을 하지 못하게 됐다”며 “캠퍼스 내 표현의 자유 및 시민 불복종 권리에 대한 대학 측의 편협한 태도에 깊은 실망감을 느꼈다”라고 비판했다.

하버드대 측은 “하버드대 학생 핸드북에 명시된 조항에는 모범적이지 않은 학생은 학위를 받을 수 없다고 명시돼 있다”며 텐트 농성 당시 학칙을 위반한 만큼 학위를 수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앞서 하버드대에선 가자전쟁 반대 텐트 농성 시위가 이어졌지만, 졸업식을 앞두고 대학 당국이 강경 대응 방침을 밝힌 이후 학생들이 텐트를 자진 철거한 바 있다.

최근 미국 대학 졸업식에선 가자 전쟁을 반대하는 졸업생들의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12일 열린 듀크대 졸업식에서는 약 40명의 학생이 행사장에서 집단 퇴장했고, 버지니아커먼웰스대에서는 공화당 소속 글렌영킨 버지니아 주지사가 연설하는 동안 졸업생 60여명이 퇴장했다. 뉴욕 컬럼비아대의 경우 대학 전체 졸업식을 취소하고 단과대 차원의 개별 행사만 열렸다.

한지혜(han.jeehye@joongang.co.kr)

[방학특집] 조기지원·SAT 응시 대세됐다

0

<2024년 합격 현황으로 본 대입 트렌드>

지원자 증가율, 주립대 83%·사립대 47% 대비
지원 늘면서 대학마다 대기명단 활용 많아져

하버드 입학처 직원이 지원서를 분류하고 있다. [중앙포토]

원하는 대학에 진학하려면 최신 대학 입시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올해 아이비리그를 포함해 주요 사립대학들이 입시 전형을 대거 변경하고 있는 만큼 내년도 지원자들은 이에 맞춰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올 여름방학을 전후로 내년도 대입 지원 사이클이 다시 진행된다. 올해 합격 현황을 돌아보고 내년도 대학들의 입학 정책을 대비하자. 

하버드 캠퍼스에 있는 존 하버드 창립자 동상.

정시전형보다 조기 전형

갈수록 조기전형을 지원하는 학생들이 증가 추세다. 지원자는 조기 전형에 떨어져도 정시전형을 통해 재도전할 수 있어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조기전형 지원자가 늘어나면서 합격률은 다소 낮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정시전형보다는 합격률이 높다.  

다만 조기전형 지원 조건 중 하나는 다른 대학에 지원할 수 없거나 합격했을 경우 반드시 등록해야 하므로, 정말 원하는 대학을 선택해 지원하는 것이 좋다.  

주요 대학들의 조기전형(얼리디시전/얼리액션) 지원자 규모를 보면, 예일대의 경우 지난해 말 7856명으로 1년 전보다 1.45% 증가했다. 펜실베이니아대학(유펜)는 전년도의 8000명에서 올해는 8500명이 넘게 지원했다고 발표했으며, 컬럼비아대학은 전년도의 5738명에서 4.7% 증가한 6009명이 몰렸다.  

브라운대는 6244명의 조기 지원자 중 14.4%인 898명이 합격했다. 듀크대 역시 조기전형 합격률이 12.5%에 달한다. 이는 정시전형 합격률(4.5%)의 3배가량 높은 셈이다.

‘어퍼머티브 액션’ 소송이 진행됐던 하버드는 올해 예외적으로 조기전형 지원자가 전년 대비 감소해 합격률이 전년 대비 상승하는 효과로 이어졌다. 하버드대 조기 지원자는 총 7921명이었으며, 이 중 692명(8.75%)이 합격했다. 반면 정시 지원자 규모는 5만4008명이다. 합격률은 3.59%다.  

SAT/ACT 선택항목 부활

경쟁률이 높은 대학에 지원하려는 학생은 일찌감치 SAT나 ACT 시험을 준비할 것을 권한다. 이는 합격기회를 넓힐 기회이기도 하다. 물론 컬럼버스대 등 여전히 SAT 점수를 요구하지 않는 곳도 있다. 그러나 팬데믹 기간에 없애거나 선택항목으로 변경했던 대입시험(SAT/ACT) 점수 제출 조항을 재도입한 대학이라면 대입시험 점수를 확인하겠다는 뜻임을 명심하라.  

특히 SAT 점수를 ‘선택 항목’으로 요구해도 시험 점수를 제출함으로써 본인이 가진 실력을 보여줘야 한다. 사립대 지원에 제출하는 커먼 앱에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전체 지원서 사용자의 절반가량인 41만5000명만 SAT 점수를 제출하지 않았다. 즉, 지원자 2명 중 1명은 여전히 대학에 SAT 점수를 제출하고 있다는 의미다.  

대기명단 대학 증가

대학에 미친 팬데믹의 악영향 중 하나가 바로 대기명단(Waitlist)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대학들은 더 많은 학생이 더 많은 대학에 지원함에 따라 대기명단을 더 자주 활용하고 있다.  

이는 최상위권 대학들도 마찬가지로, 이는 대학을 선택하는 마지막 날까지 등록 인원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대학은 입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대기명단에 지원자를 더 많이 올릴 가능성이 높다.

대기명단에 올라간다는 것은 혼란스럽고 실망스러운 경험이 될 수 있지만 이는 학생들이 자신의 선택지를 평가할 기회이기도 하다. 만약 대기명단에 올라간 학교가 최우선 선택지라고 확신한다면 지원자는 자신의 이름을 대기명단에서 합격자명단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  

대학에서 알고 싶은 건 ‘등록해서 다니겠다’는 지원자의 의지다. 입학처에 이를 재강조하는 이메일이나 대입 성적 등을 제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예(Deferral) 결정도 이와 비슷하다. USC의 경우 올가을 입학을 위해 조기 전형을 지원한 4만1000명 중 3만8000명을 정시전형으로 유예시켰다. 하버드 대학은 전체 조기 전형 지원서의 83%를 정시로 유예했다. 하버드의 경우 유예 지원자의 합격률은 평균 10%다.

주립대 인기 상승

대학을 선택할 때 학생들이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등록금이다. 재정 전문가들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주립대 학생들은 사립대 학생들보다 5000달러 이상 적게 대출한다. 팬데믹을 전후로 주택시장의 영향을 받아 미국 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여주지 못하자 비싼 대학보다는 저렴한 학비를 제공하는 대학을 선택하는 지원자들이 늘어나는 추세다. 실제로 커먼 앱 통계에 따르면 미시간 대학이나 버지니아 대학 등 미전역의 주립대에 지원하는 학생이 83%나 늘었다. 반면 사립대 지원서 증가율은 47%에 그쳤다.  

이는 UC 지원서 통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UC 총장실에서 공개한 2024년도 지원서 접수 통계에 따르면 올가을 UC 지원자 수는 25만 명을 넘었다. 신입 지원서만 20만6893건, 편입 지원서는 4만3543건이 접수됐다. 한인 학생들이 많은 UCLA에는 무려 9만2290건이 몰렸고, UC 어바인에 8만7517건, UC버클리에 7만2697건이 각각 제출됐다.

현재 사립대 학비 수준은 10만 달러 시대를 향해 가고 있다. 장학금 없이 4년간 학비를 꼬박 낸다면 40만 달러가 들어간다는 뜻이다. 학비는 등록금과 기숙사비, 식비 등을 모두 합친 금액이다.

한 예로 유펜의 경우 올 가을부터 연 9만2288달러를 내야 하며, 코넬대는 9만2150달러, 다트머스는 9만1312달러다. 그나마 하버드 대학은 8만2866달러로 아이비리그 대학 중 학비가 가장 낮다.

반면 주립대는 거주민 학생들에게 저렴한 학비를 제공한다. 캘리포니아 주 정부의 경우 UC, 캘스테이트(CSU), 커뮤니티칼리지 학생들에게 무상 학비 보조금인 캘그랜트로 지원하고 있다. 가주학자금위원회에 따르면 UC 재학생의 경우 연간 평균 1만3752달러를 캘그랜트로 받을 수 있으며, CSU 재학생은 5742달러, 커뮤니티칼리지 재학생은 1094달러를 캘그랜트로 받고 있다.  

이외에도 가주 정부는 연 소득 11만 달러 미만 중산층 가정 학생에 평균 3200달러의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성적에 따라 자녀가 있는 학생일 경우 연평균 4000~6000달러의 생활비도 보조하고 있다.

장연화 기자

[방학특집] 사립대학, 칼리지보드 통해 CSS Profile 요구

0

학자금 재정보조 극대화…이건 알고 준비하자
워크-스터디, 대부분 연 1500~2500불 지원

사립대학은 학교마다 별도의 재정보조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잘 확인해야 한다. 사립대학은 또 기금이 많으므로 이를 잘 활용해 재정 계획을 세우면 좋다.

대학 진학에서 졸업까지 매년 부담하는 연간 총비용은 사립대의 경우 9만 달러, 주립대는 비거주자의 경우 거의 7만 달러 이상으로 높아졌다. 그러나 미국은 대학 학자금 재정보조 시스템을 가장 잘 구축해 놓고 있는 만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비용으로 자녀를 대학에 진학시킬 수 있다.  

대학마다 선호하는 입학사정 방식을 잘 이해해 사전 준비를 잘하면 대학 합격률도 높이고 동시에 재정보조금도 극대화할 수 있다.  

▶미국대학의 학자금 재정보조

교육부에 등록된 대학은 거의 6000여개 이상이다. 그러나 교육부가 인증하며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재정보조금을 지원해 집행할 수 있는 곳은 주립대와 사립대를 모두 합해 대략 2900여 곳이다.  

재정보조금에는 연방보조금도 포함되므로 연방법에 기초한다. 재정보조금 평가와 진행은 입학사정에 영향을 줄 수가 없고 어떠한 차별도 금하는 연방법이 폭넓게 적용된다. 따라서 재정보조금의 평가나 지급은 반드시 형평성과 평등성에 기초해 모든 학생에게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재정보조 신청은 학생 재정보조 신청서라 불리는 FAFSA(Free Application for Federal Student Aid)를 통해 진행된다. 재정보조금 계산은 ①신청서에 제출된 내용과 검증 절차를 거쳐 ②우선 분담할 SAI (Student Aid Index, 학생 보조금 지수) 금액을 계산하고 ③연간 총비용에서 SAI 금액을 제외한 차액인 Financial Need 금액(재정보조 대상 금액)에 대해 대학의 해당 연도의 평균 지원 퍼센트를 기준해 재정보조금을 지원한다. 무엇보다 현재 가정 수입과 자산 상황 등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재정보조를 극대화하기 원할 경우 재정 플랜은 부모의 우선과제이다.    

▶재정보조 프로그램 종류

연방정부의 재정보조금은 무상 보조금(펠그랜트 및 FSEOG)과 유상 보조금(워크-스터디 프로그램, 학생 융자 및 부모 융자)으로 구성되며, 신청자가 Dependent인지 Independent를 구분해 별도 계산한다.  

저소득층 학생에게 연방정부가 무상으로 지원하는 그랜트로 펠그랜트(Pell Grant)와 FSEOG(Federal Supplemental Education Opportunity Grant)가 있다. Pell Grant는 최대 지원금에서 SAI 금액과 차액을 지원한다. 2023~2024학년도는 최고 7395달러, 최소는 750달러 선이다. FSEOG는 연방 정부 장려금으로 펠그랜트 수혜자를 대상으로 추가로 대학별 최고 4000달러를 지원하지만 제한이 많다.  

주정부 보조금은 주마다 큰 차이를 보이며 주정부마다 지원 혜택이 다르다. 대학이 위치한 주정부 신청 마감일을 확인해 유의해 진행한다.  

연방정부의 학생 융자는 보조 스태포드 융자(Subsidized  Stafford Loan 혹은 Subsidized Direct Loan)와 비보조 스태포드 융자(Unsubsidized  Stafford Loan 혹은 Unsubsidized Direct Loan) 및 시그니처 융자와 학부모의 플러스 융자(PLUS, Parent Loan for Undergraduate Student) 등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보조융자는 졸업 후 6개월까지 연방정부가 이자를 대신 지불하며 졸업 시까지 받은 융자금의 반환을 늦출 수 있다. 졸업 후 6개월 후부터 Bill을 받기 시작해 10년에 걸쳐 모두 완불하게 돼 있다.  

워크-스터디 연방정부 프로그램은 대학에서 파트타임으로 일하며 학비 충당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매년 4000달러까지 지원받을 수 있지만 대부분 연간 1500~2500달러 정도 지원된다. 개인 신용점수도 올리며 대학 졸업 시까지 경력도 쌓을 수 있어 학생들에게 인기가 높다.

▶재정보조 계산방식과 기준

재정보조 대상은 오직 영주권자와 시민권자 자녀이며, 학업성적은 4.0 기준에 2.0 이상이어야만 한다.  

DACA와 Undocumented 신분은 해당 주의 주립대학에 진학 시 거주민과 비거주민 학비 적용기준에 주별로 큰 차이가 있는데, 해당 연도의 연간 총비용(Cost of Attendance, COA)에서 재정보조 신청서 내용을 토대로 SAI 금액을 산정해 대학의 해당 연도에 정한 퍼센트로 재정지원을 받게 된다.  

사립대학 등은 FAFSA 제출 내용만으로 자체적인 평가가 어려워 칼리지보드를 통해 C.S.S. Profile을 요구하며, 대학은 별도의 재정보조 공식을 적용해 자체적인 분담금을 산정한 후 재정보조 대상 금액에 대해 연방정부, 주정부 및 자체적인 기금과 부모가 지원하는 금액 등으로 재정 지원이 이뤄진다. 사립대학의 기금은 많기 때문에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재정보조 신청 시 유의할 점

신입생과 재학생의 경우 마감일이 각각 다르므로 대학별로 우선 마감일(Priority Deadline)를 확인해 정기적인 진행 내용과 요구사항을 항상 점검해야 한다. 매년 재정보조 내역서의 검토는 중요하다. 대학마다 적게 혹은 잘못 지원하는 사례가 많은데 연간 3000달러 이상 차이 나는 경우가 많아 보다 전략적인 어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자녀에게 재정보조 신청과 진행을 모두 맡기면 대부분 재정보조 공식과 대학의 변동 사항에 대한 대처가 부족해 낭패를 보기 쉽다. 작은 실수도 연간 수천에서 수만 달러의 보조금 차이를 불러올 수 있다.  

▶사전 설계의 중요성

대학이 선발하고자 하는 지원자는 다양한 장학금과 재정보조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전략적인 대학 선택도 재정보조금을 높여주는 요소이다. 무엇보다 합격률을 높이려면 지원하는 대학별로 입학사정 요소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입학원서 내용을 모두 점수화해 입학사정에 적용하는 텍소노미 방식을 잘 이해하기 바란다.  

이에 따른 자녀의 프로필을 잘 보강해 놓아야 합격률도 높이고 등록을 선호하는 학생으로 평가되어 재정보조를 더 잘 받을 수 있다.  

또한, 재정보조 극대화는 사전 설계로만 가능하다. 개인의 W-2 상에 나타나는 401(k), IRA, SEP IRA, 403(b) 등과 Roth IRA 및 학자금 저축플랜인 539 Plan, Education IRA 및 Coverdell Savings Account 나 Prepaid Tuition Plan 등은 오히려 SAI 금액을 크게 증가시켜 큰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 사업체를 소유한 경우는 반드시 대학별 재정보조 데이터와 사전설계 능력이 있는 Corporate Trust를 다룰 수 있는 라이선스가 검증된 재정전문가와의 상담을 권유한다. 사전준비 없이는 가정의 재정부담으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문의: (301)219-3719, remyung@agminstitute.org
리처드 명 세무사 / AGM Institute 대표·재정보조 컨설턴트

교육 칼럼